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공치의 난발생과 부화자어

        김용억,명정구,최상웅 한국수산학회 1984 한국수산과학회지 Vol.17 No.2

        The horn fish, Hemiramphus sajori TEMMINCK et SCHLEGEL,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coastal waters of Korea, Japan and Taiwan. On April 13, 1983, mature adults of the horn fish were collected from Changson channel, Namhae. The authors carried out artificial insemination on the field, and incubated the eggs and reared larvae in the laboratory. And these larvae were reared for about two weeks in glass jars, fed brine shrimp nauplii. The eggs of this species are demersal and adhesive, with 4 to 6 filaments at the animal pole and a filament at the vegetal pole. the diameter of these eggs varies 1.80 to 2.00mm. The hatching took place in ca. 376 hours after fertilization. During the incubation period water temperature fluctuated between 13.5�� and 20.0��. The newly hatched larvae were elongate in shape 7.40~8.00mm in total length with 10+16~17=56~57 myomers. Many melanophore were distributed on the head, both sides of dorsal body contour, peritoneum and ventral line of the tail part. Four days after hatching, the larvae were from 9.00 to 9.65 mm in total length, at this time the larvae absorbed the yolk completely, and became postlarvae. Fourteen days after hatching, the larvae attained 13.25mm in total length, with 14 rays of the dorsal fin, 13 rays of the anal fin, and 4 rays of pectoral fin. The lower jaw has somewhat projected.

      • 척수손상 흰쥐에서 수영훈련이 운동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

        김용억,김경윤,Kim, Young-Eok,Kim, Kyung-Yoon 대한물리치료학회 2007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ol.19 No.3

        Purpose: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that BDNF has a role in plasticity and survival following spinal cord injury and treadmill exercise increases BDNF levels in the normal brain and spinal cord. We attempted to determine whether swimming exercise improve motor function following experimental contusive spinal cord injury and whether motor outcome is associated with BDNF expression. Methods: Thirty six Sprague-Dawley rats (weight, 250 to 300 g) were divided into control (n=18) and experimental swimming group (n=18). Spinal cord injury was produced using NYU-spinal impactor at the eleven thoracic levels in both groups. Swimming exercise started $7^{th}$ day from SCI operation, lasted 5 min per day, 5 days a week for 4 weeks and then exercise times a day were increased in one number to each week. Motor functional recovery was determined by the Basso-Beattie-Bresnahan (BBB) locomotor rating scale, modified inclined board plane test, histological findings, H&E and BDNF expression observed at $1^{th}$, $3^{rd}$, $7^{th}$, $14^{th}$, $21^{st}$ and $28^{th}$day after injury. Results: 1. The BBB scores were higher in experimental group than control group at $14^{th}$, $21^{st}$ day (left hind limb) and at $21^{th}$ day (right hind limb) (p<0.05) after injury. 2. The inclined board plane test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experimental group than control group at $7^{th}$ day (p<0.05), $14^{th}$ and $28^{th}$ day (p<0.01) after injury. 3. The BDNF expression was severe revealed in experimental group than control group at $7^{th}$, $14^{th}$ and $28^{th}$ day after injury.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swimming applied from the early phase after spinal cord injury be beneficial effects in motor functional recovery.

      • KCI등재

        한국산 자리돔속 어류의 형태학적 연구 : 1 . 한국산 자리돔속 어류 3종 , 자리돔 Chromis notata , 노랑자리돔 C . analis , 연무자리돔 C . fumea 의 외부형태학적 연구 1 . External Morphology of Three Damselfishes of the Genus Chromis ( Teleostei : Pomacentridae ) from the Korean Water

        김용억,김진구 한국어류학회 1996 韓國魚類學會誌 Vol.8 No.2

        1993션 4월부터 1994년 8월까지 우리나라의 제주도와 남해안 등지에서 채집된 자리돔속 Chromis 어류 3종, 자리돔 Chromis notata 연무자리돔 Chromis fumea 노랑자리돔 Chromis anlis에 대한 외부형태학적 검토 및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노랑자리돔은 체장에 대한 체고의 비가 자리돔과 연무자리돔에 비해 크며, 자리돔은 채집지역에 따른 형태적 변이를 보였는데 제주도에서 북쪽으로 갈수록 가슴지느러미 기저의 흑색 무늬가 삼각형에서 원형으로 되며 배지느러미의 길이는 더욱 짧아졌다. 연무자리돔은 자리돔과 가슴지느러미 기저의 흑색 무늬의 유무, 전새개골의 형태에서 서로 달랐다. 본 조사에서 자리돔은 남해안 및 제주도에 걸쳐 광범위하게 서식하며, 노랑자리 돔과 연무자리돔은 제주도에만 서식하였다. External morphology of three species of damselfishes, Chromis notata, C. analis and C. ficmea were studied based on the samples collected from the Korean waters from 1993 to 1994. In morphology of the black spot at base of pectoral fins, C. notata has a large triangluar spot at Cheju population and a small circular spot at Sin - am. In the length of pelvic fin, C. notata of Korea can be classified into 3 groups. First group has a pelvic fin that extends to the origin of anal fin, second extends to the anus, third not extend to the anus. C. analis has higher body depth than C. notata and C. fumea in % of standard length. C. fumea has a minute serrate preopercle and no black spot at base of pectoral fins. In distribution, C. notata has a more widly distriubtion area than C. analis and C. fumea. Therefore, C. notata has more tolerance of cold waters than C. analis and C. fumea.

      • KCI등재

        볼락, Sebastes inermis의 초기생활사에 관한 연구 -2. 산출 자치어의 외부형태 및 골격발달-

        김용억,원경호,변순규,KIM Yong-Uk,HAN Kyeong-Ho,BYUN Sun-kyu 한국수산과학회 1993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6 No.5

        1992년 10월부터 부산, 경상남도 거제도 등에서 낚시, 주낚 및 어시장에서 채집한 친어들을 육상수조로 운반하여 사육하던 중, 1993년 1월 부터 5마리의 친어에서 자연 산출한 자어를 사육하면서 성장에 따른 외부형태와 골격 발달과정을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산출직후 자어의 평균전장은 6.05mm로 아직 난황은 완전히 흡수되어 있지 않으나, 입과 항문은 열려 있으며, 근절수는 $8+18{\sim}19=26{\sim}27$개이다. 2. 산출후 7일째 후기자어는 평균전장 7.10mm로 난황과 유구한 완전하게 흡수되고, 골격 중 섭이활동과 관련된 악골이 가장 먼저 골화하기 시작한다. 3. 산출후 21일째 후기자어는 평균전장 8.50mm 두개부에 한쌍의 극이 형성되며, 척색말단이 위로 굽어지기 시작한다. 4. 지느러미의 분화는 꼬리, 가슴, 등, 뒷, 배지느러미 순으로 이루어진다. 5. 산출후 $65{\sim}69$일째 개체는 전장 $17.60{\sim}20.80mm$로 모든 지느러미가 완전하게 형성되어 치어기로 이행하며, 모든 골격의 골화가 완료되어 완전한 골격의 형태를 갖춘다. Rockfish, Sebastes inermis is a ovoviviparous fish distributed around the coastal waters of Korea and Japan. Naturally beared larvae obtained from female fish kept in the aquarium were reared for three months in the laboratory. The naturally healed larvae were 6.05mm in average total length(TL) with $8+18{\sim}19=26{\sim}27$ myomeres. Melanophores were distributed on the top of head, around the intestine tube and on the dorsal and ventral margins of the tail, but none on the pectoral fins. The larva(7.1mm in TL) consumed all the yolk and oil globule, in 7 days after bearing, and jaw bones were more rapidly ossified than vertebrae and cranium. In 21 days after bearing, the larvae averaged 8.50mm in TL and the caudal notochord flex $45^{\circ}$. Fin development in S. inermis larvae proceeds in the following sequence: caudal, pectoral, dorsal, anal and ventral fin. Individuals $17.6{\sim}20.8mm$ in TL($65{\sim}69$ days after bearing) are regarded as the juvenile stage. All fins bones was nearly completed in this stage.

      • KCI등재

        넙치 , Paralichthys olivaceus 자어의 기아시 형태변화

        김용억,명정구,김형선,김병기 한국어류학회 1992 韓國魚類學會誌 Vol.4 No.1

        1990년 3월 한국해양연구소 수조실에서 넙치 수정란을 부화, 사육시키면서 기아시 넙치자어의 형태 변화 및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 넙치자어는 부화 5일째부터 먹이를 먹기 시작하였으며, 무급이구는 부화 11일째 100% 사망하였다. 부화 6일째(1일기아) 먹이를 투여하였던 실험구는 급이구와 마찬가지로 정상적인 성장을 하였으며, 7일째 이후 먹이를 투여한 실험구에서는 부화 13∼14일에 100% 사망하였다. 2. 넙치자어는 기아시 전장, 근절높이, 장 높이가 감소 성장하였으며 이중 장의 높이가 가장 크게 감소하였다. 3. 정상과 기아개체 사이의 어체 각 부위에 대한 비율중에서 장 높이/근절 높이(GH/MH)가 가장 큰 변화폭을 나타내었으며. 부화 13일 후 정상개체가 0.797, 기아개체는 0.467이었다. 4. 기아상태의 자어는 턱이 뾰족해지며, 쇄골의 아래 끝이 튀어나오고, 장이 가늘게 나타났다. The influence of starvation on morphological change and survival rate of the left eye flounder larvae was examined at the KORDI laboratories in March, 1990. 1. The larvae of left eye flounder began of feed on rotifers in 5 days after hatching. In case of non-feeding, all of the larvae died in 11 days after hatching. The larvae which fed 1 day after the normal first feeding schedule grew normally but 100 of the larvae died in 14 days when the feeding was delayed for 2 days after hatching. 2. With the exhaustion of the yolk, the total length, body length, myotome height and gut height of unfed larvae decreased. Gut height is the most decreased demensions while starving. 3. The ratio of gut height to myotome height in unfed larvae has declined most rapidly compare to other demensions during the starvation. At 13 days after hatching, the ratios of these between fed and unfed larvae were 0.797 and 0.467, respectively. 4. The morphology of starving larvae were characterized as sharpened jaw, projected edge of lawer part of clavicle and slender gut.

      • KCI등재

        한국산 놀래기과 어류 2미기록종

        김용억,명정구,고정락 한국어류학회 1995 韓國魚類學會誌 Vol.7 No.1

        1993년 4월 부터 1993년 8월중 제주도에서 놀래기科, Labridae 어류 가운데 Cheilio inermis(1개체)와 Labroides dimidiatus(2개체)가 채집되어 표본의 계수, 계측형질을 기재하고 한국 미기록종으로 보고하고자 한다. Labroides dimidiatus는 Cuvier와 Valenciennes(1839)에 의해 Cossyphus dimidiatus로 기재된 후 Randall에 의하여 1958년에 Labroides屬으로 재검토되었다. 특히 이들 어류는 다른 어류의 아가미나 구강내 또는 외부에 기생하고 있는 기생충을 포식하는 습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어 본 종의 한국명은 "청줄청소놀래기"로 명명한다. Cheilio inermis는 Forsska˚l (1775)에 의해 처음 기재되었고 놀래기科 어류의 특징인 측선이 체측의 말단부에서 끊어지지 않고 연결되어 있으며 특히 체장이 체고의 6배 이상으로 상당히 신장되어 있는 점에서 다른 놀래기科 어류들과 잘 구별된다. 본종의 한국명은 "꼬치놀래기"로 명명한다. Labrid fishes, Cheilio inermis and Labroides dimidiatus were collected around Cheju Island, between April - August, 1993, and described herewith as new to the Korean fish fauna. Labroides dimidiatus was originally described as Cossyplus dimidiatus by Cuvier and Valenciennes(1839), then reclassified as genus Labroides by Randall(1958). Underwater observations of Labroides dimidiatus have revealed the unusual food habit of removing ectoparasites from other fishes. Cheilio inermis was originally described by Forsska˚l(1775). It is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labrid fishes by the continuous lateral lines and elongated body form.

      • KCI등재

        뚝지의 난발생과 자치어

        김용억,명정구,박양성 한국수산학회 1987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0 No.2

        1960년 1월 16일 강원도 명주군 옥천면 금진3리 앞 500m 해상에서 3중자망으로 채포한 뚝지를 사용하여 선상에서 인공수정시킨 후 실험실로 운반 사육하면서 난발생과정 및 자치어의 형태에 대하여 관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수정란은 난경이 2.28~2.36mm로서 담유백색을 띤 구형의 침성점착란이다. 수조내의 사육수온은 7.5~21.4℃ 범위였으며 수정후 725시간만에 부화하였다. 부화직후의 자어는 전장이 6.0~6.9mm로서 머리와 몸통이 크며, 배지느러미가 변형된 흡반이 형성되어 있고 수많은 흑색소포가 머리와 몸통부분에 발달한다. 부화후 17일째의 자어를 전장이 9.1mm이며 아가미 구멍은 가슴지느러미 기저 윗 부분을 제외하고는 융합되어있고, 꼬리 위에도 흑색소포가 나타난다. 부화후 31일째의 자어는 전장이 10.6mm로서 각 지느러미 기조수가 정수에 달하여 치어로 되며, 제1등지느러미 가시는 소실된다. 부화후 105일째의 치어는 전장이 15.4~17.5mm이다.

      • 가자미亞科魚類의 體長과 體重의 關係

        金容億 釜山水産大學校 1974 釜山水産大學 硏究報告 Vol.14 No.1

        1. 1971年 12月에서 1973年 1月 사이에 機船底引網으로 漁獲된 가자미 亞科魚類를 材料로 體長과 體重의 相對 成長關係를 調査하였다. 2. 各 種의 全 個體에서 體長의 伸張에 따른 體重의 回歸를 나타내 보면 다음과 같다. Microstomus achne W=?? Tanakius kitaharai W=?? Eopsetta grigorjewi W=?? Clidoderma asperrimum W=?? Glyptocephalus stelleri W=?? Cleisthenes pinetorum herzensteini W=?? Limanda herzensteini W=?? Limanda yokohamae W=?? Pleuronichthys cornutus W=?? Dexistes rikuzenius W=?? The relationships between body length and body weight of ten speciesrepresenting nine genera of Pleuronectinae fishes were studied. The study was based on the wpecimens randomly sampled from the fishes which have been caught by trawl nets during the period from December 1971 to January 1973. The number of specimens measured were 116 specimens of Microstomus achne, 200 specimens of Tanakius kitaharai, 350 specimens of Eopsetta grigorjewi. 111 specimens of Clidoderma asperrimum, 373 specimens of Glyptocephalus stelleri, 276 specimens of Cleisthenes pinetorum herzensteini, 128 specimens of Limanda herzensteini, 146 specimens of Limanda yokohamae, 168 specimens of Pleuronichthys cornutus and 93 specimens of Dexistes rikuzenius. The relationships between body length(L) in centimeter and body weight(W) in gram ar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s: Microstomus achne W=?? Tanakius kitaharai W=?? Eopsetta grigorjewi W=?? Clidoderma asperrimum W=?? Glyptocephalus stelleri W=?? Cleisthenes pinetorum herzensteini W=?? Limanda herzensteini W=?? Limanda yokohamae W=?? Pleuronichthys cornutus W=?? Dexistes rikuzenius 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