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발달장애인을 위한 경찰업무 관련 읽기 쉬운 자료의 국내외 사례 분석 -한국, 미국, 일본, 영국, 호주 사례를 중심으로-
김유정,김민정,현선령,현은령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9 No.2
Glottalization based on information enables rapid sharing and acquisition of information, while also producing new information gaps related to adaptation and alienation. In particula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the new underprivileged to access information, and information visualization design guidelines centered on user experience are urgently needed to help them adapt to social culture. In this study, Easy- To-Read data related to police work published from the 2000s were investigated focusing on cases in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Japan, the United Kingdom, and Australia. The investigated cases drew implications by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distinguished in terms of content composition, illustration and text design, and reading object. As a result, South Korea’s cases contained a lot of daily information such as housing, money management, and taking medicine, but police guidance was somewhat insufficient, and related prior studies were also limited to theoretical background exploration research rather than actual data development. In the case of overseas cases, various contents suitable for necessary situations were developed at all stages of police and legal affairs, such as introduction of police work and role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well as life methods in case of imprisonment.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various race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taying in their own country, there were characteristics of being provided in multicultural paintings and various language versions. Understanding police work through easy-to-read data will increase the ability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correctly represent their positions and situations in both situation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research on various legible data designs in terms of user experience services and cognitive information design will be actively conduc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and SES Effect
김유정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18 한국외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8 No.-
본 연구는 학생들의 후천적인 노력에 의해 변화가능하다고 알려진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상대적으로 변화가능성이 낮은 학생들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학생들의 영어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종단적인 관점에서 증명하고자 하였다. 자기효능감은 학생의 성장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대체로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김아영, 2010; 소연희, 2008; 이수진, 2012). 따라서 변화의 중도에 놓인 중학교 학생의 자기효능감이 학 업성취에 주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은 학생의 변화가능성 측면에서 유의미하다고 할 수 있다. 학생의 자기효능감과 더불어 학생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가장 영향력있는 요인들 중 하나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Coleman, et al., 1966; Nikolove, 2009; Ray, A., & Margaret, W, 2003). 학생들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부모의 직업이나 소득에 의 해 설명될 수 있으며, 이는 학생들의 다양한 직 · 간접적인 경험이나 사교육의 정도 및 학습자원의 정도를 결정지을 수 있다. 특히 교육열이 높은 한국사회에서 학생들의 사회 경제적 지위는 학생의 학습에 더욱 더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러 연구에서 논의 되어왔다 (노현정, 2006; 박은숙, 장진태, 2012; 박현정, 신택수, 하여진, 이준호, 2011; 정 양수, 김경애, 2008) 또한, Bandura (1997)는 학생들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자기효능감에 미 치는 가장 큰 환경적 요인이라고 주장하였으나, 이를 뒷받침할 만한 연구가 많지 않다. 따라서 학생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에 관한 관계성연구는 학생 환경의 영향력을 탐구해보는 데에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구를 위하여 한국교육종단연구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 2005)를 사용하였다. 한국교육개발원은 2005 년부터 중학교 1 학년부터총 6908 명을 대상으로 추 적조사하였는데, 이 본 연구는 중학교 1 학년부터 3 학년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를 위해서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을 구현하여 시간의 연속성을 반영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는 먼저, 영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영어 학업성취간의 3 년간의 종단관계를 분석 하고, 다음으로는 학생들의 사회경제적지위 변수를 반영하여 다시한번 영어 학업적 자 기효능감과 영어 학업성취간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2 차 년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1 차 년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비해서 학업성취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성취도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 을 보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마찬가지로 2 차 년도의 학업적 성취도가 3 차 년도의 학 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1 차 년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2 차 년도의 학업성 취도에 미치는 영향력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의 사회경제적 지위의 변수를 포함 한 연구결과를 보면, 영어학업성취도는 학생의 사회경제적지위의 영향력에도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영어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경우는 1 차년에서 학생의 사회경제 적 지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 차년의 영어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2 차 년의 영어 학업성취도의 영향력은 2 차년에서 3 차년으로의 영향력에 비해 미세하게 약 화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