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서울 상징 ‘해치캐릭터’의 기호학적 가능세계에 관한 연구

        김윤배(Kim, Yoon-Bae)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1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0 No.3

        브랜드캐릭터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브랜드캐릭터의 고유특성이라 할 ‘허구성’의 메시지적 속성과 그에 따른 수용 과정을 심리학적 분석 내지 인과적 모형에 초점을 두고 연구 되어왔다. 본 고는 브랜드캐릭터를 기호로 보고, 문화연구의 한 방법론인 기호학적 독해를 통해 캐릭터의 탈인과적 독서가설이 가능함을 입증하고 자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 상징 ‘해치캐릭터’ 를 텍스트로 전환하여 분석하고, 이에 대한 독서가설의 탈인과적 모형을 만들어 캐릭터의 다면적 특성을 연구하는 데 주목적을 두었다. 먼저 철학과 문학에서의 허구적 대상에 대한 연구를 이론적 토대로 하여 ‘허구성’의 존재적 의의를 밝힌 담론전략개념을 구체화하고, 텍스트학과 구조주의에서 발전시킨 양상성 연구를 재해석하여 인과가 아닌 생성차원의 ‘기호학적 가능세계’모형을 구성하였다. 따라서 캐릭터가 우연성과 허구성의 실체임에도 불구하고 대중에게 진실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기 위해서는 담론이라는 상황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브랜드캐릭터 독서가설에는 의미생성모델이라는 기호적 장치를 동시에 수용하는 기호학적 가능세계 모형이 요구된다. 서울시 상징 ‘해치캐릭터’를 분석한 결과 인과적 표현체라는 결정적인 한계가 있음이 인지되었고, 이를 다시쓰기라는 표현전략을 통해 우연성과 다면성의 합체 가능성을 찾아냄으로써 브랜드캐릭터의 기호학적 가능세계의 필요성을 시사하고자 하였다. 또한, 캐릭터의 기호학적 가능세계 모형이 단순히 기호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것만이 아니라 동시에 캐릭터의 창작이라는 실무의 발전방향에서도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고 사료된다. The existing literature of brand character has studied on thematic attributes of fictionality as inherent traits of brand character along with its adopting process, particularly focusing on psychological analysis or effect analysis. Assuming a brand character as a symbol, this proposed study demonstrated to verify the hypothesis of non-causal character decoding through semiotics, one of methodologies in cultural research. For research method, Haechi character, the symbol of Seoul, was firstly switched to a text for analysis, then a model of decoding hypothesis was established and interpreted for the study purpose of investigating multifaceted traits of character. First of all, through the process of concretizing the concept of discourse strategy that identifies the existential meaning of fictionality and reinterpreting the research on aspects of semiotics and structuralism based on the theory of fictional object in philosophy and literature research, the model of semiotic passible world was structured at the level of formation instead of causality. Therefore, given the fact that certain situational discourse is prerequisite for the public to accept a character as a concrete object despite its fictionality, the decoding hypothesis of brand character requires the model of semiotic passible world simultaneously equipping a semiotic device that is called a model of Generative trajectory - Generating means. The result from the analysis on Haechi character, the symbol of Seoul, shows that the character has a crucial limitation, namely a body of causal expression, which verifies the necessity of semiotic passible world for a brand character by probing the possibility in combining contingency and multifacetedness through paraphrasing, that is, the method of expression strategy. In addition, the semiotic passible world model of a character in the study would make meaningful contributions in symbo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as well as in character creation and improvement at working level.

      • KCI등재

        평창동계올림픽 엠블럼의 기호학적 가능세계에 관한 연구

        김윤배(Kim, Yoon Bae),김가이(Kim, Ga E)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5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9 No.-

        올림픽은 단순히 세계인의 화합을 위한 스포츠 대회만은 아니다. 개최국의 과학과 기술 그리고 문화예술의 총체적 역량을 보여주는 세계인의 축제의 장이다. 올림픽 엠블럼은 개최국의 총체적인 역량의 아이덴티티를 시각적인 표층적 매개체의 역할과 함축된 문화적 의미를 담은 텍스트로도 기능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평창동계올림픽 엠블럼을 표층적 기표를 통해, 내면적 기의를 분석하는 텍스트기호학적 관점에서 개최국의 이미지가 세계인들에게 잘 알려질 수 있는 매개체임을 입증하는 데 있다. 엠블럼은 추상적으로 인지되는 형태적 그림이면서도, 한편으로 수용자의 의식 안에서 무엇인가를 추리해내는 사고적 행위로 작동한다. 이것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엠블럼 표현의 기호를 해석하고 읽어내는 수준을 넘어 행위 중에 발화하는 언표, 즉 하나의 표현이 수행되는 화용적 상황(Pragmatic Situation)에 주목하여 가능세계로 접근하는 방법론이 제기되었다. 특히 구상적인 성격을 가진 엠블럼과 달리 표현체(formant)로 나타난 대상들이 추상적 대상일 경우 이들이 실현하는 유의미적 자질을 분석해 내려면 좀 더 풍부한 메타언어를 확보해야만 하였다. 추상적 표현체를 구상적 표현체로 간주하는 문제는 기호학적 가능 세계론으로 접근하여 연구하였다. 표면적으로 엠블럼의 시각적 요소인 ‘ㅍ’은 우리 한글을 모티브로 하여 개최지 ‘평창’의 ‘평’의 초성 ‘ㅍ’과 하늘, 땅 그리고 사람들의 어울림을 우리의 전통사상인 천지인을 상징적으로 표현하였고, "ㅊ"은 ’평창‘의 ’창‘의 초성 ‘ㅊ"과 눈과 얼음의 결정체이미지, 동계스포츠 선수를 형상화하였다. 동계스포츠와 별 이미지를 통해 평창올림픽에서 화려하게 탄생할 스포츠 스타를 상징화하여 개최 도시 및 국가 이미지 그리고 동계올림픽의 의미를 함축하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엠블럼도 모든 국가가 지구촌이라는 하나의 무대에서 현대와 과거가 어우러진 시공간적 이야기를 풀어내어 청중(독자)에게 다차원적 가치로 해석되고 경험되는 가능세계가 ‘참’이 됨을 알 수 있었다. The Olympic Games are not only a sports festival that unite the world, but also a global festival enabling the host to showcase its achievements in science, technology, art and culture. The Olympic Games emblem works as a medium identifying visually the comprehensive competence of the host, as well as a sign imbued with cultural meaning. Regarding thi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how how the Olympic Games emblem could work as an effective medium delivering the identity of the host to the world in terms of semiotics, specifically through a case study of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emblem. An emblem is an image which has a specific form, and the audience deduce meanings from the image. In this study, I suggest a methodology approaching ‘possible worlds’ by focusing on a locutionary act, that is a ‘Pragmatic Situation’ in which an expression is actualized, rather than merely reading and interpreting the signs or image of the emblem. In particular, abstract ‘formant’s, which unlike emblems with a concrete ‘structure’, we have to be able to use rather inventive meta-language to understand. Therefore, I consider abstract ‘formant’s as concrete in terms of a ‘semiotic possible world’. For example, ‘ㅍ’, a visual element of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emblem and the initial consonant of the syllable ‘평’ from the name of the city ‘평창’, expresses symbolically one of the traditional Korean ideas of the harmony of the universe, the earth, and people. As the initial consonant of ‘창’, ‘ㅊ’ symbolizes snow and ice crystals and the Olympic athletes. Through the images of winter sports and competitors, the emblem symbolizes sports stars rising up from the Olympic Games. Therefore, the emblem implies the meanings of the Olympic Games as well as representing the images of the hosting city and national identity. In conclusion, the Olympic Games emblem works as a medium leading audiences to experience a possible world, which can be interpreted and experienced in a many ways, as ‘truth’ by reflecting the harmony of time (the present and the past) and space (as a global village).

      • KCI등재후보

        암컷 랫드의 생식기능에 미치는 반하 (Pinellia ternata) 추출물의 영향

        김윤배(Yun-Bae Kim),채희열(Hee-Youl Chai),이기창(Ki-Chang Lee),윤영원(Young Won Yun),김대중(Dae Joong Kim),남상윤(Sang-Yoon Nam),노재섭(Jai Seup Ro),황방연(Bang Yeon Hwang),강현구(Hyun-Gu Kang) 한국실험동물학회 2005 Laboratory Animal Research Vol.21 No.1

        Effects of water extract of Pinellia ternata on vaginal opening, estrous cycle, blood estrogen concentrations and uterine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were investigated in immature and mature female rats. In pubertal onset assay, immature rats were orally administered with Pinellia ternata extract at doses of 20, 200 or 2,000 ㎎/㎏ for 20 days from day 21 of age, and sacrificed after the final administration for the morphological and enzymatic analyses in reproductive organs. During the administration period, estrous cycle was determined by vaginal cytology from the vaginal opening day. Separately, estrous cycle and daily blood concentrations of estrogen were measured from 11th day during 20-day treatment with Pinellia ternata extract in mature rats of 10 weeks old. In pubertal onset assay, vaginal opening time was somewhat delayed by the administration with Pinellia ternata at all doses used, in contrast to a marked advance in rats treated with 17β-estradiol (10 ㎍/㎏). However, Pinellia ternata increased uterine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which was also observed in animals treated with 17β-estradiol. Interestingly, Pinellia ternata prolonged the diestrus period in both immature and mature rats. On the contrary, 17β-estradiol arrested the estrous cycle at estrus stage in immature rats, although it prolonged diestrus-proestrus periods in mature animals. Taken together, it is suggested that the water extract of Pinellia ternata might influence the female reproductive function somewhat differently from 17β-estradiol, and that the toxicity and action mechanism of Pinellia ternata following long-term exposure remain to be clarified.

      • KCI등재
      • KCI등재

        카지노의 사회적 책임이 기업이미지와 기업신뢰에 미치는 영향연구

        김윤배 ( Yoon Bae Kim ),구본기 ( Bon Ki Koo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6 觀光硏究 Vol.31 No.1

        본 연구는 카지노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문화마케팅에 따라 기업이미지와 기업신뢰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고 이러한 영향력이 카지노 기업의 기업이미지와 기업신뢰로 이어지는지를 밝힘으로써 카지노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따른 대안을 제시하며 이와 더불어 카지노기업들이 문화마케팅을 통하여 기업이미지와 기업신뢰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적 연구방법과 이를 바탕으로 설정된각 변수들에 대한 요인들을 토대로 카지노 기업들의 사회적 책임에 따라 직접적인 대상으로 한 실증적 연구방법을 병행하여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카지노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기업이미지에 영향이 있는가에 대한 검증으로 하나의 주가설과 네 개의 하위가설들로 구성되어 진다. ‘경제적 책임’의 t값이 7.037로 통계적인 유의수준 하에서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사회적 책임의 ‘윤리적 책임’, ‘법률적 책임’, ‘자선적 책임’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카지노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기업신뢰에 영향이 있는가에 대한 검증으로 하나의 주가설과 네 개의 하위가설들로 구성되어 진다. ‘경제적 책임’의 t값이 8.372로 통계적인 유의수준 하에서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자선적 책임’의 t값이 3.384, ‘법률적 책임’의 t값이 2.368, ‘윤리적 책임’의 t값이 -2.633으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카지노 기업의 기업이미지가 기업신뢰에 영향이 있는가에 대한 검증으로 하나의 주가설로 구성되어 진다. 기업이미지의 t값이 17.540으로 통계적인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Research of this paper reveals how cultural marketing of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y differently impacts the corporate image and reliability and suggests alternatives to th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y. Moreover, the main goal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lesson on the corporate image and corporate reliability through cultural marketing. Based on both the scholastic and practical research method, this research came up with a conclusion as follows. First, one main hypothesis and four sub-hypothesis were made in order to prove the impact of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y of casino on the corporate image. T value of ‘economical responsibility’ was 7.037 under the statistical level of significance. However, ethical responsibility, legal responsibility, philanthropic responsibilitydid not have impact on the corporate image and reliability. Second, one main hypothesis and four sub-hypothesis were made in order to prove the impact of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y of casino on the corporate reliability. T value of ‘economical responsibility’ was 8.372 and t value of philanthropic responsibility was 3.384. Following that, and t value of legal responsibility was 2.368 and and t value of ethical responsibility was 2.633, which indicates its negative impact on the corporate reliability. Third, one main hypothesis were made in order to prove the impact of corporate image of casino on the corporate reliability. T value of corporate image was 17.540under the statistical level of significance.

      • KCI등재

        자동차 광고의 광고텍스트 모델독자에 관한 융합연구

        김윤배(Kim, Yoon Bae),김가이(Kim, Ga E)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6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3 No.-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현대 광고텍스트의 중심요소가 상품제시에서 브랜드 측면으로 대체되고 있다는 것은 사회적 담론을 지향하는 커뮤니케이션 매체의 필연적 특성인 반면 메시지의 불투명성으로 인한 상품 콘셉트의 모호성이 오히려 소비자의 다의적 해석을 허락한다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불투명성의 광고야 말로 송신자의 의도를 그대로 수용자에게 전달하는 일방적 경로에서 수용자의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해석 이른바 “모델독자독서”에 의해 의미가 완성되는 광고텍스트 수용전략을 기호학적 시각에서 규명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 및 내용,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방법에서는 첫째, 텍스트의 불투명성을 가능 세계이론으로 재정립하는 것 둘째, 소비자의 적극적 협력방식을 ‘모델독자’로 치환하는 텍스트화용론을 도입하였고 셋째, 사례연구로는 자동차라는 제품을 등장 시키지 않고 배경과 브랜드만으로 제품 콘셉트를 전달하는 글로벌 마케팅 자동차광고를 선정하여 텍스트 화용론적으로 분석을 하였다. 분석된 광고텍스트들은 최소화된 상황적 요소와 브랜드를 강조하여 자동차 제품을 광고하는 것인지 알지 못하였으나 실물같은 대상물이 없는 지시의 불투명성으로 인해 현실의 대안인 가능세계의 논의로 꿈과 희망을 소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시각언어 텍스트에는 술어가 존재하지 않는 관계로 제품인지와 구매의 실행에 필요한 주체 즉, 자동차회사와 소비자 간 협력의 조정이 필요하다는 데서 모델독자의 독서행위를 통해 단순히 텍스트 수용자가 아닌 참여자로서 공동저자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결과에서는 향후 모호성 광고를 해독하는 모델독자는 광고주가 텍스트에 남긴 공백 속에 들어가 의미를 무한하게 재생산해 내며 화용적 상황에 따라 텍스트를 탈코드화와 재코드화를 거쳐 기업-소비자간 협력적 담론을 현실에서 볼 수 없는 더 전형적이고 보편적인 구조로 인식시켜 주게 될 것이다. Modern advertising, while emphasizing the social contribution of companies, central element of ad text is replaced by the brand side in commodity presentation. This is to show the inevitable procedure of communication medium directed to social discourse, consumer of ambiguous interpretation by the opacity of one of the messages, to obscure the product concept.. The purpose of this study, ads that take on these ambiguities what the meaning of is complete so-called active and proactive interpretation of inmates in one of the paths to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accommodate the intention of the sender "reading of the model reader" It is it is the ad text housing strategy has to be investigated in a symbolic vision. First, in the methodology of analysis of this study, that a second to re-establish the possible worlds theory of the opacity of the text, introduced the text pragmatics to replace the active cooperation scheme of consumers in the "model reader" In the case study, and then select a global marketing vehicles ads convey the only product concept background and brand without appeared car, it was carried out theoretical analysis for the text language. Analysis ad text, is minimized, did not know whether to advertise the car emphasizes the situational factors and brand, if the Ad analyzed, opaque no object, such as a real instruction By gender, the reality of the other side a dream of a real alternative possible world of discussion hope "now", it is that "here" can be hope. In addition, the principal required to purchase and run items recognized in relation to text circle predicate of visual language does not exist, that is, since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cooperation between automobile companies and consumers, reading act of model readers through, not just the text contained, it is the point of being able to make the role of co-author as a participant. Model reader to interpret the ambiguous ads that do not have a description format of the text dimension as a conclusion, advertisers,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out in of volume the meaning is contained in the space left by the text by playing infinitely text through a de-coding and re-coding, corporate - can not be seen in reality a cooperative discourse among consumers is that it makes us recognized as being more typical universal structure.

      • KCI등재

        삼성과 SK 심벌마크의 의미생성구조에 관한 연구

        김윤배 ( Kim Yoon Bae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7 한국디자인포럼 Vol.15 No.-

        그동안 기호학이 회화나 광고 분석에 많이 활용되었으나 심벌마크에 적용된 바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심벌마크를 미학적 측면보다는 기호학적 구조로 접근하여 의미작용 현상을 밝히고 논지를 더 밀고나가 가능세계까지 펼칠 수 있음을 밝히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받아들인다면 우리는 심벌마크와 메시지의 관계를 기호체계의 기표와 기의의 관계로 바꾸어, 과학적 학문으로 입증된 기호학으로 연구할 수 있다. 기표와 기의의 관계는 심벌마크의 의미생성 과정으로 본다. 심벌마크가 의미생성작용을 한다면 심벌마크는 일종의 텍스트가 되고, 텍스트는 시스템(계열체)과 과정(통합체)의 두 축을 따라 인식되거나 지각될 수 있다. 어떤 현상이든 분석대상으로 취해지면 두 가지 관점, 즉 시스템이라는 관점과 과정이라는 관점을 통해 관찰할 수 있다. 텍스트로서의 심벌 마크는 기업조직의 표현을 확인시켜주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것의 `미션`을 수행해 간다. 이것은 기표로서의 기업조직의 표현과 기의로서의 기업목표(가치)가 자의적인 관계가 아니라 유연적 관계를 갖는 기호-상징적 관계에 있음을 보여준다. 삼성과 SK심벌마크를 의미생성구조모델에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두 기업의 심벌마크는 기표와 기의의 관계가 자의적으로 구성된 것이 아니라 기호-상징적 관계를 유지함을 알 수 있었다. 두 심벌마크가 제공하는 두 기업의 가치구조인 혁신성/성장성과 신뢰성/전통성은 기호-상징적 관계를 통해 불연속성과 연속성이라는 상징적 구조를 갖추게 되고 이들 불연속성과 연속성은 각기 색채,형태 위상구조라는 표현면 범주에 귀속되어 삼성과 SK심벌마크의 가능세계는 표현면 범주인 시각적 요소가 이루어내고 있음이 증명된 셈이다 결국 삼성과 SK심벌마크라는 두 심벌마크를 통해 동일한 메시지가 있더라도 차이나는 이야기 프로그램을 작동시키고 이야기는 다시 담론구조에서 두 기업의 차별화된 전략을 구상적으로 보여주어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최종 이미지는 여러 해석 가능성을 가진다는 기호학적 의미생성구조를 밝혀낼 수 있다. Semiotics has been applied to painting or analyzing advertisement, however it has rarely been applied to symbol mark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roach the symbol marks of companies with a semiotic structure, rather than the pure aesthetic aspect to determine the meaning function phenomenon and furthermor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it can function in the possible world. With this study, it may be possible to change the relationship between symbol marks and messages to form and meaning to study the scientifically approved semiotics.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 and meaning is the process of generating a meaning for the symbol mark. If the symbol mark contains a meaning, then, it becomes a text which can be recognized along the two axles of system (paradigm) and process (stigmata). When a phenomenon is analyzed, it can be observed from the perspectives of system and process. On the one hand, the symbol mark as a text identifies the expression of a company, and on the other hand; it also presents the company`s mission. This shows that the expression of a company which is the form and the company goal (values) which is the meaning don`t have an arbitrary relationship but a flexible relationship called the mark-symbol relationship. In the result of analyzing the Samsung and SK symbol marks in the generated meaning structure mode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 and meaning of the symbol marks of the two companies are not arbitrary but maintain a mark-symbol relationship. The value structures such as innovation/development and trustworthiness/tradition that are provided by the two symbol marks have the symbolic structure of discontinuity and continuity through the mark-symbol relationship, moreover, the discontinuity and continuity belong to the expression scope such as color, shape and location which proves that the possible worlds of the Samsung and SK symbol marks are consistent with the visual factors that are in the expression dimension. This means that, even though the same message is expressed in both the Samsung and SK symbol marks, there are many different possible interpretations for the final image, which operates a different story program and shows the consumers a different strategy in the discussion stru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