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도서관 노인 서비스를 위한 제언

        김은지,이성신,Kim, Eunji,Lee, Seongsin 한국비블리아학회 2014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 노인 서비스 현황을 노인 이용자들과 사서들의 인식 조사를 통해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보다 나은 공공도서관 노인 서비스를 위한 실질적 제언을 하고자함에 있다. 노인 이용자와 사서들의 노인서비스에 대한 인식 조사를 위해 ALA 서비스 가이드라인을 활용한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인터뷰자료는 질적 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노인 이용자들은 다음과 같은 열 가지 사항이 노인 서비스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노인 이용자를 위한 다양한 맞춤형 평생교육 프로그램, 둘째, 평생교육 프로그램 강사진의 우수한 자질과 이의 유지를 위한 정기적인 평가, 셋째, 다양하고 새로운 정보자원의 제공, 넷째, 도서관 서비스 및 프로그램에 대한 적극적 홍보, 다섯째, 도서관 직원의 친절한 태도 및 전문성 유지, 여섯째, 정기적인 도서관 직원 교육, 일곱째, 노인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 편의와 활성화를 위한 이용자 교육, 여덟째, 노인 이용자를 위한 맞춤형 자료, 시설 및 설비, 아홉째, 여가 시간 활용을 위한 공간으로서의 도서관의 역할, 열 번째, 노인 이용자를 위한 편리한 맞춤형 도서관 서비스. 이에 덧붙여 도서관 사서들은 다음의 네 가지 사항이 노인 서비스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노인 이용자를 위한 맞춤식 서비스와 프로그램, 둘째, 노인 이용자를 위한 장서, 시설 및 설비, 셋째, 노인 서비스를 위한 예산 확보, 넷째, 노인 서비스를 전담할 수 있는 전문 인력. 두 집단 모두 노인이용자를 위한 맞춤 서비스, 프로그램, 장서, 시설, 설비가 필요하며 노인 서비스 전문 사서와 이들을 위한 정기적인 교육이 노인 서비스 발전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mmend on the public library service for older adult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erceptions of older adults and librarians.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interview method was employed. The interview questions are composed based on the ALA guideline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 following ten factors were recommended by older adults: 1) various customized life long learning programs for older adults, 2) highly qualified staff for the public library life long learning programs and regular evaluation for the staff, 3) provision of various and new information resources, 4) promotion of public library services and programs, 5) public library staff's kindness and professionalism, 6) regular reeducation of the public library staff, 7) library user education, 8) customized resources, facilities, and equipments for older adults, 9) provision of the library space, and 10) customized library services for older adults. In addition, the following four factors were mentioned by librarians: 1) customized services and programs for older adults, 2) customized collection, facilities, and equipments, 3) adequate budget for public library service for older adults, 4) professionals for the public library service for older adults. The followings were recommended by both the older adults and librarians: 1) Customized library services, programs, collection, equipments, facilities for older adults, 2) Professionals for the public library service for older adults and Regular reeducation for them.

      • KCI등재

        전쟁, 이미지 그리고 역사

        김은지(Eunji Kim) 서양미술사학회 2015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43 No.-

        전쟁은 이미지로 기록 되는가, 아니면 전쟁은 이미지를 통해 설명되는가? 세계 1차대전은 전례에 없던 인명살상(殺傷)률을 기록하는 무력의 갈등상태로 간주된다. 이러한 역사적 참상에 큰 역할을 한 것은 참호전이며, 여기엔 다시금 화학무기(독가스)와 기관총 등 새로운 무기를 생산하게 한 참호에 의한 전쟁전략이 그 원인 이었음이 강조된다. 100여 년이 지난 현재, 역사적 과거의 이러한 참혹한 참상들은 사진 이미지들에 의해 보다 직접적으로 설명되어 진다. 여기엔 사진이라는 매체가 지닌 특성 중, 현실을 그대로 기록하 듯 재현한 것처럼 보이는 사실적 현상이 자리한다. 그래서 그 어떤 시각적 결과물 보다 현실성을 더 반영한 것처럼 여겨진다. 하지만 사진은 현실을 재현하지 않는다. 기록하지도 않는다. 다만, 어떤 시간과 공간 속에서 일어났던 사건과 상황에 대한 유추와 재구성을 도모하게 할 뿐이다. 이것은 사진 만이 아니라, 시각화된 모든 상태 즉 이미지화 된 모든 존재가 지니는 특성이다. 본 연구의 핵심은 바로 이러한 이미지의 존재적 특성에 대한 재고찰에 있다. 본 연구는 가시화 된 모든 상태에 있는 대상물들을 이미지로 정의 내리는 미술사적 방법론의 한 과정에서 영글어진 결과물이다. 이미지는 다른 것으로 대체될 수 없다. 또한 이미지는 그 자체가 아니고서는 설명해 낼 수 없는 사실적 요소로, 실질적인 시각적 증명을 이루어 낸다. 이것은 이미지의 기능에 속한다. 이에 의해 이미지는 과거의 사건 즉 전쟁과 같은 상황을 기록하거나 단순히 상황을 시각적으로 재현해 내는 것이 아니라, 당시 상황을 재구성하게 하며 이를 통해 참사 혹은 전쟁을 설명하며 그 의미를 시대사적으로 해석하게 하는 대상물로 고찰하게 한다. 위의 사실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과거를 연구하는 학문인 ‘역사학’과 이미지를 연구하는 ‘미술사’와의 학술적 연구의 접점관계를 조명한다. 이미지 즉 시각적 자료는 역사학을 위한 연구대상물 자체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미지는 역사연구를 위한 주요한 시각자료로 간주되며, 조사연구를 위해 다양한 의미부여를 받는다. 이는 19세기 현대 역사학의 출현 이 후의 결과이다. 그림과 조각, 기념물, 건축물 그리고 사진과 필름 등의 다양한 시각적 자료들은 과거를 연구하는 역사학에서 의미 있는 연구 자료 및 출처로서 지난 시간 속에서 일어난 인간사의 사건과 정황들을 요약하고 개념화 해내는 역사연구와 조사 방법에 중요한 의미로 간주된다. 이미지가 역사학적 정보력을 지니는 주요한 자료인 사실에 착안하여, 역사학과의 불가분의 관계를 이루는 근본적인 배경에 이미지의 직접적인 전달력과 대체될 수 없는 그 힘에 대한 고찰을 이루는 본 연구는, 이미지를 통한 정보지식 전달의 가능성에 대한 제시가 될 것이다. 또한 이는 이미지에 잠재된 가능성에 대한 고찰인 동시에, 국제적으로 학제간의 융합을 도모하는 “이미지 학(Image, Knowledge, Gestaltung ? Bildwissenschaft)" 연구에 대한 의미부여 일 것이다. Is war documented by images or is war explained and reconstructed by images? The First World War is considered an armed conflict which brought casualties and destruction to a hitherto unknown level. Trench warfare in conjunction with the newly invented machine gun and the first time use of chemical agents as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re mainly responsible for this terrible devastation. Our perception and notion of this war is widely influenced by photographs which were made in large numbers by all participating war parties. The terrible devastation is more directly mediated by photography than by any other visual material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um of photography, it seems to represent reality as a factual phenomenon. Therefore, it seems that images by photos are reflecting the reality more than other media and intended for representation. But photographic images are no reproduction of reality nor do they document reality. However, images allow analogies and reconstructions of situations and provide substantial information of past times. These characteristics are not only for photographs but also for all visualized material. Images are not replaceable and exchangeable. The core of this paper is an investigation into reconsidering and rethinking the characteristics of imagery. Images of past events or situations do not reproduce or document scenes, but help visually to reconstruct past times. Thereby wars or disaster can be interpreted and explained and at the same time images will become more important objects for contemporary historical interpretation. This study attempts to highlight crossroads in Historical Studies and Art History. Images are not objects themselves of Historical Studies, nevertheless, images are regarded as important visual materials for historical research since the emergence of modern historical research in the nineteenth century. The large variety of visual materials such as paintings, sculptures, monuments, architectures and also photos and films constitute irreplaceable sources for historical research. Due to the significance of visual materials as historical information this article discloses the power of images, their inherent immediacy and irreplaceability. This essay tries to give an understanding of the possibilities of mediat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through images. The aspect of yet latent and undetected possibilities of images allows a gaining of international importance to Bildwissenschaft (Image Knowledge Gestaltung; Visual Studies) as an interdisciplinary research topic in art history.

      • KCI등재

        국내 이민자 교육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 2013-2019년 국내 발간 논문을 중심으로

        김은지(Kim, Eunji),김혜경(Kim, Haek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국내 이민자 교육에 관하여 2013년부터 2019년 7월까지 출간된 학위논문과 학술논문 총 102편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이민자교육의 자료 제공과 발전방향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논문 선정을 위해 주제어 검색을 통하여 이민자 교육에 관한 논문을 1차적으로 선정한 후, 학위논문과 학술지 중복자료는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분석대상을 확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연도별, 학문적 배경, 연구대상, 연구주제에 따라 분석하였고, 분류된 자료는 EXCEL 20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이민자 교육의 연도별 연구동향은 2013-2014년도에 최다 연구물의 출간을 보이며 급증한 후 연도에 따라 변화를 보이고 있다. 연구분야의 학문적 배경은 학위논문에서는 교육학 영역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고 인문학, 사회학 순으로 나타난 반면, 학술논문에서는 인문학이 가장 많고 교육학, 사회학 순으로 출간되었다. 연구대상별 분석에서는 대다수 결혼 이민자 연구 특히 여성이민자 연구가 다수를 이루었고, 이민자 자녀 및 남성이민자 교육에 관한 연구는 소수로 나타났다. 연구주제는 한국어 교육과 한국어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문화교육, 부모교육 등에 관한 연구는 적게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에 증가하고 있는 이민자 교육에 관한 연구의 기초자료가 되며, 한국어 교육 및 한국문화 전달 중심의 이민자 교육에서 더 나아가 종합적이고 문화반응적인 이민자 교육을 위한 제언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102 dissertations and research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13 and July 2019 on domestic immigrant education. Also current study was investigated to suggest the provision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immigrant education. After selecting the research studies on immigrant education through the subject search for selection, the analysis subject was finally determined by excluding dissertations and the duplicated journal articles. The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year, academic area,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topics. The classified data were calculated using the EXCEL 2010 program. As a result, the research trend of immigrant education by year showed the largest number of research publications in 2013-2014, and it has been changing year by year. The academic area of the field of study was more than half of education areas in the dissertations, followed by humanities and sociology, whereas research articles were published most frequently in the humanities. In the analysis by subjects, the majority of immigrant education studies, especially female immigrant studies, were found, and a few studies on immigrant children and male immigrant education. The research topics were mainly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curriculum, but little on cultural education and parent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e basic data for the research on the increasing number of immigrants in South Korea, and it is meaningful to provide a suggestion for comprehensive and culturally responsive immigrant education in addition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education of Korean culture.

      • KCI등재

        결혼의 경제적 손실비용 추정에 관한 연구

        김은지(Eunji Kim)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7 여성연구 Vol.92 No.1

        본 연구는 결혼으로 인한 기회비용 중 경제적 손실에 주목한다. 결혼의 기회 비용으로서의 경제적 손실을 분석한 연구들은 대부분 경력단절을 전후로 임금의 차이를 분석하거나 육아휴직으로 인한 임금손실분을 추정하였다. 그러나 결혼의 경제적 손실을 추정하는데 있어서, 만약 결혼을 하지 않았을 경우에 성취했을 잠재적인 성과와의 차이가 진정한 결혼이 가져오는 손실이라는 점을 고려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의 공백을 메우고자 Heckman의 2단계 추정법을 이용하여 독립변수를 결혼으로 하고, 월 임금을 종속변수로 하여 결혼의 경제적 손실모형을 추정하였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여성가족패널 1차~5차 자료를 이용한 실증분석 결과에 의하면, 결혼여부 선택편의를 교정한 모형에서는 경제적 손실이 월 14만원 가량으로 나타났으나, 노동참가여부 선택편의를 교정한 모형에서는 월 35만원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opportunity cost, specifically economic loss in the labor market due to marriage. Most of the studies on the economic opportunity cost due to marriage analyze wage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career breaks or estimate wage loss due to childcare leave. Despite abundant literature on the quantitative estimation of the economic loss of marriage, it is hard to find studies that take into account the potential performance that would have been achieved if not married. To fill the gaps in the related research, this study considers the potential economic performance of woman if not married creating a quantitative estimation of the economic loss from marriage. Heckman s two-step estimation method is used for the analysis. Marriage and the monthly wage are set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dependent variable, respectively.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is the data source.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the economic loss is estimated to be 140,000 Won after the modifications for the bias due to psychological and material benefits of marital status. In the model which corrects the bias due to the will of participation in the labor market, the economic loss is estimated to be 350,000 Won.

      • KCI등재

        한국 제2차 인구변천의 특징 : 객관적 지수와 태도/가치관 지수 간의 불일치를 중심으로

        김은지(Eunji Kim),박지은(Jieun Park),김영미(Youngmi Kim)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社會科學論集 Vol.52 No.2

        This study takes a cultural approach to the low marriage rate and fertility rate in Korea by measuring objective and attitude/value indices separately related to the marriage and childbearing, and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demographic change in Korea compared to Europe. Using OECD family database data for objective index and European Values Study (EVS) data and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KGSS) data for attitude/value index, we investigate how the Second Demographic transition occurs in Korea. While European countries with high attitude/value index have similarly high objective index and some European countries with low attitude/value index also have low objective index, Korea with the lowest attitude/value index have significantly high objective index, showing a different trend from the second demographic transition in Europe. Women in their 20s do not deny the institutional value of family despite being in the group with the highest attitude/value index, so they have individualistic but familial attitud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demographic transition in Korea through measuring objective and attitude/value indices separately and conducting a comparative study with Europe. 본 연구는 한국에서 지속되고 있는 낮은 혼인율과 출산율 문제에 대해서 문화적으로 접근하여 결혼 및 출산과 관련된 객관적 지수와 태도/가치관 지수를 따로 측정한 후 유럽과 비교하여 한국에서 나타나는 제2차 인구변천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객관적 지수는 2017년도 또는 2018년도의 OECD family database 자료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태도/가치관 지수는 2017년도의 European Values Study(EVS) 자료와 한국의 경우는 KGSS 2018 조사를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도/가치관 지수가 높은 유럽 국가들은 객관적 지수가 같이 높고 태도/가치관 지수가 낮은 일부 유럽 국가들은 객관적 지수도 함께 낮은 반면에, 한국은 태도/가치관 지수는 가장 낮은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객관적 지수는 높게 나타나 유럽의 제2차 인구변천과는 다른 추세를 보인다. 둘째, 한국에서 태도/가치관 지수가 가장 높은 집단인 20대 여성들은 결혼 및 출산과 관련된 개인주의적 태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가족의 제도적 가치는 부정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은 개인주의적이면서도 가족중심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한국의 결혼 및 출산과 관련된 다양한 인구 행동 변화를 이해하고자 객관적 지수와 태도/가치관 지수를 따로 측정하여 유럽과 비교연구를 통해 한국에서 나타나는 제2차 인구변천의 양상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2015 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의 다문화 내용 분석

        김은지(Kim, EunJi),이경화(Lee, KyeongHw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4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국어 교과서가 다문화 내용 요소를 잘 반영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다문화 교육을 위한 바람직한 국어 교과서로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국어 교과서 다문화 내용으로 상호 문화 이해, 협력적 상호작용, 반편견, 평등성, 정체성, 다양성을 선정하고 초등 교과서에 제시된 제재, 삽화(사진)의 다문화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하나의 제재 혹은 삽화(사진)에 하나의 다문화 내용이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다문화 내용이 함께 나타나고 있었다. 둘째, 학년별 편중 현상이 나타났다. 셋째, 제재와 삽화(사진)는 각각 주로 다루는 다문화 내용이 달랐다. 넷째, 제재와 삽화(사진) 모두 특정 학년에서 특정 다문화 내용이 나타나지 않은 경우가 있었다. 다문화 교육을 위한 바람직한 국어 교과서 구현을 위해 첫째, 평등성, 다양성과 같이 현재 양적으로 부족한 다문화 내용을 더욱 적극적으로 담을 필요가 있다. 둘째, 국어 교과서의 제재와 삽화에서 다루는 다문화 내용이 학년에 따라 위계적으로 제시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sought to find the direction of desirable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by analyzing whether elementary Korean textbooks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reflect elements of multicultural content. Thus, the multicultural contents of Korean textbooks were selected for mutual cultural understanding, cooperative interaction, anti-biased, equality, identity and diversity, and the multicultural contents of materials and illustrations presented in textbooks for first to sixth graders were analyzed. As a result, first, more than two multicultural contents appeared on one materials or illustration, not just one. Second, there was a bias phenomenon by grade. Third, the materials and illustrations were different in terms of multiculturalism, which were mainly dealt with. Fourth, both materials and illustrations(photo) did not show specific multicultural content in a particular grade. In order to realize desirable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more actively include multicultural content that is currently lacking in quantity, such as equality and diversity. Second, the multicultural content covered in sanctions and illustration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also needs to be presented hierarchically according to grade.

      • KCI등재

        한국 가족주의와 개인주의 혼재 속 청년세대의 제도적 결혼 가치

        김은지 ( Eunji Kim ),김효정 ( Hyojung Kim )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3 社會科學硏究 Vol.35 No.2

        본 연구는 저출산 현상의 핵심에 있으면서 비혼과 비출산 실천의 가장 직접적인 위치에 놓여있는 청년세대의 결혼에 대한 가치관을 분석하여, 한국 가족의 대표적 특징인 가족주의와 개인화에 대한 청년들의 태도가 제도로서의 결혼에 미치는 복합적인 영향을 탐구한다. 국내외 서베이 자료와 KGSS 연계 심층 면접 자료를 혼합방법론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 사회에서 가장 개인주의적인 그룹은 20-30대 청년세대임에도 불구하고 청년들은 결혼의 제도적 가치에 관해 대체로 수용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개인주의와 가족주의의 혼종성으로 인해 성별 및 결혼 여부에 따라 결혼의 제도적 가치를 인정하는 깊이와 내면화하는 서사에 차이가 있었다. 남성의 경우 가족주의가 본인의 사회적 위치를 중심으로 발현되는 반면, 여성은 결혼 제도 및 규범이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결혼이 제도로서 가지는 가치 체계의 구속력과 내면화 정도에 따라 미혼/기혼 여성들은 결혼 제도에 대한 거부와 순응을 반복하고 있었다. 청년들은 결혼 밖 친밀성 관계에 대한 불안과 제한적 인정 속에서 제도로서의 결혼 가치를 더욱 중요시하고 있었고, 비정상 가족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사회적 불이익은 이들이 결혼 제도 밖에서의 출산에 적극적으로 반대하는 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 연구는 개인주의적이라고 알려져 있는 청년세대 내에서 제도로서의 결혼 가치가 수용되거나 변화되는 방식을 젠더 차이에 초점을 맞추어 다차원적으로 드러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complex effects of young people’s attitudes toward familism and individualization, which are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Korean families, on marriage as an institution by analyzing the values of marriage of the young generation who are at the core of the low birth rate phenomenon and are placed in the most direct position of non-marriage and non-childbirth at the same time. Internal and external survey data and KGSS-linked in-depth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y using a mixed method approac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lthough the most individualistic group in Korean society is the young generation in their 20s and 30s, young people generally show an accepting attitude toward the institutional value of marriage. However, due to the hybridity of individualism and familism,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epth of recognizing the institutional value of marriage and the narrative of the internalization depending on gender and marital status. In the case of men, familism is expressed centering on their own social position, while in women, the marriage system and norms exerted an important influence. Also, according to the degree of binding force and internalization of the value system that marriage has as an institution, unmarried/married women were repeating rejection and conformity to the marriage system. Young people valued the value of marriage as an institution amid anxiety and limited recognition of intimacy outside of marriage, negative perceptions and social disadvantages of a bnormal families were influencing them to actively oppose childbirth outside the marriage syste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s the way in which the value of marriage as an institution is accepted or changed within the young generation, which is known to be individualistic, by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in a multidimensional 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