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마스 아퀴나스의 대부이론 - 『신학대전』 2부 2편 제78문 ‘대부의 죄에 대하여’ 연구번역 -

        김율 ( Kim Yul ) 한국중세철학회 2021 중세철학 Vol.- No.27

        이 연구번역은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 2부 2편 제78문에 나타나는 대부이론을 다룬다. 토마스에 따르면 대부는 존재하지 않는 것을 파는 부정의의 죄다. 돈은 소유와 사용이 분리될 수 없는 소모재에 속하는 것이지만, 대부업자는 마치 소유권을 계속 보유하면서 사용권만 따로 판매하는 듯이 위장하여, 원금을 상환 받으면서 이자를 따로 징수하기 때문이다. 토마스는 대출에 대해서는 돈으로 측정될 수 없는 호의와 감정의 선물 외에는 어떠한 사례도 기대해서는 안 되며, 대출로 발생하는 일체의 일실이익에 대한 보상 요구 역시 허용될 수 없다고 강조한다. 토마스는 대부업자를 심지어 남을 협박하여 소유물을 강탈하는 도둑에 비유한다. 이러한 토마스의 견해는 대부 금지를 선언한 제2차 라테란 공의회(1139) 이후 나타난 가장 명료한 대부의 비도덕성 논증으로서 15세기까지 경제철학의 표준적 이론으로 기능한다.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omas Aquinas’s theory of usury in his Summa theologiae II-II q.78 by providing a compete translation of the text. According to Aquinas, the usury belongs to the vice of unjustice to sell something that does not exist. Money is to be counted as consumable thing of which possession and use are not separable, but the usurer tries to sell the right to use of money separately in his retaining the right to possession of money. So, the usurer extorts the usury beyond being repaid the principal. Aquinas emphasizes that, for lending money, one may not expect anything but favour and emotional gift which cannot be measured by money. Furthermore, Aquinas denies any claim right for lucrum cessans in the case of the loan and he compares the usurer to the robber who threats the victim to extort the possessions. Aquinas position is the clearest argument for unjustice of the usury after the Second Council of the Lateran and it works as a standard theory in the philosophy of economy until the fifteenth century.

      • KCI등재

        HOG기반 RBFNN을 이용한 상반신 검출 시스템의 설계

        선환(Sun-Hwan Kim),오성권(Sung-Kwun Oh),진율(Jin-Yul Kim)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6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26 No.4

        최근 감시와 보안을 목적으로 활발하게 CCTV가 설치되고 있고, 지능형 감시시스템은 영상에서 객체의 검출 및 감시 등으로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능형 영상 감시 시스템에서 HOG 특징과 FCM 기반의 RBFNN 분류기를 이용한 상반신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HOG는 보행자를 검출하기 위해 기존에 제안되었던 특징으로 본 논문에서는 이를 사용해 상반신의 고유한 기울기를 학습하였다. HOG 특징은 입력 이미지의 크기에 비례하는 고차원의 특징 벡터로 기울기를 표현하기 때문에 RBFNN분류기의 입력데이터로 쓰려면 차원 축소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PCA 알고리즘을 RBFNN 분류기 앞에 적용하여 HOG 특징의 차원을 저차원으로 축소하였다. 컴퓨터 실험에서는 미리 분류된 상반신 영상과 사람이 아닌 영상을 통해 분류기를 훈련시킨 후 테스트 영상과 동영상을 이용하여 제안된 상반신 검출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Recently, CCTV cameras are emplaced actively to reinforce security and intelligent surveillance systems have been under development for detecting and monitoring of the objects in the video. In this study, we propose a method for detection of upper body in intelligent surveillance system using FCM-based RBFNN classifier realized with the aid of HOG features. Firstly, HOG features that have been originally proposed to detect the pedestrian are adopted to train the unique gradient features about upper body. However, HOG features typically exhibit a very high dimension of which is proportional to the size of the input image,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dimension of inputs of the RBFNN classifier. Thus the well-known PCA algorithm is applied prior to the RBFNN classification step. In the computer simulation experiments, the RBFNN classifier was trained using pre-classified upper body images and non-person images and then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classifier for upper body detection is evaluated by using test images and video sequences.

      • KCI등재

        의지운동의 원인에 대한 둔스 스코투스의 이론

        김율(Kim, Yul)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8 철학사상 Vol.70 No.-

        이 논문의 목적은 스코투스의 의지운동 이론이 제시되어 있는 『강독집』 제2권 제25문에 대한 분석과 해설이다. 이 문헌에서 스코투스는 의지운동의 원인에 대한 당대의 두 유력한 경쟁적 이론, 즉 고데프리두스와 헨리쿠스의 이론과 대결하여 자기 자신의 고유한 이론을 모색한다. 고데프리두스는 전통적인 아리스토텔레스주의의 입장에서 의지운동의 원인을 의지의 대상으로 소급시켰던 반면, 헨리쿠스는 대상의 원인성을 필요조건으로 극소화시킴으로써 의지의 자기운동을 주장했다. 그런데 스코투스에 따르면, 고데프리두스의 이론은 의지의 자유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고 헨리쿠스의 이론은 대상에 따른 의지활동의 종적 구별을 설명하지 못한다. 그래서 스코투스는 대상을 인식하는 지성과 의지가 부분적 원인으로서 함께 작용하여 의지활동을 일으킨다는 중간적 길을 취한다. 스코투스의 중간적 길은, 단순히 의지의 능동성의 정도 또는 범위를 둘러싸고 주지주의와 주의주의의 산술적 중립 지점을 찾으려는 시도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중간적 길에서 문제되는 것은 의지가 작용의 능동성을 지성과 분점하는가 아니면 독점하는가의 문제가 아니라 의지의 비결정성을 이해하는 새로운 방식이기 때문이다. 스코투스가 주목하는 것은 어느 경우에든 의지활동을 산출하지 않을 수 있는 의지의 본원적 비결정성으로서, 이러한 비결정성은 대상의 인과성에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오히려 대상의 인과성과 양립할 수 있다. In presenting his argument on the causes of the will’s motion in Lectura II, d.25, Duns Scotus wrestles with two competing theories from his contemporaries, Godfrey of Fontaines and Henry of Ghent. While Godfrey reduces the cause of the will’s motion its object, Henry insists on will’s self-motion by minimizing the causality of the object as causa sine qua non. Scotus argues that Godfrey’s theory is insufficient to explain the freedom of the will while Henry’s theory fails to explain specific differentiation of the will’s acts by its objects. Therefore, Scotus offers the via media as the more complete explanation, according to which the will and the intellect act concurrently as partial cause in the will’s motion. This middle way that Scotus has chosen is not to be simply understood as an arithmetic neutrality between intellectualism and voluntarism in terms of the degree or range of the will’s active causality. In the via media, Scotus is not concerned about the question whether the activity is affiliated exclusively with the will or shared by the intellect in the will’s motion. The crux in the via media Scoti is the fundamental notion of the will’s indetermination, i.e. the capacity to act or not to act in the face of an object is, as follows the intrinsic nature of the will, compatible with the causality of the object, because it is not dependent on that causality.

      • KCI등재

        성 알베르투스 마그누스의 『신명론주해』에 나타난 빛과 아름다움 개념

        김율(Kim, Yul) 한국서양고전학회 2017 西洋古典學硏究 Vol.56 No.2

        이 논문의 목적은 13세기의 대표적인 아리스토텔레스 수용자이자 동시에 신플라톤주의의 계승자였던 알베르투스 마그누스의 빛과 아름다움 개념을 분석하는 것이다. 알베르투스는 위 디오니시우스의 신플라톤주의적 유출이론에 근거하여, 그리고 플라톤의 분유 관념을 이용하여, 물체와 정신을 망라하여 모든 피조물이 지니는 아름다움의 원형이 신이라는 중세 그리스도교 미학의 근본 교의를 설명한다. 신은 곧 선이며, 빛은 선의 첫 번째 결과다. 알베르투스에게서 빛은 선과 아름다움을 연결해주는 일종의 형이상학적 매개 개념으로 기능한다. 그에 따르면, 아름다움의 종적 정의는 “비례에 맞고 한정되어 있는 질료의 부분들 위에 있는 실체적 또는 우유적 형상의 찬란함”이다. 또한 아름다움은 자신에 대한 바람을 일으키고 모든 것을 통합시킨다고 설명된다. 알베르투스가 제시하는 아름다움의 이러한 개념적 조건들은 그의 형이상학적 빛 개념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근본적으로는 위 디오니시우스의 빛 개념에서 연원하는 것이다. This paper aims at elucidating the meaning of light (lumen) and beauty (pulchridtudo) in the philosophy of Albert the Great. On the basis of the Plato’s theory of participation, Albert regards God as the prototype of beauty both in the soul and in all corporeal things. Following Pseudo Dionysius, he says that God is none other than the Good itself and that the first effect of the Good is light. So for Albert, the light is the mediating notion between the Good and the beauty. According to him the specific definition of beauty is “the splendor of the substantial or accidental forms over the proportioned and well limited parts of matter (splendor formae substantialis vel accidentalis super partes materiae proportionatas et terminatas).” Furthermore, beauty arouses the desire to itself and congregates all things. These conditions of the notion of beauty are based on the metaphysical notion of light, and are derived from the Dionysian concept of light.

      • KCI등재

        익상편환자에서 생체접착제를 이용한 변형된 결막소판술의 임상결과

        문경(Moon Kyoung Kim),전익현(Ik hyun Jun),태임(Tae im Kim),응권(Eung Kweon Kim),서경률(Kyoung Yul Seo) 대한안과학회 2017 대한안과학회지 Vol.58 No.7

        목적: 익상편 환자에서 결막봉합 부위에 생체접착제를 이용한 변형된 결막소판술을 시행한 후 장기간의 임상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4년 1월부터 2015년 8월까지 단일기관에서 생체접착제를 이용한 변형된 결막소판술을 시행 받은 익상편환자 148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생체접착제를 이용한 변형된 결막소판술을 받은 환자에서의 재발률 및 수술 소요시간을 분석하였다. 동일 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재발한 군과 재발하지 않은 군을 비교하여 관련인자를 평가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60.2 ± 1.1세(29-86)이며, 평균 수술 소요시간은 11.8 ± 5.8분(5-36)이었다. 총 대상 148명 중 재발률은 4.0% (6/148)로 나타났으며 재수술률은 0.6% (1/148)로 나타났다. 생체접착제를 이용한 변형된 결막소판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재발한 군과 재발하지 않은 군을 비교해 본 결과, 재발한 군에서 환자의 연령이 어렸고, 익상편의 중증도가 높았으며, 양안성으로 발병한 경우가 많았다(p<0.05). 결론: 생체접착제를 이용한 변형된 결막소판술은 기존의 익상편 수술만큼 안전하며 재발률이 낮은 수술방법이다. 생체접착제를 이용함으로써 수술시간의 단축 및 봉합사의 감소로 수술 후 불편감을 줄여줄 수 있어 익상편 수술방법으로 고려할 수 있는 술식이다. <대한안과학회지 2017;58(7):797-803> Purpose: To analyze the long-term clinical outcomes after use of fibrin glue using a modified mini-flap technique for pterygium surgery. Methods: This study is a retrospective, clinical outcome study of 148 subjects that underwent the modified mini-flap technique with fibrin glue from January 2014 to August 2015. We analyzed the recurrence rate and surgical time of modified mini-flap surgery with fibrin glue. We also analyzed associating factors between the recurrence group and non-recurrence group who underwent the same surgery technique. Results: Mean age was 60.2 ± 1.1 (ranging from 29 to 86) years, and mean surgical time was 11.8 ± 5.8 (ranging from 5 to 36) minutes. The recurrence rate of pterygium patients who underwent the fibrin glue using a modified mini-flap technique was 4.0% (6/148), and the re-operation rate was 0.6% (1/148). From the comparison of associating factors between recurred and non-recurred groups, the recurred group was younger, had more severe disease, and had a higher rate of bilaterality than the non-recurred group (p < 0.05). Conclusions: The new approach using fibrin glue with a modified mini-flap technique shows a low recurrence rate compared to the other type of pterygium surgery. The use of fibrin glue shortened operation time and decreased patient discomfort due to fewer remnant sutures. Fibrin glue use in a modified mini-flap technique can be considered as a feasible surgical option for pterygium patients. J Korean Ophthalmol Soc 2017;58(7):797-803

      • KCI등재

        건성안 진단에서 눈물띠 측정 스트립의 유효성

        문경(Moon Kyoung Kim),지용우(Yong Woo Ji),이형근(Hyung Keun Lee),서경률(Kyoung Yul Seo),응권(Eung Kweon Kim),태임(Tae im Kim)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10

        목적: 건성안 환자에서 strip meniscometry를 이용한 눈물 측정치와 기존의 눈물 검사들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strip meniscometry 검사의 진단적 유효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연구에 포함된 대상자를 strip meniscometry를 이용한 눈물띠 측정, 쉬르머 검사, 눈물막 파괴시간,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한 눈물띠 측정 등을 시행한 후 건성안군(n=46안)과 정상안군(n=30안)을 비교분석하였으며, Spearman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strip meniscometry 측정치와 그 외 검사와의 상관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Strip meniscometry를 이용한 눈물띠 수치는 쉬르머 검사(r=0.6080), 눈물막 파괴시간(r=0.5980),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한 눈물띠 깊이(r=0.6210), 너비(r=0.6080), 면적(r=0.6370) 수치와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졌다(p<0.01). 또한 정상안군(7.07 ± 2.61 mm) 에 비해 건성안군(4.58 ± 1.94 mm)에서 strip meniscometry 측정치가 유의하게 낮았다(p<0.05). 결론: Strip meniscometry는 건성안 환자 및 정상안 환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기존의 눈물 검사와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진다. Strip meniscometry는 쉬르머 검사에 비해 적은 검사시간이 필요하고 비침습적인 방법이므로 건성안 환자의 평가에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한안과학회지 2016;57(10):1521-1526> Purpos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strip meniscometry test for dye eye syndrome (DES) by measuring the correlation between strip meniscometry and conventional test measurements. Methods: All subjects were examined using the Schirmer test, tear breakup time (TBUT) and strip meniscometry using SMTube (Echo Electricity Co., Ltd., Fukushima, Japan). Tear meniscus height (TMH), tear meniscus depth (TMD) and tear meniscus area (TMA) were measured using Fourier-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The DES group (n = 46 eyes) was compared with the normal group (n = 30 eyes) and correlation was assessed using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Strip meniscometry measuremen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chirmer score (r = 0.6080, p < 0.01), TBUT (r = 0.5980, p < 0.01), TMH (r = 0.6210, p < 0.01), TMD (r = 0.6080, p < 0.01) and TMA (r = 0.6370, p < 0.01). Strip meniscometry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DES group (4.58 ± 1.94 mm) than the normal group (7.07 ± 2.61 mm, p < 0.05). Conclusions: Strip meniscometr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ther conventional test measurements for dry eye syndrome. Strip meniscometry is less time consuming and a less invasive method than the Schirmer test. Strip meniscometry could be an efficient tool to evaluate patients with dry eye syndrome in a clinical setting. J Korean Ophthalmol Soc 2016;57(10):1521-1526

      • KCI등재

        논문 : 철학의 진리와 신앙의 진리

        김율 ( Yul Kim ) 한국중세철학회 2011 중세철학 Vol.0 No.17

        보에티우스 다치아의 『세계의 영원성에 관하여』는 신앙과 이성을 분리하는 14세기의 시대정신을 라틴아베로에스주의자들이 예비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문헌이다. 이 저작에서 보에티우스는 세계의 영원성이라는 문제와 관련하여 그리스도교 신앙과 철학의 견해가 결코 모순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이고자 한다. 그에 따르면, 세계에 시간적 시초가 있다는 신앙의 명제는 단적인 진리이지만, 자연학자는 그가 자연학자인 한에서 세계의 시간적 시초는 없다는 결론을 말할 수 있으며 또 말해야 한다. 그런데 자연학자의 이러한 결론은 자연학의 원리에서 도출된 것에 불과하므로 자연학자의 결론과 신앙의 명제는 결코 모순 관계에 놓일 수 없다. 이러한 이유에서 보에티우스는, 신앙에 어긋나는 명제를 가르친다고 철학을 비난하던 당대의 신학자들에 맞서 철학자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변호한다. 자기 학문의 원리와 한계에 대해 보에티우스가 철학자로서 갖는 정확한 자의식은 신앙과 철학을 무모순적 분리의 관계에서 이해하는 태도가 나타나기 위한 조건이다. De mundi aeternitate des Boethius von Dacien gilt als einer der wichtigsten Texte des lateinischen Averroismus, und zeigt, dass die lateinischen Averroisten die geistige Tendenz des 14. Jahrhunderts, die Vernunft vom Glauben zu trennen, in wesentlichen Aspekten im 13. Jahrhundert vorweggenommen haben. In diesem Traktat versucht Boethius zu erweisen, betreffs der Ewigkeit der Welt die christliche Glaubenslehre und die Position der Philosophie keineswegs im Widerspruch stehen. Er behauptet, dass der Naturphilosoph als Naturphilosoph den zeitlichen Anfang der Welt negieren kann und muss, obwohl die Glaubenslehre von der zeitlichen Schopfung eine schlechthinnige Wahrheit ist. Der Naturphilosoph sagt namlich nur, dass die neu entstandene Welt auf Grund der naturlichen Ursache und Prinzipien nicht moglich anzunehmen ist. Auf diese Weise verteidigt Boethius gegen die zeitgenossischen Theologen, die die heidnische Philosophie verweisen, die Recht der Philosophen, philosophisch zu schlussfolgern. Das klare Selbstbewusstsein des Philosophen uber die Prinzipien und die Grenze seines Wissens ist also eine Bedingung dafur, den Glauben und die Philosophie voneinander zu separieren und doch stets die unwiderspruchliche Beziehung beider festzustell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