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지전용타당성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평균경사도 분석방법 비교

        김원경,권순덕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4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8 No.1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examine the problems for evaluating the feasibility of forest land conversion and to compare different methods for measuring average slope of forest lands. We compared three software programs, which are 1) an ArcGIS-based software, 2) an AutoCAD-based software, and 3) an independent-operated software. The average values for slope of forest lands had the relatively large difference over allowable errors between different programs as well as between methods. A distance-based method with a right angle to contour lines had relatively little difference(0.2~0.9) for slope values between different softwares. In addition, it also had only 0.1~1.0 degree in the difference between methods with the comparison of 1m and 10m grids. In order to minimize the difference of slope values between methods and to have better evaluation, guidelines and proper institutional strategies should be constructed to review and evaluate the feasibility of forest land conversion. 본 연구의 목적은 산지전용 타당성 평가기준인 평균경사도 산출을 위한 프로그램별·방법별 평균경사도 수치를 비교·분석함으로써 평균경사도 산정방식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평균경사도 산출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ArcGIS 프로그램과 함께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PowerKS와 AutoSlope를 서로 비교분석하여 방법별 경사도 수치의 차이 및 산정시 문제점을 파악하였고, 격자 크기에 따라 평균경사도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산지전용 타당성 평가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한 평균경사도 산출방법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평균경사도 수치분석 결과 거리기반 방식에 비해서 면적기반 방식은 다른 방법들과의 평균경사도 수치의 편차가 크며, 프로그램별 및 방법별 평균경사도 수치도 거리분석방법의 등고선 직각방향 방식이 최소 0.2도에서 0.9도의 가장 작은 편차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10m, 5m, 1m 격자크기에 따른 평균경사도 차이를 비교한 결과 격자가 작아질수록 경사도 수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평가기준의 산출 및 검증을 위한 명확한 제도적 장치 마련과 함께 평균경사도 산출시 거리방법에 대한 명시와 격자생성의 기준과 면적을 경사도 계산 시에 반영하도록 하는 방식을 제시하여 방법 간 평균경사도 수치의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시각적 사고와 디자인 사고의 창의융합교육 적용 연구 - 우리나라・핀란드 수학교과서 시각요소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김원경,김가람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uggesting creative visualization processes enhancing The ability of creative problem solving based on design thinking and visual thinking, which were considered exclusive to designers and formative education. For that, we conducted theoretical studies on visual intelligence, visual thinking, and design thinking. In conclusion, the presented creative visualization process consists of the following six steps. (1)the recognition phase of a problem that finds and spreads the scope of the problem, (3)Reinterpretation steps to redefine the problem, and (2)the operation phase of the problem where classification and structure of the problem components occur, (4)the idea stage of imagining the solution to the problem and the alternative, restructuring and envisioning it, (5)Purification step to experiment with the solution, (6)Expressing and delivering optimized results. In order to train the presented visualization process, we propose to use the tasks that require reflective thinking presented by cognitive psychologist Donald Norman. and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visual elements of the Finnish and the Korean mathematics textbook as examples. 본 연구는 창의적 문제 해결력 증진을 목표로 하는 수학교육에 디자인 사고 및 시각적 사고를 기반으로 한 창조적 시각화 과정을 적용하여 분석함으로써 디자이너와 조형교육의 전유물로만 여겨졌던 시각적 사고와 디자인사고가 창의력 교육의 기반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추후 수학 뿐 만 아니라 다른 개별 영역의 교육에서 창의융합교육을 위해 적용 할 수 있도록 그 기반이 될 개념 도구를 제안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시각 지능과 시각적 사고, 디자인 사고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6단계의 창조적 시각화 과정을 제시하였다. (1)문제의 인식단계, (2)해결해야 할 문제를 새롭게 정의하는 재해석 단계, (2)문제 구성요소들의 분류와 구조화가 이루어지는 문제의 조작단계, (4)문제의 해결책과 대안의 상상이 이루어지고 이를 재구조화하며 표현하는 발상단계, (5)앞서 발상한 해결책을 실험하는 정제단계, (6)최적화된 결과를 표현하고 전달하는 단계이다. 이후 이와 같은 시각화 과정 훈련을 위한 시각요소의 특징을 제시하기 위해 인지심리학자 도널드 노먼이 제시한 체험적 사고를 요하는 과제와 반성적 사고를 요하는 과제를 비교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가 문제를 재구성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발견의 기회를 제공하는 반성적 사고를 요하는 과제를 이용함으로써 시각화 과정을 훈련할 것을 제안 하였다. 또한 근본적인 창의 사고력을 기르기 위한 문제구성을 위해 학습자가 시각적 조작이 가능한 열린 구성의 시각요소를 활용할 것을 제안하며 이와 같은 반성적 과제가 잘 반영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핀란드 수학교과서와 우리나라 수학교과서의 시각요소를 사례로 비교·분석 하였다.

      • KCI등재

        생산성 향상을 위한 대안들의 비교 평가 시뮬레이션 사례연구

        김원경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01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 Vol.10 No.1

        For the productivity improvement, it is necessary to analyze problem of the system and evaluate alternative plans. But, it if hard to experiment and evaluate alternative plans in real existing syst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ynthetically analyze and evaluate alternative plans using simulation and statistical analysis method. In this case study, as a simulation language, Promodel is used to compare and evaluate four alternatives which are considered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an object system. The object system is constituted of a pretreatment line and a painting lin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e decrease of the down time in pretreatment line can be effective to the productivity improve comparing with exiting system and other alternatives. The other purpose is to choose an alternative that has the best productivity improvement.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 show that the possibility of improvement in productivity by decreasing the down time of pretreatment line. Two-Stage Bonferroni Procedure is used to choose the best alternative.

      • KCI등재

        청소년 음주행동 영향요인의 성별 비교

        김원경 한국여성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19 No.3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predictors of drinking behavior among male and female youth in Korea using 2010 Korean Youth Health data. Participants were a total of 2,827 students from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Korea. Data were analyzed with bivariate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to investigate the relevant predictors of drinking behavior with such variables as psychological factors (depression, anxiety, impulsivity, self-esteem, self-efficacy, satisfaction with body image, and stress), and ecological factors (parenting, material support, family relations, social support, social participation, peer relations, and relations to teachers).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edictors of drinking behavior among Korean youth were stress, depression, impulsivity,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Relations to teachers and family relation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of drinking behavior in male youth, while satisfaction with body image was the significant predictor of drinking behavior in female youth. The findings suggest future studies including a list of other influencing factors such as parents’ attitude toward drinking, peers’ habits of drinking, socio-economic status, and grade on health behavior. Implications for the practice and prevetion programs of alcohol use were discussed.

      • KCI등재

        의미격의 체계와 연산 절차

        김원경 한국어의미학회 2007 한국어 의미학 Vol.24 No.-

        Kim Wonkyoung. 2007. The system of Semantic Case and the Computation Process. Korean Semantics, 24.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mantic Case as compared with the Morphological Case. And it aims to suggest a criterion of the Semantic Case, too. This criterion is made up to psychological reality, alignment, simplicity and availability of the Case System. According to this criterion, Semantic Case System is settled: Experiencer, Agent, Beneficiary, Instrument, Theme, Comitative, Source, Goal, Path, Time, Locative, Possessive, Complement. Add to this, this study present the examples of the case information processing based on the methodology of Feature Computation Grammar(FCG). Semantic and syntactic features are very important in processing case in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