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의 문학사유와 그 내면 -중국문학사 서술 시각의 다양화를 위한 한 시도 -

        김월회 한국중국어문학회 2001 中國文學 Vol.36 No.-

        就旣有中國文學史而論,勿論西歐學者,連大部分東洋學者也按照西歐近代思維方式來寫中國文學史.結果,撰述中國文學史時,常常面對如何幾個問題: 第一,??處理賦ㆍ?文ㆍ講唱這些“韻散復合體”的文體.西歐近代的文學分類方法傳入以來,文學被分成四類:詩ㆍ小說ㆍ散文ㆍ戱曲.這樣分類顯然适宜于寫西歐文學史.但在中國,這?文學分類的觀念比較淡薄了.那?,?樣分類中國文學史上的各種文體,這是一個相當困難的文體. 第二,??理解中國文學史上大部分文體之超時代性的存續.在中國,歷代王朝都有其代表性的文體.比如說,漢賦ㆍ唐詩ㆍ宋詞ㆍ元曲等等.一般來說,文體是一種時代的産物,而文體和時代之間有非常緊密的關系.可是,文人到淸末仍然寫作漢賦.??說明這些懸象,這也是一個難題. 第三,??說明功用論的文藝觀念與追求美文的傾向之幷存現象. 爲了解決這幾個問題,本文要從“文學思惟”方面來檢討中國文學史. “文學思惟”是一種表現在文學方面的世界觀.衆所周知,古代中國人世界觀之主要屬性就是“有机的(organic)ㆍ自己生成的(self-generated)ㆍ循環的(circular)”宇宙觀.按照這樣世界觀,古代中國人把世界(宇宙万物)認爲“无始点-无終点”的過程.換句話說,他們把世界認做一種“過程的實體”.根据這一理解,他們以世界看做一種“永遠性(everlasting)ㆍ先在性(transcendental)”的實體.這些認識帶來了“包括性(comprehensive)ㆍ全一性(wholistic)”的理解世界的思維方式.這顯然比西歐近代以來理性的ㆍ分析的ㆍ個別的理解方式更有效率的. 古代中國人的這些世界觀被反映在中國文學.比如說,他們以爲韻文和散文之間原來沒有絶對性的界限.因爲?們都屬于“有机的一體所以,賦ㆍ?文ㆍ講唱不再是韻文和散文復合的文體,就是`賦`ㆍ`?文`ㆍ`講唱`了.還有,所有文體都是有机的“一體”之構成因子.因而,雖然時代變遷了,文體幷不能消滅.這就是辭賦體ㆍ志傳體等的文字存屬到淸末的一個原因.功用論的文藝觀念和修辭主義的文藝創作之幷存現象也是這樣世界觀的影響.如果美文可以幇助“全一性ㆍ包括性”的理解世界万物,那?美文不再是實現功用的障碍物,却是實現功用的有效工具。

      • KCI등재

        '수사(修辭)’의 의미와 변천 양상- “수사입기성(修辭立其誠)”을 중심으로

        김월회 한국수사학회 2022 수사학 Vol.- No.44

        근대 이전 시기 중국에는 오랜 미문 전통과 언어 담론 전통이 형성되어 있었다. 수사는 이러한 역사적 배경 아래서 이해되고 활용되어 왔다. 곧 레토리케(rhêtorikê)의 번역어로 선택됨과 무관하게 독자적인 이해와 활용의 역사를 지녀왔다. 『역경』 「문언전」의 “수사입기성(修辭立其誠)”에서 비롯된 수사라는 말에 대한 역대의 이해는 크게 다음 네 가지로 대표된다. 첫째는 “말을 닦다”이다. 이는 말에는 윤리 지향성이 내재되어 있고 수사는 이를 드러내어 빛나게 한다는 의미라고 본 것이다. 둘째는 “문치교화를 펼치다”이다. 이는 수사에 대한 경세(經世)적 해석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는 “말을 꾸미다”이다. 곧 말의 미문 지향성을 구현하다는 뜻이다. 수사에 대한 예술적 해석이라고 할 수 있다. 넷째는 “말을 성찰하다”이다. 이는 주로 성리학자에 의해 시도되었다. 수사에 대한 이러한 역대의 관점은 크게 두 가지로 대별된다. 하나는 윤리적 차원에서의 관점으로, 수사를 말의 진실성을 갖추는 활동으로 이해하거나 문치교화를 펼치는 활동, 윤리적 차원에서 말을 성찰하는 활동으로 이해한 것이 그 예이다. 다른 하나는 예술적 차원에서의 관점으로 수사를 말을 아름답게 꾸미는 활동으로 이해한 것이 그것이다. 다만 예술적 차원에서 수사에 접근했을지라도 그것은 어디까지나 윤리적 지향과의 합일 속에서의 이해였다. 곧 수사라는 표현에 대한 이해에서 윤리적 차원에서의 접근이 예술적 차원에서의 접근보다 훨씬 우선되고 주류였다.

      • KCI등재

        선진(先秦)의 복수 이야기와 그 독법

        김월회 한국중국어문학회 2013 中國文學 Vol.76 No.-

        如果考察先秦時期的文本, 就會發現報仇事件以故事的形式, “早已”在先秦時期廣泛流傳。 先秦時期的紀事、 立言等文本廣泛敍述和活用了報仇事件的故事, 從中我們也可以確認此一現象。本稿的最終目標則在于從文明史的層面上揭示報仇故事的解讀方法。爲此, 筆者做出如下工作: 在第一章裏證明先秦時期的報仇事件以故事的形式得到廣泛活用, 同時此章裏, 還揭示硏究的范疇與目標等。 第二章則對故事本身進行分析。 與古希臘等文明不同, 在古代中國, “把槪念與命題邏輯地集合”而構成的寫作非常罕見。 取而代之的是, 卽便是立言的寫作, 都會廣泛使用故事來開展談論在筆者看來, 這與古代中國的故事不僅僅是敍事性的, 而且還是議論性的性質密切相關。 筆者將此類故事稱爲“作爲敍事與議論之相複合體的故事”。 第三章, 則首先將先秦時期的報仇故事分爲“記載型”、 “事緣型”、 “議論型”等三種。同時對《春秋左傳》、 《國語》、 《戰國策》裏可以看作“事緣型”的報仇故事進行分析。 通過這些分析, 給讀者揭示當閱讀報仇故事時如何從文明史的層面上讀出與以往的閱讀不同的解讀方式。 第四章則是結論部分, 在總結前面議論部分的同時揭示出後續將要進行的硏究主題。

      • KCI등재

        《대동서》에 관한 `내향적(內向的)` 독법

        김월회 한국중국어문학회 2002 中國文學 Vol.37 No.-

        康有爲是戊戌變法運動的領袖, 是中國近代一個有?大影響的ㆍ傑出的思想家ㆍ政治家. 他的著作?多. 其中《大同書》ㆍ《新學僞經考》ㆍ《孔子改制考》是最重要的著作. 如今關于《大同書》一般的評價如下; 《大同書》是戊戌變法時期中國近代思想一部光輝著作. 康有爲在其書中勇敢地揭露和激烈地?擊了封建專制制度, 幷從各個方面揭露和批判了歐美資本主義制度. 而且他說明資本主義制度不是永久存在的, 實現人類的理性社會就是變法的最終目標. 他在《大同書》中, 豊富的想象力, 對人類未來的理想社會作了多方面的設想. 可是, 有些論者把?認作一本欺騙人民的反動著作. 因爲《大同書》中所論述的內容帶有比較强烈的空想. 與此相反, 有些論者也肯定了《大同書》的歷史意義. 他們認爲康以爲的大同思想是一種偉大的空想社會主義, 在中國當時的歷史條件下有進步意義. 勿論肯定《大同書》也好, 否定《大同書》也好, 論者們都立足于《大同書》和當時政治的條件之關係來評價康有爲的大同思想. 我想, 這樣看法只是在理解《大同書》時可能的看法當中一個, 幷不是唯一的看法. 在本文提示的關于《大同書》之“內向的讀法”是其實例之一. 本文的目的是考察影響于《大同書》産生的各種“非政治的”要因: 比如, 大同思想的傳統淵源ㆍ康有爲的宇宙論與人性論ㆍ大同社會內部的下部結構來, 探討了“內向的讀法”的意義和其長處

      • KCI등재

        중국 근대의 어문개혁운동(語文改革運動)과 신체(新體) 산문(散文)에 관한 고찰

        김월회 한국중국어문학회 2002 中國文學 Vol.38 No.-

        本文旨在硏究近代時期語文改革運動和形成新體散文過程之近代意義。 爲了這個,首先筆者用“言文一致運動” · “國語統一運動· “報章體散文” · “建構自立的近代國家運動”等這些關鍵詞來闡明了“語文改革運動-新體散文形成-變法和革命運動”之間的不可分的關系。這是第一章的主要內容。第二章是語文改革運動的諸般特徵。依照這些特徵,筆者探討了他具有什?樣的現代性(modernity). 第三章是考察新體散文之展開過程 ㆍ 文體風格 ㆍ 寫作志趣等. 通過這樣考察,筆者也探討了他具有什?樣的現代性。 在這些分析過程中,筆者可以發現中國傳統文化和西歐近代文化之間的沖突與融合。中國是個具有非常悠久歷史和比較單一系統文化傳統的國家。而且?保持了傳統文化自身隱藏着的价値與其可能性。大多數近代知識分子不知不識地受到了這些傳統文化的影響。 結果,近代時期進行的語文改革運動和新體散文運動形成的過程根本不可能實現西歐式或者在日本ㆍ韓國進行的這樣的近代的轉型。

      • KCI등재

        20세기(世紀) 전환기(轉換期) 중국(中國)의 문화심리구조(文化心理構造)

        김월회 한국중국어문학회 2000 中國文學 Vol.33 No.-

        衆所周知, 19世紀末20世紀初是中國近代史上重要的轉換時期。 在日見增長的西歐帝國主義侵奪下, 主要政治力量從改良主義變法運動轉折到排滿民族革命運動。 社會文化方面, 有增無減的各種社會問題和日益尖銳的中西文化衝突, 帶來了傳統社會秩序的迅遠解體。 哲學思想也受了時代形勢的影響, 旣然恪守傳統哲學思想不變是不可能的了, 而盲目性地追崇西學也面對了根源性的批評。 本文通過分析這時期出現新文化空間與新文化層的形成過程, 闡述了這時期支化心理構造産生的歷史背景 · 時代背景及其文化心理構造的主要內容。 一般來說, 經歷過的比較長久文化傳統的文明帶有?固有文化的"規定性"。 中國文明也有這樣規定性。 (李澤厚把“規定性"稱做"文化心理構造"。 西歐學者Clifford Geertz把?叫做"文化方向性"。) 從中國歷史上, 我們可以目睹以儒家爲中心的一種根據傳統文化的文化心理構造。 在傳統時期, ?在每次支化轉析期做了個基本理念的作用。 這一情況在西勢東漸以後也不變了。 在19世紀60年代以後, 知識分子們要以中體(卽中國傳統文化的核心力量)待對西歐的政治經濟 · 社會文化方面的挑戰。 在20世紀轉換期, 章炳麟 · 劉師培等文化民族主義者們, 一邊提倡排滿民族革命, 一邊主張發揚國粹。 他們想, 建設文明國家的最有效方法是基於優良傳統文化, 吸收西歐文化的長處。 所以我們可以說, 中西文化的眞正融匯到了20世紀轉換期才實現了。 在20世紀轉換期, 形成了以上海代表的新型文化空間。 而且?起了一種新型文化群體: 由洋務運動産生之新的知識分子 · 從事西人支化機構的人才 · 由傳統文化人轉成新型文化人等。 他們的心態與傳統士大夫有了根本性的區別。 他們旣然肯定了西歐文明的文化價値, 幷且認識到優良傳統的價値。 他們利用"原道" · "古已有之"等的文化心理來積極的吸收西歐文明的核心力量。 據此, 他們要建設一個近代化的中國。

      • KCI등재

        홍콩을 사유하는 ‘한국적 시각’ 구축을 위한 첫걸음

        김월회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2015 中國現代文學 Vol.0 No.73

        This article is a review on Professor Ryu Yeong Ha's recent book Chinese Nationalism and Hong Kong Nativism: Focusing on the Storytelling of the Hong Kong Museum of History (Pusan: Sanjini, 2014). The reviewer believes that Ryu's study is valuable especially because it considers "Hong Kong nativism" not as a goal, but as a method to construct Hongkong-ness and to accordingly imagine and materialize the future of Hong Kong.

      • KCI등재

        춘추전국의 말에 대한 성찰: 수사학의 시작

        김월회 한국수사학회 2022 수사학 Vol.- No.45

        이글에서는 춘추전국의 말에 대한 담론을 고찰하였다. 말에 대한 담론은 크게 말 자체에 대한 담론, 말듣기와 말하기에 대한 담론, 말닦기[修辭]에 대한 담론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글은 이 중 첫 번째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1장에서는 춘추전국의 말에 대한 담론이 지식인들의 높은 관심 속에 풍부하게 개진되었음을 당시 문헌에 보이는 다수의 말 종류를 제시함으로써 입증하였다. 2장부터 4장에서는 춘추전국의 문헌에 보이는 말 자체에 대한 담론을 다루었다. 2장에서는 말의 본성이나 속성에 대한 논의를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말의 본질 중 하나로서의 문채’, ‘언어 주체의 형식으로서 말’, ‘진리의 물화(物化)로서의 말’, ‘내용(뜻)을 나타내주는 형식으로서의 말’, ‘무언가를 이루어내는 힘을 지닌 말’과 같은 관념이 형성되고 유포, 공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3장에서는 말의 역량에 대한 논의를 말의 생래적 한계에 대한 상반된 관점을 통해 짚어보았다. 상반된 관점이란 말과 그에 담기는 뜻의 관계에 대한 낙관적 견해, 곧 말은 뜻을 온전히 담아낼 수 있다는 견해와 비관적 견해, 곧 말은 뜻을 온전히 담아낼 수 없다는 견해를 말한다. 4장에서는 ‘말에 담기는 바들’과 ‘말의 실천과 연관된 바들’을 추출하고, 이들과 말의 관계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았다. 결론인 5장에서는 이상의 논의를 정리한 후 이와 같은 말에 대한 담론이 고대 중국에서의 수사학의 시작이라는, 곧 글을 기반으로 이루어진 수사학이 구축되기 전에 말을 기반으로 이루어진 최초의 수사학이라는 사적 의의를 지님을 밝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