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상부위장관 출혈로 발현된 위유암종 1예

        김은규,황윤이,나일환,이동현,하흥성,박상제,김상현,송철수,이상혁,설상영 인제대학교 2001 仁濟醫學 Vol.22 No.1

        Gastrointestinal carcinoid tumors develop from Kulchitsky cells located in the crypts of Lieberkuhn. Gastric carcinoid tumors were previously recognized as rare, benign neoplasms. Reported cases of gastric carcinoid diagnosed by endoscopic examination are uncommon. And the gastric carcinoid tumor with massive upper gastrointestinal bleeding is a rare disease entity. We experienced a case of gastric carcinoid tumor admitted to the hospital because of hematemesis. On the gastrofibroscopic examination, 8mm sized polypoid mass with central umbilication and active spurting bleeding was noted on the greater curvature side of the upper gastric body. And the biopsy specimen showed carcinoid cells. EUS (endoscopic ultrasonography) revealed the lesion was limited to submucosal layer. It thus appears that the awareness of gastric carcinoid tumor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gastrointestinal bleeding is necessary. So we herein report this case with a brief review of pertinent literature.

      • 자발형성 양자점의 선택성장 기술

        김은규,이창효,김채옥,홍진표,현찬경,박용주 漢陽大學校 自然科學硏究所 2003 自然科學論文集 Vol.22 No.-

        본 연구에서는 단전자 소자를 제조하는데 활용될 수 있도록 자발형성된 InGaAs/GaAs, InAs/GaAs 양자점의 선택성장기법에 대해 조사하였다. 먼저 분자선 에피탁시를 이용하여 GaAs 기판위에 InAs/GaAs 변형된 초격자 버퍼층을 성장시킨 후 InGaAs 양자점을 형성시켰으며, 형성된 양자점의 성장이 규칙적으로 나열 되는 메카니즘을 연구하였다. InAs/GaAs초격자는 InGaAs버퍼층에 비해 성장된 결정의 균일성이 좋음에도 In비율 조절이 용이하기 때문에 양자점을 제어하는데 좋은 버퍼층이라 하겠다. 또한 원자력간 현미경의 탐침을 이용한 직접 기록방식을 이용하여 기판 상에 패턴을 형성한 후 자발형성 양자점을 성장하여 위치의 배열화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AFM 피에조 스캐너에 인가되는 전압 및 속도 조절을 통해 패턴의 폭과 깊이조절이 가능하였고 후 성장을 통하여 양자점이 패턴에 우선적으로 성장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같은 자발형성 양자점의 선택성장 기술은 신기능 나노소자제조를 위하여 응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정렬된 양자점은 단일전자소자등에 응용이 가능할 것이다. We have investigated selective growth method of InGaAs/GaAs, InAs/GaAs self assembled quantum dots for the application on single electron tunneling transistor. The first method uses molecular beam epitaxy to grow modified InAs/GaAs superlattice buffer layer on GaAs substrate. InAs/GaAs superlattice has a better crystalline uniformity than InGaAs buffer layer and has a better controllability of In Content which is suitable for the control of quantum dot growth. In another approach, we used the probe of the atomic force microscopy to directly pattern semiconductor surface allowing the position control in the subsequent quantum dot growth. The modulation voltage applied to the piezo scanner and the patterning speed was changed to obtain the controllability of the width and depth of the fabricated pattern. After quantum dot regrowth, we observed that the quantum dots were selectively grown on the pattern. These novel methods for self-assembled quantum dot selective growth can be applied to new functional nano-scaled devices. These well-aligned quantum dots could be applied for applications such as single electron tunneling devices.

      • KCI등재

        1920/30년대 근대 취미독물 잡지 《별건곤》을 통한 개벽사의 매체 발행 전략에 대한 연구 : 발행 주체, 편집 방향, 발행 체제를 중심으로

        김은규 한국출판학회 2013 한국출판학연구 Vol.39 No.2

        본 연구는 1920/30년대 취미독물을 표방하며 발행된 근대잡지 《별건곤》의 매체 발행전략을 고찰하는 것이다. 1920년대는 3.1운동 이후 일제가 문화통치를 표방하여 조선인의 언론활동을 다소나마 허용한 시기였다. 여기에 3.1운동 이후 대두된 민족주의와 사회주의가 조선 독립을 위한 이념적 지형을 형성하면서 각 부문운동을 고양시켰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민족독립과 민중계몽이라는 화두를 부여잡으면서 잡지의 발행 역시 활발하게 전개됐다. 이 와중에서 천도교의 후원을 바탕으로 설립된 개벽사는 대중적 종합잡지 《개벽》을 발행하면서 당시 잡지계를 이끌었다. 하지만, 1926년 《개벽》이 강제 폐간되었고, 개벽사는 이의 후속잡지로 《별건곤》을 내놓았다. 이후 《별건곤》은 1920년대 후반 개벽사의 대표적 잡지로 대중의 인기를 끌며, 74호까지 발행됐다. 취미독물로서 《별건곤》은 다양한 유형의 글을 게재했기에 당대의 시대상을 읽어내는 중요한 연구 자료가 되기도 한다. 하지만 아직까지 별건곤 자체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개벽사와 《별건곤》이라는 매체 자체에 주목하며 매체 발행 전략을 분석한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을 밝히고 있다. 첫째, 《별건곤》의 발행 주체로서 개벽사는 천도교 사회운동의 전략인 문화운동의 실천체라는 것이다. 1920/30년대 천도교는 후천개벽 사상을 바탕으로 신인간 창조운동에 주력했으며, 이를 위해 문화운동을 사회적 실천 전략으로 추진했고, 이을 위해 개벽사를 설립하여 문화운동으로서 언론활동을 전개했다. 둘째, 《별건곤》의 발행 배경 및 편집방향 역시 천도교 문화운동을 바탕으로 근대 식민지 시기의 민족 계몽을 위한 것이다는 점이다. 셋째, 《별건곤》의 발행 체제는 개벽사의 전략적 판단에 따라 별건곤 집중 시기, 매체 차별화 시기, 대중화 및 차별화 시기로 구분된다는 것이다. This study focus on the media strategies of Gaebyeoksa(publishing company) and Byeolgeongon as modern reading material in 1920s/1930s. In 1920s, Korea was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Since 3.1 Pro-independence Movement in 1919, colonial Japanese authorities allowed somewhat media activity by Korean. Also, Nationalism and Socialism had flourished for the ideology of independence. Based on these atmosphere, Publishing business for Magazine activated as a campaign for enlightenment and to inspire independence. That days, Gaebyeoksa which was supported by Cheondo Religion issued a popular magazine 'Gaebyeok' and led the Korean publishing scene. However, the Magazine 'Gaebyeok' was forcibly ceased publication by colonial Japanese authorities in 1926, and that Gaebyeoksa launched another popular magazine tilted 'Byeolgeongon'. After that time, 'Byeolgeongon' became representative publishing of Gaebyeoksa and issued to volume 74 during 9 years. The feature of 'Byeolgeongon' is modern reading material for popular hobby. These days, 'Byeolgeongon' is important text to research about Korean's modern life and the phases of that times. But there are a few of study about 'Byeolgeongon' itself. So, this study focus on the media strategies of Gaebyeoksa and 'Byeolgeongon'. Summary of this study is below; First, Gaebyeoksa as the publisher of 'Byeolgeongon' is a kind of practical organization for cultural movement which was promoted by Cheondo Religion in 1920s-1930s. Second, the publishing policy of 'Byeolgeongon' is for enlightenment of modern Korean and it also based on Cheondo Religion's social movement strategies. Thirds, the strategy of 'Byeolgeongon' publishing is divided as the times of 'Byeolgeongon' concentration, the times of differentiation, and the times of popularization and differentiation according to Gaebyeoksa's publishing strate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