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수직 이동 자동사 연구(7)-(동반 이동〉을 중심으로

        金應模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1 牛岩斯黎 Vol.1 No.-

        이 연구는 현대 국어에 있어서 수직이동 자동사의 개개의 낱말 들이 하나의 낱말밭(Wortfeld)Ⅱ 속에서 차지하고 있는 위치 가치(Stellenwert)를 우리 언어 공동체(Sprachgemeinschaft)의 세계관과 관련하여 해명해 보려고 시도된 것이다. 국어의 낱말들은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질서속에 다른 낱말들과 밀접하게 서로 어울려 상호협력·의존하는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Wallace, L, Chafe, 1973 : 82) 즉, 일련의 어휘는 아무렇게나 모여진 것이 아니라 의미상 어떤 관련성을 가지고 일종의 연상군(聯想群)을 형성하고 있다.(金應模, 1989: 1) 이 연구에서는 수직 이동 자동사 중에서〈동반이동〉을 의미 요소로 가지는 낱말들을 중심으로 사전에서(이희승, 1986) 발견되는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논의의 편의를 위하여 어휘적 포착의 방향성 가운데 관용적인 용법에 해당하는 낱말과 방언 및 고어는 제외하였으며, 우리 언어 공동체의 언어 생활과 관련이 깊다고 생각되는 서구외래어는 연구의 대상에 포함시켰다.(김응모, 1987 : 710) 이동 동사는 크게 평행 이동(전진이동, 후진이동, 전후진, 이동)과 수직 이동(상승이동, 하강이동, 상하 이동)으로 분류하여 고찰할 수 있는데, 여기서는 수직 이동 가운데〈동반이동〉의 의미요소를 가진 77개의 낱말들을 대상으로 하여, 개개의 낱말들이 다른 낱말과 변별되는 특정을 규명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동반이동(同伴移動)을 의미 성분으로 가지는 자동사는 이동할 때 동시에 이동하는 하나 이상의 이동체를 전제로 한다. 이러한 경우의 이동체는 방향에 따라 상승 이동과 하강 이동 및 상하 이동이 있으며, 이동의 상호 위치에 따라 선행 이동, 후행 이동, 동행 이동이 있다. 그리고, 둘 이상의 이동체로 집단 이동이 있게 마련이다. 따라서, 분절 특성은〈동시 동반 수직 이동성〉을 공유하고 있으며, 내용에 따라〈선행성, 후행성, 동행성, 집단 이동성〉을 가지고 분절한다. 논의의 방법으로는 상승 이동, 하강 이동, 상하 이동의 순으로 하였으며, 먼저 원렉셈(Archilexem)을 중심으로 하여, 대영역(Gro-ssfeld)의 공통 특성을 논의한 후, 여기에서 분절되어 나온 부분 영역(Teilfeld)의 공통 특성을 논의하고, 개별 낱말의 고유 특성을 부가하는 형식을 취함으로써 논의의 중복을 줄였다. 우리는 이동 동사의 분절성을 해명함으로써 이동에 대한 객관세계가 우리 민족의 정신적 중간 세계(die geistige Zwischenwelt)에서 어떻게 분절되어 있는가를 조명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며, 이동 동사의 어휘 체계 수립이 가능해질 것이다.

      • KCI등재후보
      • 분노 자동사의 내용 연구(Ⅰ)

        김응모 釜山外國語大學校 比較文化硏究所 2002 比較文化硏究 Vol.13 No.-

        This paper is aimed at studying the relative standings(Stellnwert) of a anger related intransitive verbs of Korean in the wordfield(Wortfeld) in relation to Korean people's perspectives on the outside world. Prior emphasis is given to semantic differentiation of the intransitive verbs related to anger. The archilexems will frist be set up by referring to the semantic contents(Inhalt) of thoes verbs related to a anger. Then, an attempt will. be made to present a proper classification of sub-fields of the wordfield with the help of the archilexems. We will start with explaining the common semantic factor of the big field(Grossfeld) of words, then go down to the small field(Teilfeld) for further elaboration of common characteristicts of articulated sub-fields. Finally, the idiosyncratic propertes of individual words are discussed so as to minimize redundance in explanation. This study, by surveying and artvulating a anger related words, sheds light upon how their semantic factor are definded and classified in the spiritual realm(die geistige Zwischenwelt) of Korean people and make possible the well formulated stracture of personality related vocabulary. As such this paper serves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inward spritual world as well as establising word structure that reveals the relationship of individual words. 지금까지 분노 자동사 1267ß 에 대하여 개별적인 분절성 을 논의하였다. 이제 이것을 바탕으로 하여 전체적인 분절구조 를 고찰하려 한다. (1) 분노 자동사의 내용을 많이 분포된 순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걸핏하면 성내어 말하는 내용이 32개(25.4%)로 가장 많고,막연히 분노를 표출하는 내용이26개 (20.63%)로 다음으로 많으며 분노가 울컥 치미는 내용이 137ß <10.32%)로 세 번째로 많다. 그리고 사소한 일에 화내는 내용이 10개 (7.94%) 이고 걸핏하면 화내는 내용이 8개 (6.35%)이며,일이 여의치 않아 성미부리는 내용이 7개 (5.56%) 이다. 분노로 상심 하는 내용과 불쾌하여 벌컥 화내는 내용이 각각 5개 (3.97%) 이고, 불만이나 원망으로 화내는 내용과 분노로 성미 가 삐뚤어진 내용이 각각 4개 (3.17%) 이며, 심중에 분노가 축적되는 내용이 3개 (2.38%) 이다. 그리고 소가지내는 내용과 툴툴거리며 불평하는 내용이 각각 2개<1 .59%) 이고,분노를 참지 못하는 내용,함부로 방자 하게 화내는 내용,무분별하게 성미부리는 내용,화가 나서 폭언하는 내용,노기를 띠고 말하는 내용이 각각 1개 (0.79%) 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