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크라테스의 날(hēmera)과 파르메니데스의 돛(histion)파르메니데스 130e4-131e7

        김유석 한국서양고전학회 2019 西洋古典學硏究 Vol.58 No.2

        It is well known that, in Plato’s Parmenides, Socrates develops the theory of Forms and Parmenides criticizes it. Parmenides asks Socrates whether the sensible things participate in a Form as a whole or in the parts of it. According to Parmenides, if a Form as a whole presents in many things at the same time, it will be separated from itself. Socrates tries to escape from Parmenides’ criticism by answering that the Form is like a day (hēmera) which presents in many places at the same time. In the same manner, the Form as a whole, far from being separated from itself, can be in many sensible things at the same time. Parmenides does neither examine nor refute Socrates’ answers. Rather, he suggests another analogy according to which the Form is like a big sail (histion) which can spread over many things. Socrates reluctantly accepts Parmenides’ suggestion. But by using the sail analogy, Parmenides reveals that there are some fatal problems in the participation between Forms and sensible things. This paper focuses on some problems derived from those two analogies (day and sail):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of those analogies; their likeness and difference; the reason why Socrates abandons his own analogy and accepts that of Parmenides’.’ In doing so, we can make clear the philosophical significance of the participation between intelligible Forms and sensible things. 플라톤이 파르메니데스 에서 소크라테스의 입을 빌어 형상 이론을 전개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작품 속에서 파르메니데스는 소크라테스에게 형상이 전체로서 사물에 분유되는지, 아니면 형상의 부분들이 분유되는지를 묻고, 형상이 전체로서 여러 사물들 안에 있을 경우, 하나인 형상이 자기 자신과 분리될 것이라고 지적한다. 소크라테스는 형상이 마치 날과도 같아서, 전체로서 동시에 여러 장소를 비추면서도 자기 자신과 분리되지 않고 하나임을 유지할 수 있다고 답변한다. 하지만 파르메니데스는 소크라테스의 답변을 검토하거나 논박하지 않고, 그것은 마치 하나의 커다란 돛이 여러 사람의 머리 위에 펼쳐지는 것과 같다고 말함으로써, 소크라테스의 비유를 자신의 비유로 바꾼다. 소크라테스는 주저하면서 파르메니데스의 비유를 받아들이고, 파르메니데스는 소크라테스가 동의한 돛의 비유를 가지고서, 형상과 사물 사이의 참여 관계에 중요한 난점이 있음을 보여주게 된다. 이 논문은 플라톤의 파르메니데스 에 전개된 소크라테스의 형상이론 비판 속에 등장하는 두 가지 비유의 철학적 의미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비유가 제기된 배경과 각각의 의미,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대체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두 비유가 가지적 형상과 감각 사물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 동향 : Ofcom, 통신환경 변화와 보편적 서비스제도의 개선동향

        김유석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6 정보통신정책 Vol.18 No.16

        일반적으로 보편적서비스는 일상생활에 필수불가결한 통신서비스를 적정한(affordable) 요금으로 영국 내의 모든 고객이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보편적서비스의무(Universal Service Obligations: USO)의 범위는 EU의 보편적서비스지침(Universal Services Directive: USD)에 포괄적으로 정의되어 있으며, 영국에서는 무역산업부장관(The Secretary of State for Trade and Industry)이 보편적서비스기준(Universal Service Order: The Order)을 통해 서비스의 범위를 규정하고 있다. 구체적인 제공대상에는 저소득층을 위한 특별요금제, 기능적인 인터넷 접속을 포함하는 고정된 네트워크 연결, 공중전화의 지리적 접근 용이성 그리고 장애 고객들을 위한 문자중계서비스 제공 등이 포함된다. 2006년 3월 14일 영국의 통신·방송규제기관인 Ofcom은 보편적서비스의무(USO)에 대한 전반적인 재검토를 위한 세 번째 성명서(Statement)를 발표하였다. 2005년 1월 10일의 자문서(The January Consultation)에서 Ofcom은 보편적서비스의무(USO)의 운영 실태를 조사했고, 2005년 6월 30일에 발표한 성명서(The June Statement)에서는 보편적서비스의무(USO)에 대한 최종입장을 발표했으며 이것을 이행하는데 필요한 법적인 변화에 대해 제안할 것을 요청하였다. 이후 Ofcom은 성명서에서 요구한 사항에 대하여 50가지 답변을 받았으며 동시에 BT의 문자서비스(Text Direct Service)의 접속요금 증가에 반대하는 사업자들이 제기한 논쟁에서 고려할 필요성이 있는 법적이슈가 대두됨에 따라 영국에서 시행되는 보편적서비스의무(USO) 제도에 관한 전반적인 재검토(review)를 실시하였다. 재검토의 쟁점 이슈는 수요와 기술에 따른 소비자 욕구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 통신 이용에 있어서 취약한 소비자와 상업적인 조건의 변화 사이의 올바른 균형점을 찾는 일,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제대로 해당 서비스가 공급되는지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에 본 고에서는 Ofcom의 최종입장 발표 후에 추가적으로 검토된 내용들을 정리하여 통신환경의 변화에 따른 보편적 서비스제도의 해외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비뇨기과적 수술 후 도뇨관 유치 환자에 있어서 국소 항생제 연고 도포의 효용성

        김유석,김순기,이경인,민승기 대한요로생식기감염학회 2015 Urogenital Tract Infection Vol.10 No.1

        Purpose: Catheter 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 and discomfort is common in patients with an indwelling urinary catheter. We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prophylactic topical antibiotic ointment for genitourinary post-operative patients with a urinary catheter.Materials and Methods: We investigated 112 inpatients between March 2013 and October 2013, who had an indwelling urinary catheter ≥24 hours after a genitourinary operation in our institution from medical records. Among 112 patients, 59 patients applied ofloxacin ointment to urethral meatus around the indwelling catheter twice a day (ointment group: 52.7%) and 53 patients did not (non-ointment group: 47.3%). All patients were examined by urine analysis and urine culture before the operation, urethral sweep culture after catheter removal, and severity of pain was recorded as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 while having an indwelling urinary catheter.Results: Mean duration of urinary catheter of both groups did not differ statistically (3.08±2.19 day, 2.91±2.25 day). Patients with pyuria detected at pre-operative urinalysis were 22.1% vs. 15.1%, pre-operative urine culture positive were 6.8% vs. 9.4%, urethra meatal culture positive after urethral catheter removal were 16.9% vs. 13.2%, respectively, and all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VAS scores of the ointment group (3.52±1.66) while having an indwelling urinary catheter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non-ointment group (5.61±1.75) (p<0.001).Conclusions: Application of topical antibiotic ointment for genitourinary post-operative patients with urinary catheter had no benefit in reducing growth of urethral microorganisms, but it may decrease pain from an indwelling urinary cathe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