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치매 가족의 자살 및 살인사건에 대한 신문기사 분석

        김원경 ( Kim Wonkyu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保健社會硏究 Vol.34 No.2

        최근 치매 가족의 자살 및 살인사건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실태 파악과 대책 마련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치매 가족의 자살 및 살인사건의 현황과 원인, 특성 등을 파악하기 위해 1920년부터 2014년3월까지의 신문기사에 보도된 내용을 중심으로 관련 사건을 4가지 유형(`치매 가족의 자살`, `치매 가족의 살인`, `살인 후 자살`, `동반자살`)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치매 가족의 자살`, `살인 후 자 살`, `동반자살` 모두 배우자에 의한 사건 보도가 가장 많았으며, `치매 가족의 살인`은 아들에 의한 사건 보도가 가장 많았다. `치매 가족의 자살`과 `살인` 이유는 치매 당사자의 다양한 증상에 대한 스트레스가 가장 많았으며, `살인 후 자살`과 `동반자살`의 경우, 치매 가족 본인의 신체적 부담과 호전기미가 보이지 않는 치매 증상을 이유로 함께 목숨을 끊는 경우가 많았다. 치매 가족의 자살 및 살인 사건을 전체적으로 보면 노년기의 남성이 가해자인 경우가 가장 많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치매 가족의 자살 및 살인사건을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한 대책으로 관련사건 현황에 대한 정확한 파악과 중 년·노년기의 남성 치매 가족을 대상으로 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 치매 가족을 대상으로 한 교육과 서비스 이용에 대한 정보 제공이 필요하다는 제언을 제시하였다. In recent years, suicide and murder have become increasingly common in the family caregivers with dementia.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is situation and for useful preventive measures. In this study, I analyzed related cases, what was reported in the newspaper article to March 1920-2014, to understand the cause and present situation of the murder and suicide of family caregivers with dementia, are classified into 4 categories (`Suicide of caregiver`, `Murder of caregiver`, `Suicide after Murder`, `Suicide Pact`). In cases involving one spouse caring for the other spouse with dementia, the most frequent types of incidents were, chronologically, `Suicide of caregiver`; `Suicide after murder`; `Suicide Pact`. In cases involving murder, the murderer was most frequently the patient`s son. The most common reason for `suicide of caregiver` and for `murder of caregiver` was stress relative to the patient`s dementia symptoms. In cases of `Suicide after murder` and `Suicide Pact` the most common reason was the patient`s dementia symptoms combined with the worsening physical burden of caring for the patient. Among all suicides and murders committed by caregiver with dementia, the perpetrator was most often an elderly male. Give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active support to middle-aged and old men in family caregivers with dementia and to ensure we accurately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this phenomenon to prevent suicides and murders by relatives of patients with dementia and to solve the problems that drive them to these extreme actions. It is also necessary to provide the family caregivers with dementia with education and the information on the services that are available to them.

      • KCI등재

        지역포괄케어시스템의 구축배경과 추진방향

        김원경 ( Wonkyung Kim ) 한국장기요양학회 2014 장기요양연구 Vol.2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일본 ‘지역포괄케어시스템’의 구축배경을 정리하고 그 이념과 운영현황을 살펴본 뒤 향후, 추진방향과 과제를 정리하여 우리나라 제도가 나아가야할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2000년에 개호보험제도가 시작된 일본에서는 제도개혁과 함께 2008년에 창설된 지역포괄케어연구회를 중심으로 지역포괄케어시스템 구축에 대하여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되었다. 노인의 재가생활 지원을 의의로 하는 지역포괄케어시스템은 “욕구에 따른 주택이 제공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생활상의 안전·안심·건강을 확보하기 위하여 의료 및 개호뿐만 아니라, 복지서비스를 포함한 다양한 생활지원 서비스가 일상생활 공간(일상생활권역)에서 적절하게 제공 가능한 지역에서의 체제”라고 정의되고 있다. 지역포괄케어시스템의 기본이념은 개호보험의 목적인 노인의 ‘존엄 유지’와 ‘자립생활 지원’으로 ‘주거와 주거방식, 생활지원, 의료·간호, 개호·재활, 보건·예방’의 5가지가 구성요소이다. 또한, 지역포괄케어 제공의 전제개념으로 ‘자조(自助)·호조(互助)·공조(共助)·공조(公助)’가 있으며, 이는 시대와 지역사회에 따라 그 범위와 역할이 달라질 수 있다. 지역포괄케어시스템에 대한 논의가 현재 진행형인 일본에서는 향후, ‘마을 만들기’ 시점에서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종말기의 Quality of Death 확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향후 과제로는 1) 지역사회의 현황을 진단할 도구 개발, 2) 다직종·다기관간 네트워크 형성 및 연계방법 검토, 3) 지역포괄케어시스템의 평가 척도 개발이 있다. 일본과 유사한 사회적인 과제를 안고 있는 우리나라도 향후, 한국형 지역포괄케어시스템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지역사회에 존재하는 장기요양, 보건, 의료, 복지 등의 서비스를 포함한 각종 자원들을 확인하고 그 역할과 연계 가능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동시에 이미 우리나라에 존재하는 지역포괄케어시스템에 상응하는 실천 사례들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ummarize the structural background of integrated commnity care system in Japan, along with their philosophy, operational conditions, and future directions and challenges to suggest the direction in which such systems should take in a South Korean context. In Japan, where the elderly care insurance system was launched in 2000, discussions have begun in earnest on how to build community care networks, primarily in connection with the Integrated Community Care Study Group founded in 2008 along with reforms to the existing arrangement. Systems that place significance on providing assistance for the home lives of the elderly are defined as “community systems that enable the appropriate provision of a variety of life support services, including medical treatment, long-term care, and welfare services in order to ensure safety, security, and healthcare requirements of daily life, with housing provided according to individual needs.” The basic philosophy of this system involves “independent living support” and “maintenance of dignity” for the elderly as the goals of long-term care insurance. It is comprised of the following five elements: housing and way of life; lifestyle support; medical treatment and nursing; long-term care and rehabilitation; and health and prevention. In addition, the provision of integrated community care is premised on the basic concepts of self care, mutual aid, shared support, and public assistance, whose respective roles and ranges may vary over time and place. In Japan, where discussions toward such systems are ongoing, it will be necessary to build future systems that incorporate a community development (“Machizukuri”), perspective. Emphasis has also been placed on the importance of ensuring the quality of death at the terminal life-stage. Future challenges include 1) the development of tools to diagnose current conditions in target communities, 2) a study of how networks take shape and work together between multiple agencies and across multiple disciplines, and 3) the development of a scale for evaluating such systems. South Korea is now experiencing social challenges similar to those facing Japan. Thus, it will be necessary in the future to develop integrated community care system on a Korean model. To this end, it will be necessary to assess the various resources that already exist in local communities and examine possibilities for their mutual collaboration. At the same time, it will be necessary to undertake further examination by collecting case studies that correspond to South Korea’s existing system.

      • KCI등재

        한국 노인교육 연구 동향

        김원경(Kim, Wonkyung),전제아(Jeon, Jae-Ah) 한국평생교육학회 2011 평생교육학연구 Vol.17 No.4

        노인인구의 증가와 함께 노년층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노인 교육에 대한 국내연구 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2000년부터 2011년 현재까지 한국연구재단의 등재 및 등재후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184편을 분석하였다. 연구동향은 연도별, 연구분야별 발표 동향을 살펴보고 연구 방법 및 내용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노인교육을 주제로 한 연구는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다양한 학문적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노인교육에 대한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교육적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져 왔으며, 보다 발전적이고 포괄적인 노인교육 프로그램을 모색하고자 하는 이론적 시도도 꾸준히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결과, 현재까지 노인교육에 대한 개념이 다소 모호하게 정의되어 있으며, 노인교육은 노인을 위한 교육의 형태가 주류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향후 노인교육의 발전을 위해 노인 학습자의 주도적인 교육과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노인교육의 개념 정립과 더불어 이를 위한 구체적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또한 앞으로 노인 교육 연구의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regarding education of older adults in Korean journals from 2000 to 2011. The total of 184 articles was analyzed. Results indicated that the number of articles concerning older adults education has been increasing since 2000 in he fields of gerontology, social welfare, nursing, and education including lifelong education altogether. Numerous articles dealt with the educational programs for older adult learners and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educational programs, while the definition of older adults education was theorized in the context of lifelong education. The implication of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rends concerning education for older adults was discussed. The directions of the future studies was suggested in the context of the elaboration of the older adults needs such as educational delivery systems, educational management systems, and the diverse topics in education of older adults.

      • KCI등재

        청소년 비행 관련 요인의 성별 및 발달적 비교 연구

        김원경 ( Kim Wonkyung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7 학교사회복지 Vol.0 No.39

        청소년 비행 경험의 영향요인을 개인의 심리적, 사회환경적 요인으로 구분하고 청소년의 성별 및 초기, 중기, 후기 청소년기의 발달시기별로 영향요인이 어떻게 달리 나타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실시한 2013 한국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에서 사용한 전국 16개 시·도의 초(4~6학년), 중, 고등학생 총 9,755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독립변인으로 심리적 요인(우울, 불안, 게임중독, 스트레스, 생활만족도,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정서조절, 낙관주의적 성격요인)과 사회환경적 요인(부모지원, 가족유대감, 사회적지지, 교사와의 유대감, 친구관계)을 투입하고 청소년의 비행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심리적 변인이 사회환경적 변인보다 비행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과 스트레스는 남녀 청소년의 모든 청소년기에 걸쳐 비행을 설명하는 중요한 변인이었다. 초기와 중기 여자 청소년의 경우 생활만족도와 자존감의 긍정적 심리요인이 비행을 설명하는 유의미한 영향요인이었으며 초기 남자 청소년은 게임중독이 비행에 대한 가장 유의미한 심리적 영향요인이었다. 사회환경적 요인 중 가족유대는 남녀 청소년 모두에게 전체 청소년기에 걸쳐 비행에 대한 매우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진 변인이며 비행의 보호요인으로 중요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성별과 발달시기별로 심리적, 사회환경적 변인이 청소년 비행의 설명에 각각 달리 적용된다는 것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에 따른 비행의 예방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대안을 마련함에 있어서 청소년의 성별과 발달시기별로 달리 적용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how psychological and ecological factors affect juvenile delinquency in early-, mid-, and late-adolescence, according to gender. The data used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came from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survey administered to a sample of 9,755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Both psychological factors (depression, anxiety, stress, life-satisfaction, self-esteem, self-efficacy, emotion-regulation, and optimism) and ecological factors (family relations, peer relations,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social support) were entered as independent variables, while a total score of delinquency was entered as a dependent variabl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psychological factors were relatively more effective predictors than ecological factors on juvenile delinquency. Specifically, anxiety and stress were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s of delinquency across the gender and the developmental stages of Korean youth. Among psychological factors,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were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delinquency in female youth of early- and mid- stages, while game addiction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in male youth of early stage. Among ecological factors, family relationship was a crucial predictor of delinquency across the gender and all the developmental stages of Korean youth. Results implied the existence of gender differences in predictors of juvenile delinquency. Future directions for further studies into this area and the implications for the practice of delinquency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한국 초, 중, 고등학생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인

        김원경(Kim, Wonkyu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한국청소년연구 Vol.25 No.3

        한국 초, 중, 고등학생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이 청소년의 성별과 발달 단계(초기, 중기, 후기)별로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2012 아동?청소년 정신 건강 실태조사를 통해 전국 16개 시, 도의 초 (4~6학년), 중, 고등학생 총 8,745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청소년의 심리적 요인 (우울, 불안, 스트레스, 생활만족도,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정서조절, 낙관주의 및 개인의 주관적 정신건강 상태)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청소년의 자살생각 경험 여부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우울이 모든 청소년기와 성별에 걸쳐 자살생각 예측의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청소년 초기에 비해 중기와 후기로 갈수록 더욱 중요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은 초기와 중기 청소년의 자살생각을 설명하는데 유의미하였으나 후기 청소년기에는 우울 변인이 종속변인을 더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정신건강 상태에 대한 지각은 전체 청소년기에 걸쳐 자살생각에 대한 유의미한 심리적 변인으로 나타났다. 남자 청소년은 초기, 중기, 후기 모든 시기에 걸쳐 우울의 효과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나 자살생각 예측 변인이 청소년 성별에 따라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전체 청소년기를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누어 발달시기별로 청소년 자살생각의 원인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자살 예방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대안을 마련함에 있어서 청소년의 발달시기 및 성별에 따라 달리 적용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how a number of common psychological factors (namely; depression, anxiety, stress, life satisfaction, self-esteem, self-efficacy, affect regulation, optimism, and subjective evaluation of mental health) affect suicidal ideation in early-, mid-, and late-adolescence, according to gender. The data used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came from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survey administered to a sample of 8,745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depression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suicidal ideation across the gender and the developmental stages of Korean youth. Self-efficacy was the most crucial predictor of suicidal ideation in early- and mid-adolescence, while depression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in late-adolescence. Subjective evaluation of mental health was also significant in suicidal ideation across all stages of adolescence. Depressio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redicting suicidal ideation in male youth, which implied the existence of gender differences in predictors of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Future directions for further studies into this area and the implications for the practice of youth suicide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