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복합 상업공간에 있어서 VMD 요소의 체험적 확장 가능성 연구 : 리테일테인먼트(Retail + Entertainment) SC 사례를 중심으로

        김운걸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0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2 No.2

        본 과제 연구는 소매업 유통환경에 있어 기존의 상품판매촉진 정책으로서의 VMD전략 전개에 수용되었던 요소와는 달리 도시공간과 건축물 내부 공간의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요소로써 문헌적 조사와 사례조사를 통해 최근의 복합 상업시설의 개발 방향인 시각적 인지도가 높은 도심형 복합 상업시설內 상업 환경의 효과적인 VMD전개요소 구축 및 적용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5개장으로 구성되며, 그 범위 및 진행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 1장은 서론으로써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과 연구의 범위 및 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제 2장은 공간의 체험적 확장성복합 상업시설에 관한 이론적 고찰로써 공간의 체험적 확장성에 대한 개념 등 인식과 복합 상업시설에 대한 개념 및 특성 등을 고찰해 본다. 제 3장은 리테일테인먼트를 고려한 공간구성 및 사례를 고찰한다. 제 4장은 복합 상업시설의 공간구성을 위한 VMD요소의 적용가능성을 모색한다. 제5장은 앞에서 고찰한 결과를 종합 정리하여 결론을 맺는다. This subject study wishes to grope effective VMD unfolding element construction of commercial environment and application possibility in downtown style composition mercantile occupancy that visual awareness that is development direction of recent composition mercantile occupancy is high the literature enemy through investigation and case investigation as element that can be in retail negotiation environment and improve value of urban space and building inner space unlike element that was accepted to VMD game plan extension of existent merchandise sales promotion policy. Hereupon, this study is consisted of 5 reinterments, and the extent and progress way are as following. The first chairman describes about background of this study and objective and extent of study and way as introduction. The second chapter investigates awareness such as concept about extensity of space as theoretical investigation about extensity and compositionmercantile occupancy of space and concept for composition mercantile occupancy special quality etc. The third chapter investigates space organization and case that consider Retailtainment. The fourth chapter gropes application possibility of VMD element for space organization of composition mercantile occupancy. The fifth chapter synthesizes and adjusts result that investigate in front and concludes conclusion.

      • KCI등재

        인터랙션 디자인 요소가 적용된 판매전시 공간 사례의 특성 연구

        김운걸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2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such 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has created an environment in which information can be exchanged and shared through various networks. Therefore, today, we live in an environment where users can achieve so-called interactions by exchanging reciprocal actions with systems in various situations and environments. Recently, the brand and consumption environment is focusing more on emotional aspects rather than rational consumption, and it is changing to a customer relationship-oriented environment. Companies are now making a lot of effort to intuitively show their core values and philosophy by using their sales space as a place to experience brand concept beyond the concept of a store that simply sells a product.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importance of display space cases that have applied interaction design elements. Also, it aims to establish a marketing strategy with a focus on forming a consensus of interactio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cases of companies that attempt to deliver their differentiated emotions and values and communicate with consumers through space desig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case analysis showed that sound was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interaction design characteristics, followed by time, movement, space, texture and appearance. Meanwhile, the most important interaction design element in display space was contents, followed by physical, interaction, systematic, and cognitive elements. These results show that in order to construct efficient display space for interactio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environment of display space for sale and have a new understanding of its importance. In order for brand space to achieve its intended purpose, it must continuously develop new programs that meet its target customers and its operating objectives. In conclusion, interaction design should create new experiences for interactions and naturally induce customers to have an intentional emotional experience in sales display space. This will suggest a living space that provides customers with entertainment features and a space marketing of effective interaction. 정보통신 등 기술의 발전은 각종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주고받으며, 그것을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었다. 이에 오늘날 사용자가 다양한 상황과 환경 속에서 시스템과의 상호관계 및 작용 등 소위 인터랙션을 이룰수 있는 환경이 되었다. 최근의 브랜드 및 소비 환경은 이성적 소비보다는 감성적인 면이 중요시 되고, 고객과의 관계 지향적 환경으로 변화되고 있다. 단순히 제품을 판매하는 매장의 개념을 뛰어넘어 브랜드 콘셉트를 체험하는 공간으로써 핵심적 가치와 철학을 직관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기업들은 현재 많은 노력들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인터랙션 디자인 요소가 적용된 전시 공간 사례의 특성 및 그 중요도를 살펴본다. 그리고 상호작용의공감대 형성에 주안점을 두고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이에 판매전시를 위한 브랜드 공간 사례를 중심으로 차별화한 감성과 가치를 전달하고, 공간연출을 통해 소비자들과 교감을 시도하는 기업의 사례를 살펴본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사례 분석의 결과는 우선 인터랙션 디자인 요소 특성은 소리, 시간, 움직임, 공간, 질감, 외관의 순으로 그 중요도에 가중치가 있었다. 그리고 인터랙션 디자인이 전시공간에 미치는 디자인의 구성요소 특성은 콘텐츠적, 물리적, 인터랙션적, 시스템적, 인지적인 요소의 순으로 그 가중치가 있었다. 이처럼 상호작용을 위한 효율적 전시공간의 구축을 위해서는 판매를 위한 전시 공간 환경에 변화를 주어 그 중요성을 재인식할 필요가 있다. 이에 브랜드 스페이스가 그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목표로 하는 고객과 그 운영의 목적에 부합하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해야 한다. 결국 인터랙션 디자인은 상호작용을 위한 경험을 새로 만들고, 판매전시 공간에서의 의도적인 감성 경험을 방문자에게 자연스럽게 유도 및 발생되게 하여야 할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살아있는 접객 공간이 될 수 있고, 효과적인 상호작용의공간 마케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공간디자인 마케팅에서 소비자 니즈에 관한 연구

        김운걸,이정교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3

        In corporate branding strategies, as the space is being recognized as a communication medium between enterprises and consumers, the importance of space design is also growing. Therefore, this study starts from the viewpoint that the space design is an expansion of marketing concep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 and consumer's needs in marketing area, in other words, to review 'consumer's spatial needs'. Research methods were to extract the roles and scope of space design from the design marking cases from enterprises, to make an evaluation chart based on the results and then to perform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rea of corporate brands, that expands and is reorganized into the area including space concept, is not limited to a simple tool of marketing. Second, as the space is being recognized as a communication medium between enterprises and consumers for marketing space, the importance of space is even more emphasized. Third, the consumer's needs not only includes products and service but also the concept of needs for space. Also, case analysis shows that a spatial experience and desire for level up could be a main point and the types of spatial experience have been developed in the various forms of experience. In addition, the space design marketing includes the marketing activities such as making the space provided by the enterprises into a place to satisfy customer’s needs or improving the image of enterprises or brands by providing product experience through space. In conclusion, it require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pace and review the awareness of space. In other words, the concept of 'consumer's spatial needs' needs to be understood and this will serve as a momentum to shed new light on space and recognize its importance. 기업의 브랜드 전략에서 공간이 기업과 소비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매개체로서 인식이 확대되면서 공간 디자인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공간 디자인이 마케팅 개념의 확대라는 관점에서 출발하고자 한다. 마케팅 영역에서 공간과 소비자 니즈의 관계, 즉 ‘공간적 소비자 니즈’에 대한 연구진행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기업이 제공하는 마케팅 영역에서의 공간 디자인 역할과 그 범위에서 요소를 추출하고, 평가표를 작성하여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이라는 개념을 포함한 영역으로 확장되고, 개편되는 기업의 브랜드 영역은 단순히 마케팅 도구에 한정되지 않는다. 둘째, 마케팅 공간에 있어 공간이 기업과 소비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매개체라는 인식이 커지면서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 된다. 셋째, 소비자의 니즈는 단순히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니즈에 그치지 않고 공간에 대한 니즈의 개념을 포함한다. 또한 사례분석 결과 공간적 체험과 레벨 업 욕구 등이 주요 관점이 될 수 있었으며, 그 공간적 체험의 유형은 다양한 체험의 형태로 전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공간디자인 마케팅은 기업이 제공하는 공간을 소비자 니즈를 충족시키는 공간으로 직접 만들거나 공간을 매개로 한 소비자 체험을 제공해 기업 및 브랜드의 이미지를 제고하는 마케팅 활동까지도 포함한다. 그러므로 최종적으로는 공간에 대한 중요성과 그 인식의 재조명 즉, ‘공간적 소비자 니즈’의 개념적 인식이 필요한데 이는 공간에 대한 재조명과 그 중요성 인식의 계기가 될 것이다.

      • KCI등재

        VMD공간과 경험디자인의 구성요소 간 상관관계 연구

        김운걸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23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32 No.6

        Recently, the consumption space has been making great efforts to overcome difficulties such as stagnation in sales after the pandemic. In order to overcome this difficulty, space marketing that provides a variety of customer experiences will be required. Accordingly, domestic department stores are focusing on providing products and various promotions based on customer experienc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correlation between VMD as through case analysis as a means of promoting experience design and sales based on customer experience. The research method selects cases of three domestic department stores as consumption spaces for the sale of goods and services and examines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spatial marketing. In the sales space where customer experience is important, the characteristics of VMD space applied with experience design components are analyzed.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and importance of the results, such as diagram analysis and quantitative evaluation, are summari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importance of the experiential design component items was high in the order of sensory stimulation, interactivity, informativity, association, dynamics, and non-dailiness. It was confirmed that the importance of VMD components according to their weights was high in the order of items such as EP zone, HS zone, VP zone, FP zone, PP zone, and IP zon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mponents of sensory stimulation and EP zones were relatively weighted.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sales space based on experiential design and experiential direction. As a result, strategic design thinking is needed from the perspective of VMD to promote experience design and sales based on customer experience. Considering the experience and experience of strategic thinking for space marketing, it will provide an optimized sales space environment.

      • KCI등재

        기업 전략의 IMC 활동에서 공간마케팅의 중요도에 대한 연구

        김운걸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5

        IMC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has been used as a marketing strategy centered onconsumers under the segmented and differentiated marketing environment for a long time. Thepurpose of IMC is to deliver the consistent message by studying and integrating the brandcontacts of consumers.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of spatial marketing forthe IMC activities from the corporate strategy aspect. It reviews the examples of business casesthat try to convey various messages by converging cutting-edge technologies and genres indesign, arts, music, and entertainments in addition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t then establishes the effective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s with consideration to theimportance of spatial marketing based on i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analysis of the cases showed that the integrated marketing factors were important in the orderof customizing, brand image building, message consistency, and communication in that orderwhile the spatial marketing factors were important in the order of dailiness, technology,interactivity, story factor, and artistic value. Furthermore, the spatial marketing conditions forintegrated marketing of a company are as follows. The first is the design of active participatoryspatial contents, the second is the reflection of modern culture and contemporary trends, and thethird is the design of contents that harmonize mutually common messages, aesthetics, artisticvalue, and cutting-edge technologies. As such,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the factors of spacemarketing, which is the subject of integrated marketing in the media provided by companies,with consideration to the aesthetic experiences of customers and human psychology in the mediacombined with the latest advanced technologies. At the same time, the companies shouldproduce the entertainment, storytelling, and participatory contents and interact all these factorsfrom the integration aspect. 세분화 및 차별화되는 마케팅 환경 하에 IMC 활동은 소비자를 중심으로 하는 마케팅 전략으로 이미 오래전에등장하였다.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IMC는 소비자의 브랜드 접촉을 파악하고, 이를 통합적으로 운영하여 일관된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기업의 전략적 관점에서 기업의 통합적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활동에 있어 공간마케팅의 중요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기업이 제공하는 마케팅 공간에 있어 정보통신기술 외에 디자인과 예술성, 음악, 엔터테인먼트 등 첨단의 기술과 여러 장르를 복합화 하여 다양한 메시지를 시도하는 기업의 사례를 살펴본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공간마케팅의 중요성을 염두에 두고, 효과적인 통합적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정립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사례의분석 결과는 우선 통합적 마케팅 특성 요소는 커스터마이징, 브랜드 이미지 구축, 메시지의 일관성, 커뮤니케이션 순으로, 그리고 공간마케팅 특성 요소는 일상성, 기술성, 상호작용성, 스토리성, 예술성 순으로 그 중요한 정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통합적 마케팅을 위한 기업의 공간마케팅 조건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능동적 참여형의 공간 콘텐츠 설계, 둘째, 현대적 문화와 동시대적인 트렌드의 반영, 셋째, 상호간 공통의 메시지 및미학과 예술성, 첨단의 기술이 어울리는 콘텐츠의 설계이다. 이와 같이 기업들이 제공하는 공간이라는 매체에있어 통합적 마케팅의 대상인 공간마케팅은 최근의 첨단기술과 결합한 미디어 공간에서 고객의 심미적 체험 및그 인간심리에 관심을 갖고 통합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이때 엔터테인먼트와 스토리텔링 및 참여형의 콘텐츠를 만들고, 통합적 관점에서 이러한 모든 요소들이 상호작용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전략적 체험 모듈과 비주얼 머천다이징 상관관계 중요도 사례 연구

        김운걸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2

        (Background and Purpose) Based on the theory of consumer behavior, companies are attempting to provide overall experiences using strategic experience modules, which are the starting point of experiential marketing, in the sales spac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cases of sales space planning that have used the space component of visual merchandising for sales promotion based on the strategic experience modules of experiential marketing. The analysis of these cases examines correlation and its import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rategically recognize and reaffirm the importance of experiential marketing in the business space. (Method) As a specific method of study, firstly, major living and sports brands for sales display are selected as analysis targets for the case study. Next, the evaluation framework and evaluation tables for case analysis are made by extracting the evaluation items through theoretical review. These evaluation items are quantified on the basis of Likert scale for quantitative evaluation and schematized in diagram. The correlation and importance of the factors are analysed for the conclusion. (Resul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case analysis showed that emotion was the most important strategic experience module factor, followed by sense, behavior, cognition and relationship while FP was the most important visual merchandising space factor, followed by VP, HS, PP, and IP.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experience was confirmed in the sales space by analyzing the importance of correlation between visual merchandising and strategic experience module as a means of sales promotion. The experiential spaces strategically provided by companies will become even more important in the future. Also, it showed that the recent consumption spaces revolve around experience. Accordingly, visual merchandising needs to be viewed from the point of view of experience-oriented marketing strategies, rather than the traditional marketing strategies. Likewise, visual merchandising, which has the role as a provider of the right experience, needs to establish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consumers through continuous communication. (Conclusion) The changes in the consumption environment due to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emotional value hastened the advent of the so-called experiential economy, which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customer experience. In other words, companies and brands stimulate customer emotions through experience and provide special experiences. Through this experiential marketing strategy, companies and brands will be able to gain competitive advantage and earn a key element of differentiation strategy. (연구배경 및 목적) 소비자행동 이론을 바탕으로 기업들은 판매 공간에 있어 전략적 체험 모듈, 즉 체험 마케팅의 출발점이라 할 수 있는 체험의 요소들을 활용하여 총체적인 체험을 경험하게 하려 시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체험 마케팅의 전략적 체험 모듈 요소를 기반으로 판매촉진 등을 위한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공간구성 요소를 수단으로 하고 있는 판매 공간의 기획사례를 살펴본다. 이러한 사례의 분석을 통하여 상관관계 및 그 중요도를 살펴본다. 그리고 기업공간에 있어 체험 마케팅의 중요성을 재차 확인하고, 그 중요도에 관해 전략적으로 인식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구체적인 연구의 방법으로써 먼저 사례연구를 위한 분석 대상은 판매전시를 위한 생활·스포츠의 주요 브랜드를 사례 선정한다. 이어서 사례분석을 위한 평가 틀은 이론적 고찰 등을 통하여 평가항목 등을 추출하고, 평가표를 유형화하여 만든다. 그리고 정량적 평가를 위한 리커트의 척도기준으로 수치화 및 다이어그램 등으로 도식화하며, 요소 간의 상관관계 및 그 중요도를 해석하고 결론을 맺는다. (결과)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사례분석 결과는 전략적 체험 모듈 요소의 측면에서는 감성, 감각, 행동, 인지, 관계의 순으로 중요도가 있었고, 비주얼 머천다이징 공간구성 요소의 측면에서는 FP, VP, HS, PP, IP의 순으로 그 중요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판매촉진을 위한 수단으로써 비주얼 머천다이징과 전략적 체험 모듈의 상관관계에 관한 중요도를 사례분석을 통하여 체험의 중요성을 매장공간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기업들에 의해 전략적으로 제공 되어진 체험 공간이 앞으로 더 그 의미의 중요성이 배가 될 것이다. 또한 근래의 소비 공간 흐름이 체험중심으로 전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비주얼 머천다이징은 이전의 단순한 판매 전략이 아닌, 체험중심의 마케팅 전략 관점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이처럼 올바른 체험 제공자로서의 그 역할을 갖는 비주얼 머천다이징은 소비자와의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우호적인 관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결론) 이와 같이 감성적 가치의 중요도 증가에 따른 소비 환경의 변화는 고객 체험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 소위 체험 경제의 도래를 앞당겼다. 즉, 기업과 브랜드는 체험을 통하여 고객의 감성을 자극하고, 특별한 경험을 제공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경쟁관계에서 먼저 우위를 선점할 수 있으며, 차별화 전략의 핵심요소가 될 것이다.

      • KCI등재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구성요인과 공간구성 요소의 상관성 중요도 연구 - 홈퍼니싱 브랜드를 중심으로 -

        김운걸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유통환경의 판매 공간에 있어 상품정보의 전달 역할과 판매촉진을 위한 수단으로 한정되었던 비주얼 머천다이징은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써 그 역할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급변하는 소비환경에 있어 효과적인 브랜드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고객접점의 최적화된 판매환경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구성요인과 공간구성 요소 간의 상관관계에 따른 중요도를 판매 공간사례를 통하여 그 중요성을 살펴본다. 그리고 그 중요도에 따라 기업공간의 전략적 접근을 위한 효율적인 판매환경의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먼저 판매전시를 위한 주요 홈퍼니싱 브랜드 공간을 사례로 선정한다. 이어 이론적인 고찰 등을 통해 분석을 위한 평가표 및 이에 들어갈 평가항목 등을 추출한다. 그리고 리커트 척도기준의 정량적 평가 및 수치 결과에 따른 다이어그램 등으로 도식화하며, 정성적 평가를 병행한다. 아울러 평가표의 항목특성 간 상관관계 및 그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를 해석하고 결론 맺는다. (결과)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사례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구성요인은 조화성, 매력성, 유행성, 적합성, 기능성의 순으로 중요도가 높았고,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공간구성 요소는 FP존, VP존과 HS존, PP존, IP존 순으로 그 중요도의 가중치가 높았다. 이는 조화성과 매력성의 구성요인과 FP존, VP존과 HS존의 공간구성 요소에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계획 시 주안점을 둘 필요가 있음을 설명한다. 이에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구성요인과 공간구성 요소 간의 상관성에 관한 중요도를 그 가중치에 따라 파악함으로써 판매환경 공간에 있어 우선순위를 두고 고려해야 할 중요한 사항들을 인식할 수 있었다. 아울러 고객의 체험을 중심으로 하는 최근의 소비 공간흐름은 비주얼 머천다이징으로 하여금 이전의 단순 판매 전략에서 벗어나 공간마케팅을 위한 전략적 관점에서의 역할을 필요로 한다. (결론) 이와 같이 기업의 브랜드에 의해 제공 되어진 판매 공간은 목적하는 공간마케팅을 위한 활동의 효율과 효과적인 표현전략의 수립을 위해서는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해야 할 것이다. 즉,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구성요인과 공간구성 요소 간의 상관성에 따른 중요도의 결과를 인식하고, 이를 통해서 브랜드 공간의 중요성을 인지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브랜드와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고객접점의 최적화된 판매환경 구축에 도움이 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Visual merchandising, which has been limited to the role of delivering product information and sales promotion in the sales space of the distribution environment, is playing an increasingly important role in effective communication. This shows that an optimized customer-contacting sales environment is required for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the brand in a rapidly changing consumption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importance of correlation between the components of visual merchandising and spatial components by analyzing sales spa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 efficient sales environment for a strategic approach to corporate space. (Method) First, the main home furnishing brand spaces for sales display are selected as examples. The evaluation table for analysis and the evaluation items are then extract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A quantitative evalu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Likert scale, and the numerical results are displayed in the diagram; a qualitative evaluation is also carried out.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tems in the evaluation table and the weights according to their importance are analyzed. (Results) Harmony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component of visual merchandising, followed by attractiveness, trend suitability, and functionality, while the spatial components of visual merchandising had the highest weightage in terms of importance in the FP zone, followed by the VP zone, the HS zone, the PP zone, and the IP zone. This shows tha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components “harmony” and “attractiveness” and the spatial components of the FP, VP and HS zones when planning visual merchandising. In this regard, this study on the importance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mponents of visual merchandising and the spatial components according to their weights reveals what should be prioritized and considered in the sales environment space. Besides, the recent consumption space trend that focuses on customer experiences requires visual merchandising to play a role in space marketing from a strategic perspective, beyond the traditional simple sales strategies. (Conclusions) As such, the sales space provided by the company's brand should actively utilize visual merchandising to establish effective expression strategies for the purpose of space marketing.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study results on the importance of correlation between the components of visual merchandising and spatial components, and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brand space. This will be helpful in building an optimized customer-contacting sales environment for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the brand.

      • KCI등재후보

        제3공간에서 공간적 소비자 니즈의 중요성 연구

        김운걸,이정교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7 No.3

        공간이 기업과 소비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매개체라는 인식과 함께, 공간이라는 개념을 포함한 기업의 브랜드 전략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간 디자인의 중요성 및 공간 디자인 마케팅 개념의 확대라는 관점에서 출발한다. 즉, 제3공간에서 공간에 대한 소비자 니즈의 중요성 적용 및 재조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기업이 제공하는 제 3공간에서의 공간 디자인 마케팅 사례를 그 범위로 하여 종합평가 매트릭스 표를 작성하여 질적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브랜드 영역은 마케팅 도구에 한정되지 않고, 공간 개념을 포함한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다. 둘째, 공간이 기업과 소비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매개체라는 인식이 커지면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셋째,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니즈뿐만 아니라, 그 상품과 서비스를 담고 있는 공간에 대한 니즈가 필요하다. Corporate branding strategies including the concept of space have been increasing with awareness that space is a communication medium between enterprises and consumers. Accordingly this study begins at the point of view on the importance of space design and the extension of space design marketing concept. In other words, it focuses on applying the importance of consumers' spatial needs in the third space and reconsidering it. Based on space design marketing cases in the third space that enterprises provide, comprehensive matrixes for evaluation were made and qualitatively analyzed for the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area of corporate brands is not limited to a marketing tool but expanded to the area including the concept of space. Secondly, the importance of space is growing as awareness that space is a communication medium between enterprises and consumers have been increasing. Lastly, not only needs for products and services but also those for space that contains them are necessary.

      • KCI등재

        체험 제공 수단과 VMD 구성요인의 상관성 중요도 사례 연구 - 스포츠 브랜드를 중심으로 -

        김운걸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6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소비환경은 빠르게 변화하는 소비자들의 감성을 효과적으로 자극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체험의 마케팅을 요구한다. 이에 다양한 고객체험을 창조함으로써 감성적 측면을 강조하여 구매를 유도하는 체험 마케팅은 그 주요관점이 과학적 사고체계에서 인간의 체험으로 옮겨지고 있는데,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이미 그 효과가 입증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기업들은 치열한 경쟁 속에서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자 신규고객 발굴 및 기존 고객들과의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의 체험에 주안점을 두고 판매촉진을 위한 마케팅 전략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즉, 전술적 체험제공수단과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상관성 전략 관점에서 살펴본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먼저 체험 및 비주얼 머천다이징을 수단으로 판매전시를 위한 주요 스포츠 브랜드 공간을 사례로 선정하고 그 중요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테면, 체험경제에 기반 한 전술적 체험 제공 수단과 상품 판매촉진을 위한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상관관계 및 그 특성과 중요도를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체험과 판매를 위한 스포츠 브랜드에 있어 체험 제공 수단 요소가 적용되어 비주얼 머천다이징 구성요인 특성이 반영된 공간의 사례를 분석한다. (결과) 연구결과 우선 사례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체험 제공 수단의 요소는 공간적 환경, 시각적언어적 아이덴티티, 커뮤니케이션, 제품의 외형, 인적 요소의 순서로 그 중요도에 있어 가중치가 있었다. 그리고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구성요인은 조화성, 유행성, 매력성과 기능성, 적합성의 구성요인 순서로 그 중요도가 높았다. 이처럼 긍정적인 소비자 체험과 효율적인 판매를 위한 환경구축을 위해 그 상관성의 중요도를 재인식할 필요성이 있다. (결론) 결국 체험 경제를 위한 전략적 체험 모듈의 구체적 실행방안으로써 체험 제공 수단과 판매 공간에서 상품 판매촉진을 위한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상관관계 관점에서 마케팅 전략을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 즉, 감각 등 전략적인 체험모듈을 실행하기위한 전술적 체험의 제공수단은 판매촉진을 위한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전개를 기업들이 제공하는 판매 공간에서 상호 연관관계를 갖고 고객체험 등 제 목적을 달성하고자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바라볼 때 체험 마케팅에 기반 한 긍정적 소비 체험과 효율적인 판매환경의 공간 구축이 가능해 질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consumption environment requires the marketing of the most appropriate experience to effectively stimulate the emotions of fast-changing consumers. In this regard, experience marketing, which induces purchases by emphasizing the emotional aspect through the creation of various customer experiences, has shifted its main focus from the scientific thinking system to human experience, and its effects have already been proven in various industries. In addition, companies are striving to find new customers and maintain lasting relationships with existing ones to gain market share in the face of intense competition.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consumer experience and analyzed it from the perspective of a marketing strategy for sales promotion. In other words, the study examined the strategic relationship between tactical experience provision and visual merchandising. (Method) First, the research method involved selecting the major sports brand spaces for sales exhibition by means of experience and visual merchandising as a case, and examining their importance. For example, the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actical experience-providing means based on the experience economy and visual merchandising to promote product sales. Specifically, the study analyzed the case of a space where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merchandising factors are reflected by applying elements of experience-providing means to sports brands for experience and sales. (Results) The results of the cas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of the elements of experience-providing means was weighted in terms of spatial environment, visual and linguistic identity, communication, product appearance, and human factors. The components of visual merchandising were most important in terms of harmony, fashion, attractiveness, functionality, and fitness. As such, there is a ne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correlation in order to construct an environment for efficient sales and a positive consumer experience. (Conclusions)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look at marketing strategy in terms of the correlation between visual merchandising and the experience-providing means to promote the sale of goods in the sales space as a concrete implementation plan for the strategic experience module of the experience economy. In other words, the means of providing tactical experiences in implementing strategic experience modules, such as sensations, should strive to achieve their objectives, such as customer experiences with mutual relations in the sales space provided by companies for the development of visual merchandising for sales promotion. From this perspective, it is possible to create space for a positive consumption experience and an efficient sales environment based on experiential marketing.

      • KCI등재

        경험디자인 구성요소와 VMD공간 구성요소 간의 상관관계 중요도 사례 연구 - 의류브랜드 공간을 중심으로 -

        김운걸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3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 rapid changes in consumption spaces have highlighted customer sensitivity. In addition, appropriate space marketing is required in combination with a corresponding amount of design experience. In response to these conditions, company brands want to offer competitive, positive customer experiences. For example, we try to offer excellent products and various customer experiences in store spaces during sales exhibitions. As such, companies are focusing on visual merchandising as a means of experience design, based on consumer sensibility and the percep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that are necessary to effectively communicate with consumers. This study focuses on experience design based on customer experiences and examines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merchandising and sales promotion through case analysi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visual merchandising based on experience design in sales spaces. (Method) The research methods were selected based on experience design and visual merchandising by finding and selecting major clothing brand cases in exhibition spaces where products are sold. In clothing brands’ sales spaces, which are the locales for customer experience and sales exhibition, the experience design component was applied to analyze the cases that reflect visual merchandising characteristics. In addition, performing quantitative evaluation and diagram analysis on the cases facilitated an examinati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important implications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results. (Results) The study’s results, according to cas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experience design components are very important to the item in the order of informativity, sensibility, interactivity, associativity, dynamics, and non-dailiness. The visual merchandising characteristics were weighted according to their importance in the order of items such as EP Zone, VP Zone, PP Zone, HS Zone, FP Zone, and IP Zone. This demonstrates that there is a need to re-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and the EP Zone, which is a staging area for experience and information within the store space, based on the consumer experience design. In other words, it is essential to provide new information and experiences in the store that trigger purchasing behavior. It is also necessary to provide a store space where people can experience products and brands. (Conclusions) In sum, there is a need for a strategic thinking marketing design that considers experience design and visual merchandising for the promotion of sales in sales exhibition spaces through a sensitivity that is rooted in the overall consumer experience. As such, when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strategic thinking in the above-described approach to design marketing, the experience design is based on customer sensibility and consumer experiences. This will allow for the establishment of a sales space atmosphere that brings efficiency to a positive consumption and sales environments. (연구배경 및 목적) 급변하고 있는 최근의 소비 공간은 고객의 감성에 주목한다. 또한 이에 부합하는 체험의 디자인으로 적절한 공간마케팅을 필요로 한다. 이에 기업이 만들어낸 브랜드들은 경쟁적으로 긍정적인 고객경험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테면, 판매전시를 위한 매장공간에서 다양한 고객경험과 더불어 우수한 상품들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처럼 소비자의 감성과 지각에 기초한 경험디자인과 이를 소비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써 비주얼 머천다이징에 주력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고객체험에 기초한 경험디자인에 주안점을 두고 판매촉진을 위한 비주얼 머천다이징 간의 상관관계에 따른 중요도를 사례분석을 통하여 살펴본다. 그리고 판매 공간에 있어 경험디자인에 기반 한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중요성 인식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먼저 경험디자인과 비주얼 머천다이징을 바탕으로 상품판매를 위한 전시공간의 주요 의류브랜드 사례를 찾아 선정한다. 그리고 고객경험과 판매전시를 위한 의류브랜드의 판매 공간에 있어 경험디자인 구성요소가 적용되어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특성이 반영된 사례를 분석한다. 아울러 사례의 정량적인 평가 및 다이어그램 분석으로 그 결과에 따른 특성과 중요도를 살펴본다. (결과) 사례분석에 따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경험디자인의 구성요소는 정보성, 감각성, 상호작용성, 연상성, 역동성, 비일상성의 순서로 그 항목에 있어 중요도가 높았다. 그리고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구성요소는 EP존, VP존, PP존, HS존, FP존, IP존의 항목순서로 그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가 높았다. 이는 소비자의 경험디자인에 기초한 매장 공간 내 정보성과 체험의 연출공간인 EP존 등과의 상관관계에 따른 그 중요성을 재인식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즉, 매장 내 새로운 정보와 경험으로 구매행위를 유발하는 요소의 제공이 필수인 것이다. 또한 상품과 브랜드를 체험하는 매장공간의 제공이 필요한 것이다. (결론) 결국 총체적인 소비자의 체험에 기반 한 감성을 통하여 판매전시 공간에서의 경험디자인과 판매촉진을 위한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관점에서 들여다보는 마케팅적인 전략적 사고의 디자인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경험디자인은 이러한 디자인마케팅의 전략적 사고 관점에서 살펴볼 때 고객감성과 체험에 기초한다. 그리고 이는 긍정적인 소비판매의 환경으로 효율을 가져다주는 판매 공간의 환경구축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