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mparison of Bifidobacteria Selective Media for the Detection of Bifidobacteria in Korean Commercial Fermented Milk Products

        김응률,우건조,김용희,박순옥,조영희,전호남 한국축산식품학회 2010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30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efficacy and selectivity of TOS and BS media for enumeration of bifidobacteria in commercial fermented milk products. First, bifidobacteria was isolated from 20 fermented milk products, and all isolated bifidobacteria were identified by genomic technology as Bifidobacterium lactis. The two media significantly differed from each other with regard to the recovery of B. lactis, that is, the recovery of this organism was as much as 6 logs lower on BS medium than on TOS. When the concentration of BS solution (mixture of paromomycin sulfate, neomycin, sodium propionate,and lithium chloride) used in BS medium was reduced to 50% (BS50), a relatively high percentage recovery of bifidobacteria from pure cultures was achieved. Susceptibility tests to antibiotics and tests for selective agents for the isolated bifidobacteria and lactic acid bacteria were conducted. The BS solution inhibited some lactic acid bacteria and Bifidobacterium species, while mupirocin (MU) suppressed the growth of all tested lactic acid bacteria but not Bifidobacterium. As compared with BS50 medium, TOS with or without MU showed good bifidobacteria recovery and readily distinguishable colonies; in particular, TOS supplemented with MU had a high selectivity for bifidobacteria. In conclusion, all results suggested that TOS medium with or without MU was found to be suitable for selective enumeration of bifidobacteria from mixed cultures in fermented milk, and better in that capacity than BS medium.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ESL 생산공정에 따른 시유 유래 미생물의 분포 비교 연구

        김응률,정병문,유병희,정후길,강국희,전호남 한국축산식품학회 2003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3 No.4

        본 연구는 ESL 우유와 시중 4개 회사의 일반 시유 제품의 보존 검사에서 분리되어 1차적으로 선별된 364 균주에 대해서 균주 분류를 통하여 우유의 저장온도와 기간 중의 우유내 우세균을 확인하고 ESL 우유와 기타 일반 시유의 미생물 균종별 분포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364 균주의 분리원에 따른 분류에서는 ESL 우유가 가장 낮은 검출 균주수를 나타냈다. 전체 분리된 미생물 균주의 분포를 보면, Bacillus 계통과 Staphylococcus 계통이 주로 많이 검출되었으며, Lactobacillus 계통을 제외하고는 매우 다양한 분포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유 가공처리법에 따른 분리균종을 비교해 보면, LTLT 살균유의 경우에는 내열성이 강한 Enterococcus 계통의 균종이 특이적으로 많이 검출되었으며, UHT 살균유 중에서 ESL 우유에 비해서 기타 일반 시유에서는 Pseudomonas 계통의 저온성 미생물 균종이 많이 검출되었다. 보존온도별 균종 분포를 보면, Bacillus 계통은 보존온도가 높을수록 검출빈도가 높았으며, Pseudomonas와 같은 저온성 계통은 $10^{\circ}C$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검출되었다. 기초동정 결과와 동정기를 이용한 동정 결과를 비교한 결과, 기초 동정법에 의한 균종의 분류 정확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ESL우유와 일반우유의 미생물 균종 분포를 비교해 볼 때, 살균후 포장과정에서 2차적으로 오염될 확률이 높은 Pseudomonas 계통에서 커다란 차이를 보였으며, 이러한 Pseudomonas 계통의 미생물은 냉장 유통에서도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ESL 우유가 유통 중 제품의 품질 향상과 수명 연장이 되는 것은 미생물 오염도가 낮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trains which were isolated from market milk treated with ESL(extended shelf life) and conventional system, and to compare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ESL milk with conventional milk.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isolated strains, purification, Gram staining, spore staining, catalase, oxidase, motility test, and identification by means of automatic identificator were performed.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total 364 selected strain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Depending upon the isolated source, the number of strains from conventional milk was found to be Higher than ESL-milk. By means of grouping of total strains, Bacillus ssp. and Staphylococcus ssp. showed to be predominant. But most of strains were distributed with various groups except Lactobacillus ssp. When the isolates were compared with milk process methods, Enterococcus ssp. was detected much on market milk treated with LTLT pasteurization. Also, Pseudomonas ssp. was detected much on conventional milk treated with UHT pasteurization. By comparison with genus groups depending upon storage temperature of market milk, the higher milk storage temperature increased, the most frequency detected Bacillus ssp. increased. Also, Pseudomonas ssp. was detected most frequently at 10$^{\circ}C$ storage condition. Generally this genus derived from post-contamination during milk processing and related to the quality of market milk during chilled system. In conclusion, it was shown that ESL system reduced post-contamination during milk process, following the improvement of product quality and life cycle during the distribution of market milk.

      • SCIE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Sorbitol첨가가 Frozen Yoghurt중 유산균의 생존율과 조직에 미치는 영향

        김응률 ( Eung Ryul Kim ),김유성 ( Yu Seong Kim ),이영건 ( Yeong Geon Lee ),주지선 ( Ji Seon Ju ),이강익 ( Gang Ik Lee ),백승천 ( Seung Cheon Baick ),이종익 ( Jong Ik Lee ),유제현 ( Je Hyeon Yu ) 한국유가공기술과학회 1996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JMSB) Vol.14 No.1

        본 연구는 sucrose에 비해 저칼로리 물질이며, 동해방지 효과가 더욱 큰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sorbitol을 요구르트 믹스의 sucrose와 1, 2, 3% 대체하여 동결요구르트를 제조시, 조직변화와 -20 C에서 저장기간에 따른 유산균수 변화를 비교 검토하므로써 sorbitol의 동결요구르트에 대한 이용도를 모색하고자 수행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Yogurt mix배양시 유산균 성장은 모든 균주에 있어서 sorbitol함량이 증가될수록 빠른 것으로 밝혀졌으나, sorbitol이 첨가되지 않은 대조구와 3%의 sorbitol이 첨가된 시료D는 거의 유사하였다. 이것은 균종에 따라 sucrose는 균의 성장촉진효과가 있는 반면, sorbitol은 균의 사멸억제에 효과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유산균종간의 -5 C 동결시 생존율은 Str. thermophilus는 26.19% 34.76%, L. bulgaricus는3.97% 5.20%, mixed culture는 17.00% 40.87%로 L. bulgaricus가 다른 균종에 비해 가장 낮았으며, 전반적으로 sucrose와 sorbitol의 비율이1:2인 시료 C가 생존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아 동해방지 측면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사료되었다. -20 C 동결저장시 유산균수 변화는 균종과 동결저장기간에 따라 감소 추세에 있어서 다소의 차이를 보였지만, sorbitol의 동해방지 효과로 인한 유산균의 생존효과가 인정된다고 사료되었다. Lactase activity는 모든 균종과 시료에서 동결직후 급격히 감소된 후에 동결기간 동안에도 서서히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lactase activity의 감소추세는yogurt mix배양, 동결(-5 C), 동결저장(-20 C) 등의 단계별로 약간의 차이를 보였지만, 동결 80일 후의 활력은 대부분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처리구간에 점도의 차이는 있지만, sucrose와 sorbitol의 비율이 1:2인 것이 점성면에서는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Frozen yogurt mix의 보수력은 점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p<0.05). Sorbitol함량이 증가될수록 hardness와 cohesiveness는 증가되었지만, elastisity는 감소되었다. 또한 Str. thermophilus는 처리구간에 큰 차이를 보였지만(p<0.05), L. bulgaricus와 mixed culture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usability of sorbitol for the manufacture as low-calory ingredient and cryoprotectant against frost damage. When frozen yoghrt was made of replacing sucrose by sorbitol at yoghurt mix, the change of physicochemical and lactic acid bacteria, such as Str. thermophilus, L. bulgaricus, and mixed culture of Str. thermophilus, and L. bulgaricus(1:1), was studied during the frozen storage(-20 C). During the incubation of yoghurt mix, the rapid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n all sample was observed as the increase of sorbitol addition, but sample A and D were almost similar. This results suggested that sucrose could play role of effecting the growth stimulator, otherwise, sorbitol could inhibit the death of microorganism, following the genus. At the survival rate between lactic acid bacteria during freezing of -5 C by ice cream freezer Str. thermophilus showed 26.19 to 34.76%, L. bulgaricus 3.97 to 5.20%, and mixed culture 17.16 to 40.87% respectively. L. bulgaricus showed the greater lethal rate than other genus. Sample C which mixed sucrose with sorbitol (1:2 ratio) was showed the lowest lethal rate. Therefore, it suggested that the use of this ration could be used for better anti-frost damage. During the storage of -20 C, the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generally decreased in the stand point of genus and frozen storage period. The survival of lactic acid bacteria might be the addition of sorbitol which could have the effect of anti-forst damage. In all treatment, lactase activity showed the rapid decrease after freezing. During the period of frozen storage, it was shown the slow decreasing trend. In spite· of decreasing, the result during yoghurt mix incubation -5 C freezing, and -20 C frozen storage was different at the level. After 80 days of storage, the lactase activity was similar among all genus and sample. Despite differenting viscosity followed by genus, combination of mix, and pH, the ratio of 1 to 2(sucrose : sorbitol) showed the greatest viscosity. The water holding capacity of frozen yoghurt mix was closely related to viscosity. As increasing sorbitol amounts, hardness and cohesiveness were increased, but elastisity was decreas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ample was inoculated with Str. thermophilus. However,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sample inoculated with L. bulgaricus and mixed culture.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Helicobacter pylori의 생육을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유산균 선발

        정후길,김응률,전석락 한국미생물학회 2001 미생물학회지 Vol.37 No.2

        위염 및 위궤양, 심이지장궤양, 위암의 주요한 발병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는 Helicobacter pylori의 생육을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유산균을 선발하기 위해서, 45종의 유산균에 대하여 paper disk법을 이용한 항균 효과, Caco-2세포에 대한 정착능, urease activity법을 이용한 H. pylori 억제능 등을 파악하고, 유산균 배양액과 H. pylori의 동시배양에 따른 요소 분해효소의 활성 변화와 우유 발효능 등을 실험하였다. H. pylori의 생육을 억제하는 물질의 생성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paper disk법으로 유산균 배양액에 의한 H. pylori의 생육 억제환을 측정한 결과, 28종의 유산균에서 생육 억제환이 형성되었다. 대부분이 유산 생성에 의한 낮은 pH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지만, 일부 균종에서는 항균성 물질에 의한 억제환이 형성되었다. 다른 유산균에 비해서 생육 억제환이 가장 큰 Lactobacillus gasseri MK-03 균주가 H. pylori에 대한 항균 활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균 활성을 나타낸 28종의 유산균을 대항으로 Caco-2 세포에 대한 정착능을 실험한 결과, 18종의 유산균에서 정착능이 확인되었으며, Bifidobacterium longum MK-26 균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반응 2시간 전에 미리 Caco-2 세포에 정착시켰을 때, H. pylori의 정착율은 0.105%에서 0.004%로 감소되었다. 한편 요소 분해효소 활성을 저해하여 H. pylori를 억제하는 유산균을 선발하기 위해서 항균활성이 인정되는 28종의 유산균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21종의 유산균에서 요소 분해효소 활성의 저해 효과가 나타났으며, 이중에서 Lb. acidophilus MK-07 균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Lb. gasseri MK-03 균주는 항균 활성에서, Lb. acidophilus MK-07 균주는 요소 분해효소의 활성 억제에 의해서, Bif. longum MK-26 균주는 정착능 저해에 있어서 각각 우수한 H. pylori 생육 억제능을 나타냈다. 한편 최종적으로 선발된 3종의 유산균과 대조균주로서 13종의 유산균에 대해서는 우유 배양실험을 실시한 결과, 3종의 선발균주 모두가 발효유 제품에의 응용 적합성을 나타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lactic acid bacteria which possess potential inhibitory effect on Helicobacter pylori, and to make feasibility test of fermented milk products using them. In order to select lactic acid bacteria specifically inhibiting the growth of H. pylori, antibacterial activity using paper disk method, adherence ability to Caco-2 cell inhibitory effect on urease activity of H. pylori, and milk fermentation feasibility were measured. Among 45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 tested, 28 strains showed clear zone and Lactobacillus gasseri MK-03 showed the largest clear zone. Caco-2 cell adherence by lactic acid bacteria and inhibitory effect of them on H. pylori adherence were also evaluated. Of 28 strains tested, 18 strains appeared to be effective on adherence to Caco-2 cell, and especially Bifidobacterium longum MK-26 was found to be superior to others. When Bif. longum MK-26 and H. pylori were reacted with Caco-2 cell 2hrs before, adherence percentage of H. pylori decreased from 0.105% to 0.004%. To investigate inhibitory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derived supernatant on urease activity of H. pylori, pH-adjusted fermented supernatant(pH-4.4) was assessed by co-cultivation method. There of Lb. acidophilus MK-07-derived supernatant showed the most inhibitory effect on urease activity of H. pylori. Considering milk fermentation ability of selected 3 strains, they were comparably feasible to fermented milk products. Consequently, Lb. gasseri MK-03, Lb. acidophilus MK-07, and Bif. longum MK-26 were selected to specifically inhibit the growth of H. pylori, by antibacterial activity, inhibition of urease activity, and inhibition of Caco-2 cell adherence, respectively.

      • KCI등재

        Bifidobacterium infantis Maeil-K9 균주의 당 발효 특성 및 항생제 내성을 이용한 선택배지 개발연구

        정병문,김응률,정후길,전호남 한국미생물학회 2004 미생물학회지 Vol.40 No.1

        현재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비피더스균인 Bifidobacterium lactis Bb-12, Bif. longum Bb-536 및 Bif. infantis Maeil-K9의 선택적 계수를 위한 선택배지 개발을 위하여 다양한 탄소원과 질소원 및 여러 항생제들에 대한 내성을 검토하였다. 탄소원의 경우 기본생육배지에 각각 15 g/L 수준으로 첨가하여 각균주의 생육성을 비교해 본 결과 amygdalin과 fructose가 가장 적합하였으며, 질소원의 경우 tryptone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Amygdalin을 탄소원으로 이용한 경우 Bif. lactis Bb-12와 Bif. infantis Maeil-K9의 생육성이 우수하였으며, fructose를 이용한 경우 Bif. longum Bb-536의 생육성이 우수하였다. 항생제 내성 검토에 있어서는 doxycyclin을 1 mg/L 수준으로 첨가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였으며, Bif. lactis Bb-12및 Bif. infantis Maeil-K9의 생육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Bif. longum Bb-536의 생육은 완전히 억제시켰다. 그리고 저 활성 균주에 대한 각 선택 배지의 검출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균주를 -$70^{\circ}C$, $4^{\circ}C$, $40^{\circ}C$에 2주간 보존 후 생균수를 측정한 결과 amygdalin을 탄소원으로 이용한 배지에서는 $40^{\circ}C$ 보존균주의 검출능이 낮았으나, fructose를 탄소원으로 이용한 배지와 doxycyclin을 첨가한 배지의 경우 그 선택성이 매우 우수하였다. To differentiate commercial bifidobacteia for Bifidobacterium lactis Bb-12, Bif. longum Bb-536 and Bif. infantis Maeil-K9, we studied the various carbon source, the nitrogen sources and antibiotics. Amygdalin and fructose were good candidates for carbon sources, and tryptone was suitable for nitrogen sources to design a new selective media for three commercial bifidobacteria. In the case of the amygdalin-containing medium as carbon sources, Bif. lactis Bb-12 and Bif. infantis Maeil-K9 showed good growth, and in fructose-containing medium, Bif. longum Bb-536 showed good growth. In antibiotics resistance study, the addition of 1 mg/L doxycyclin was very effective for differentiation of each bifidobacteria. Doxycyclin did not affect the growth of Bif. lactis Bb-12 and Bif. infantis Maeil-K9, but Bif. longum Bb-536 was completely inhibited by doxycyclin. Finally to confirm the selection capability of newly designed selective media, temperature-shocked bifidobacteria were cultured on them. As the results, fructose or doxycyclin containing medium showed for high growth for temperature-shocked bifidobacteria, but amygdalin containing medium showed low growth of temperature-shocked bifidobacter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