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생중인 흰쥐 망막의 분화 및 Acetylcholinesterase 활성에 관한 연구

        김완종,최준섭,Kim, Wan-Jong,Choi, Jun-Sub 한국현미경학회 1997 Applied microscopy Vol.27 No.2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rocesses of the ultrastructural differentiation and the acetylcholinesterase (AChE) activities of the developing rat retina.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retina of fetal rat on the 13th day of gestation showed the early stage of differentiation. Briefly, there appeared dividing chromosomes, the plentiful free ribosomes, and the high ratio of nucleus to cytoplasm. The reaction products by AChE were localized at the membrane of endoplasmic reticulum and on the outer membrane of nucleus. Ultrastructures and AChE activities in the retina of the fetal rats on the 18th day of gestation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prior stages, except the appearence of rough endoplasmic reticulum and Golgi apparatus. According to the ultrastructural observations, the rat retina was still in immature state at birth, but the pigment epithelial cells were fully differentiated, e. g. the increase of melanin granules, the development of mitochondria and Golgi apparatus. The AChE activity was weekly detected. The differentiated retinal layers and the outer segment of photoreceptor cells were observed on the 7th postnatal day. And the pigment epithelium appeared to be fully differentiated. On the 14th postnatal day, rat retina were completely differentiated. In other words, the rat retina was characterized by the prominent outer segments, phagocytosed residues in the pigment epithelium, and the localization of reaction products by AChE in the synapses. In conclusion, the differentiation of rat retina is charaterized by the changes of cell shape, the increase of retinal layers, and the alterations of AChE activities. It seems that rat retina is to be functional from 2 weeks of birth onward, coinciding with the eye opening of the juvenile rats.

      • KCI등재

        발생중인 계배의 (鷄胚) 발육과 간세포의 미세구조 변화에 미치는 Malathion 의 영향

        김완종,류동석,등영건,최임순 ( Wan Jong Kim,Dong Suck Reu,Young Kun Deung,Rim Soon Choe ) 한국환경생물학회 1990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8 No.2

        Chick embryos which have received a single injection of an organophosphate insecticide, malathion(0.1㎎, 0.5㎎, 1.0㎎ or 2.0㎎) via the yolk sac at certain times(2days, 4days or 6days after incubation) have been investigated. After 9days of incubation, chick embryos were harves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lathion on gross development and ultrastructural changes of hepatocytes. Chick embryos treated with malathion showed a high mortality, the reduction of body weights and various teratogenic signs such as abnormal wing, wry neck, micromelia and abnormal beaks. On the ultrastructural examination, malathion inhibited the differentiation of hepatocytes; the dilatations of intracytoplasmic membrane structure, the increases of distribution of lipid droplets and lysosomes, and the destruction of mitochondrial matrix.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malathion inhibits the normal development of chick embryos and alters the ultrastructure of differentiating hepatocytes, and the severity of which is somewhat dose-or age-dependent.

      • KCI등재

        흰쥐 정소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Di-(2-ethylhexyl) phthalate (DEHP)의 영향

        김완종,길영천,신길상,Kim, Wan-Jong,Kil, Young-Chun,Shin, Kil-Sang 한국현미경학회 1999 Applied microscopy Vol.29 No.3

        Di-(2-ethylhexyl) phthalate (DEHP) is a plasticize. known as one of endocrine disruptors.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ultrastructural changes of prepubertal rat testis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DEHP in dosages of 1 g/kg, 3 g/kg or 5g/kg in 0.5 ml of corn oil daily for a week. This study revealed the DEHP inhibited the development of seminiferous tubules and induced structural changes on various cell types of the rat testis. Leydig cells, Sertoli cells and the developing germ cells seemed to be impaired their differentiations in terms of the structural changes of cell organelles. The increase of heterochromatin in amount were common features in all 3 cell types. In addition, the Leydig cells were characterized by the increases in number and size of lysosomes and the scantiness of smooth endoplasmic reticulum. The Sertoli cells became irregular in nuclear envelope and the cytoplasm decreased, but the number of lysosomes and vacuoles seemed to be increased. There were some indications of necrosis of the germ cells, such as vacuolized nucleus and segregated nucleolus. These detrimental effects of DEHP on the rat testis were dose dependent and suppressed spermatogenesis decreasing developing germ cells in number and appearances. The effect of DEHP on ultrastructure of rat testis, as its known physiological functions, seems come from the decreased level of testosterone by Leydig cells, followed by the abnomalities of Sertoli cells and the germ cells. 플라스틱 제품의 가소제로 널리 사용되며, 내분비 교란물질로도 알려져 있는 di-(2-ethylhexyl) phthalate (DEHP)를 사춘기 이전 흰쥐에 1주일 동안 구강 투여 (1g/kg, 3g/kg, 5g/kg)한 후 분화중인 정소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DEHP 처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세정관 직경이 매우 작았으며, Leydig 세포, Sertoli 세포 및 분화중인 생식세포들의 증식이 억제되었다. 실험군에서 세정관 사이에 존재하여 테스토스테론을 분비하는 Leydig세포는 이질염색질이 증가하고, 세포질내에서 활면소포체의 발달이 미흡하였으며, 리소솜과 지방적이 증가하는 특징을 보였다. 세정관 내에서 Sertoli 세포는 세포질의 크기가 감소하고, 핵막이 불규칙해지거나, 염색질이 응축되어 있는 모습이 나타나며, 세포질내에서 리소솜과 액포들이 증가하였다. 실험군 흰쥐 정소내에서 분화중인 생식세포들의 핵은 이질염색질이 증가하거나, 응축되어 있고, 인의 분리현상이 관찰되기도 하며, 심한 경우 핵내에 공포가 형성되어 있거나, 괴사과정에 있는 생식세포들도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정소 미세 구조의 변화는 DEHP 투여량의 농도에 의존성을 보이며, 이 화합물은 Leydig 세포의 테스토스테론 합성 기능을 방해하고, 이어서 Sertoli 세포의 구조와 기능이 손상되어 정자형성과정 중인 생식세포들의 증식과 분화가 억제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Malathion이 발생중(發生中)인 개배(鷄胚) 척수(脊髓)의 미세구조(微細構造)와 acetylcholinesterase 활성(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김완종,등영건,최임순,Kim, Wan-Jong,Deung, Young-Kun,Choe, Rim-Soon 한국현미경학회 1988 Applied microscopy Vol.18 No.1

        Chick embryos which have received a single injection of the organophosphate compound, malathion (0.1 mg/0.05 ml, 0.5 mg/0.05 ml, 1.0 mg/0.05 ml or 2.0 mg/0.05 ml) via the yolk sac at certain times (2 days, 4 days or 6 days after incubation) have been investigated. After 9 days of incubation, chick embryos were harves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malathion on the ultrastructure and the acetylcholinesterase(AChE) activity of the developing spinal cord. The effects of simultaneous injection of malathion and nicotinamide were also compared. On ultrastructural findings, neurons in the ventral horn of spinal cord showed to be inhibited in their differentiation by malathion; nuclear irregularity, separation of nuclear membranes, reduction of ribosomal distribution, and cytoplasmic vacuoles were observed. In the younger embryos treated with relatively high doses of malathion, nucleus and cytoplasmic organelles of neurons were severely destroyed, and the neurons were shown to be necrotic. On cytochemical study of AChE by electron microscope, the positive reaction products of AChE were localized at the membranes of nucleus and endoplasmic reticulum of neurons. Inhibition of AChE activity was severe in groups treated with relatively low doses of malathion. Nicotinamide (5.0 mg/0.05 ml) alleviated malathion-induced morphological alterations.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malathion changes the ultrastructure and reduces. AChE activity in differentiating neurons, and the severity of which is consistently dose- and age-dependent.

      • 동시저자분석을 통한 한국의 OLED 분야 지식구조 파악을 위한 연구

        김완종(Kim Wan-Jong),노경란(Noh Kyung-Ran),서진이(Su Jinny),권오진(Kwon Oh-Jin),정의섭(Jeong Eui-Sob) 한국콘텐츠학회 2006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4 No.2

        동시저자 분석(Co-Authorship Analysis)은 계량서지 분석 방법의 하나로서 특정 기술 분야의 지식생산 네트워크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매우 유용한 분석 기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둘 이상의 연구자가 하나의 논문을 공동으로 작성하였다면 이들 사이에 지식의 연결고리가 존재한다는 가정 하에 국내 OLED 분야의 지적 구조를 계량서지 분석 기법인 동시저자 분석을 통하여 규명해 봄으로써 OLED 분야의 발전 방향과 학문적 위상을 정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 데이터로는 SCI(E) DB에 수록되어 있는 OLED 기술 분야의 논문 중에서 한국인들이 작성한 논문을 사용하였다. Co-Authorship analysis ia a kind of bibliometric analysis. and a well established tool for character of knowledge network in some technical fields. If more than two authors co-author an article, there is a relation of knowledge. So This study aims at discovering the trends and phases of OLED technology using co-authorship analysis, a kind of bibliographic analysis. The Science Citation Index Expanded(SCIE) database was used to search for the number of times paired Korean articles were co-authored in OLED field.

      • KCI등재

        지성과 감각간의 관계성: 토마스 아퀴나스를 중심으로

        김완종 ( Kim Wan-jong ),박규철 ( Park Kyu-cheol ) 한국동서철학회 2018 동서철학연구 Vol.0 No.87

        본 논문에서 필자는 토마스 아퀴나스가 언급한 지성과 감각의 관계를 통해 그의 인식론을 탐구 해보려고 한다. 필자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인식론의 현대적 의미나 그의 견해에 대한 여러 논쟁은 다루지 않을 것이다. 플라톤 이후로 서양철학은 주로 감성보다는 지성에 관심을 두었는데, 이 감성은 지성보다는 하위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플라톤주의를 비판한다. 이유는 간단한데, 우리는 형상을 직접적으로 질료를 통해서만 알 수 있다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플라톤과 다르게 아리스토텔레스나 경험주의자와 같이 모든 지식은 감각 경험으로 시작한다는 기본적 전제하에 출판한다. 지식이 감각에서 시작함에도 불구하고 그는 지성의 우위성을 주장한다. 필자는 토마스 아퀴나스를 통해 비록 그가 지성의 우위성을 강조했을 지라도 지성과 감각간의 적절한 관계를, 마치 일반적 견해로 칸트가 경험론과 합리론을 잘 종합한 것으로 알려진 것처럼, 주장했다는 것을 고찰할 것이다. 그래서 그의 지성과 감각간의 관계를 모색해 봄으로써 그가 실재론과 유명론 두 측면을 모두 붙들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이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그에 따르면 모든 존재자는 본질과 실존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에게 인간 지식의 제일 원리는 감각 작용이다. 다시 말하면 모든 지식은 감각작용에서 비롯된다. 뿐만 아니라 내용까지도 감각작용을 통해 획득된다. 이를 위해 그는 지성의 작동 방식을 탐구한다. 인간 존재자는 자신의 지성의 외부 세계에 있는 대상을 감각을 통해 접촉한다. 인간 인식은 지성만의 작동을 통해 지식을 획득하는 것이 아니라 감각과 지성의 상호 작용을 통해 획득된다. 이것을 그는 모든 존재자는 실제적 존재자 양태를 따르며 인간 존재자가 몸과 영혼으로 구성되었다는 것에 근거하여 논의한다. 지식의 출발점은 감각작용이며 이 작용을 통해 내용도 획득된다. 인간의 지성이 담지하고 있는 것은 이미 감각에 있다는 말이다. 그러나 감각에 있지 않은 것이 지성에 있기 때문에 토마스 아퀴나스는 이것을 능동이성(지성)이 수행하는 추상작용을 통해 설명한다. 능동이성은 감각상에서 지성적 부분(가지상, 지성상)을 추상하여 수동이성(지성)에 각인시키고 표현하고 개념화한다. 지성은 감각에 있지 않았던 개념들을 만들어 내어 다시 존재자들에게 복귀시킨다. 이러한 복귀적 행위가 개별 존재자의 판단작용이다. 필자는 이러한 과정을 토마스 아퀴나스 자신의 인식론적 견해에 대한 세밀한 독해를 통해 우리의 지각에 함께 작동하는 지성과 감각에 비추어 탐구함으로써 드러낼 것이다. 이를 통해 필자는 토마스 아퀴나스가 유명론과 극단적 실재론간의 중간에 위치한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In this paper I will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ur intellect and sensation through Thomas Aquinas's thoughts. Since Plato, Western philosophy has primarily focused more on intellect than sensation, which has been regarded as being inferior to intellect. Thomas Aquinas criticizes Platonism because human beings can’t understand Form without matter. Unlike Plato, Thomas Aquinas begins his epistemology based on the fact that all knowledge arises from sensation, like Aristotle or the empiricists. Even though knowledge originates from sensation, he asserts the priority of intellect. Through Thomas Aquinas we will discuss the proper relationship between intellect and sensation, just as Kant synthesizes Continental rationalism and British empiricism, though he emphasizes some preeminence in intellect. By examining relation between intellect and sensation we will discover that he holds the two aspects of Realism and Nominalism. This is the purpose of this paper. I will expose this process by examining especially the light of intellect and sensation that work together in our perception through a detailed reading on Thomas Aquinas's own epistemological view. According to Thomas Aquinas, being is made up of essence and esse. For him the first principles of knowledge of human beings is the operation of sensation. Namely, all knowledge begins with sensation. Furthermore, its contents are acquired through it. He illustrates this through the operation of sensation and that of intellect. This assertion is basically based on the insight that each thing follows its mode of existence in the mode of action, and that human beings are intrinsically composed of body and soul. The proposition that both all knowledge and their contents arise from sensation is that human intellect has already been included in sensation. But that which is not within sensation is within intellect. Thomas Aquinas explains this through the operation of abstraction of agent intellect. Agent intellect can abstract intelligible species into sense species, carving in possible intellect. Then it is confirmed by the agent intellect and expressed in intellect species. That is the concept. The agent intellect gives back it to beings. This action of giving back is the operation of judgement. Through these processes I try to assert that Thomas Aquinas stands midway between extreme Realism and Nominalism.

      • KCI등재후보

        탈주체적 인간 현존재의 본래적 자기성

        김완종 ( Wan Jong Kim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5 기독교철학 Vol.20 No.-

        필자는 본 글에서 하이데거가 인간을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지를 고찰할것이다. 이를 위해서 그가 말하고 있는 현존재(Dasein)이 사르트르처럼 인간만을 의미하지 않고 전체 존재자의 있음과 인간의 거기-있음(Dasein)이란 이중의 의미가 있다는 것을 전제하고 그런 후 필자는 인간의 거기-있음이라는 것에 초점을 두고 인간의 거기-있음(인간 현존재)이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탐구한다. 이런 인간의 거기-있음이 인간 현존재의 본래적 자기라는 것을 고찰할 것이다. 하이데거가 말하는 현존재의 본래적 자기성(Selbstheit) 또는 인간 현존재의 본질인 거기-있음이 어떻게 전통적인 자기동일성(Selbigkeit) 개념, 즉 고대와 중세,그리고 근대 개념 특히 근대와 다른지를 살펴보고 하이데거가 말하고 있는 현존재의 본래적 자기성 개념임을 확립해 볼 것이다. 하이데거는 SZ에서 현존재를 분석한다. 하이데거는 인간을 현존재로 정의한다. 인간을 주체로 사용하는 것을 의도적으로 피하며 해체하고 있지만 거기-있음으로 정의되는 근원적 주체성은 여전히 그의 기초존재론에서 보존되어있다. 그래서 현존재의 본래적 자기성(Selbstheit)은 그가 근대적 의미의 주체적 자아를 수용한 것처럼 보이게 한다. 하이데거는 근대적 의미의 주체적 자아를 답습하고 있는 것인가? 그는 근대에서 말하는 주체로서의 자아를 반대하며 비판한다. 그렇다면 하이데거가 말하고 있는 현존재의 자기성과 근대적인 주체적 자아는 어떻게 다른가? 서양 전통 형이상학은 인간의 자기성을 실체와 의식, 정신, 영혼, 그리고 이성으로 간주하였다.특히 근대에서는 인간의 자기성을 실체, 자기의식(Selbstbewußtsein),이성, 사유하는 자아로 규정하는 주체의 주관성(Subjektivit t)에 토대를두었다. 주체의 주관성의 본질은 다름 아닌 세계와 분리되어 모든것을 대상화하는 표상작용(Vorstellen)이며, 이 표상작용이나 행위는존재자들을 주체 앞에로 강제로 이끌어와 그것들을 자기에게 관련시키어종속시키거나 공격하고 무제한적으로 지배하는 대상화(meisterndeVer-gegen-standlichung), 다시 말하면 주체의 자기-대상화(selfobjectivization)이다. 이런 점에서 근대적 자아는 자기정립적 활동 속으로 다른 모든 것을 환원시키는 내면적 표상화로 압축된 고립된 자아(isolatedego)이다. 그러나 하이데거의 인간의 현존재의 본래적 자기성은 거기-있음이다. 거기는 인간 현존재의 존재가능(Seinkonnen)이 밝혀지는 존재의 자리이다. 이런 존재가능은 한 번 그 능력을 현실화하면 더 이상 그 실현하는 능력(Aktualisierung)이 소멸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것이 성취(Vollzug)를 향해 고군분투하면 할수록 더욱 풍성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성취의 끝은 고정될 수 없는 더 큰 가능성을 위한 인간 현존재의 고유한 존재가능이다. 그래서 하이데거에게 인간 현존재의 본래적 자기성의 본질은 현실성을 의미하는 existenia와는 다른실존(Existenz)이며 이런 인간 현존재의 본질인 실존은 기분(Stimmung)을 통해 탈은폐된다. 거기-있음은 고착되고 고정된 상태가 아니라 끊임없이 계속해서 있음의 가능성, 존재가능(Seinkonnen)으로 나아간다. 탈자적자기(ecstatic self)이다. 이런 자기가 본래적 자기이며 근대적 주체적자아인 무세계적 자아(worldless ego)와 고립된 자아, 그리고 사유하는 실체와는 대조적으로 수동적이고 규정되지 않은 역동적이고 활동적인 존재가능성으로서의 단독적 자기(solus ipse)이다. In this study I will demonstrate how Heidegger determines human being as the There-Being. For this I presuppose that There- Being(Da-sein) which Heidegger said does not mean human being only like Sartre, but both Being as a whole and human Dasein as There-Being, and then I``d like to investigate what human being``s There-Being means on the basis of human Dasein as There-Being. This human``s There-Being is the authentic self of human Dasein. Establishing how the authentic selfhood(Selbstheit) of human Dasein or the nature of human being as There-Being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selfsamness(Selbigkeit), namely ancient, medieval, modern times, especially modern notion, I will reestablish the notion of the authentic selfhood of human Dasein which Heidegger said. Heidegger analyzes Dasein in fundamental ontology of Sein und Zeit and defines human being as Dasein. He precludes defining human being as subject and destroys it but he still preserves a primordial subjectivity which is defined as There-Being in fundamental ontology. So the concept of the authentic selfhood of Dasein makes us appear to accept the modern self as subject. Does Heidegger``s the authentic self of Dasein return to the subjective self of traditional metaphysics? How does Heidegger``s the authentic self of Dasein distinguish from traditional metaphysics, especially subjectivity of modern self? Heidegger used traditional terms of metaphysics and was in its thought-frame. But certainly he departs from them. According to traditional metaphysics, especially modern times human self is defined as res cogitans, subject, self-consciousness(selbstbewu tsein), rational animal, and so on. In other words, the human selfhood is based on subject of subjectivity(Subjektivit t). For this reason, at the peak of modern times beings(Seiende)is not present, but is represented, objectified in representation(Vorstellen). The nature of the subject of subjectivity is related to its representations, which is separated from the world. These representations, setting-before, is a making everything stand over and against as object(Ver-gegen-st ndlichung) which masters and proceeds against, that is self-objectivization of subject. For this reason the modern self is isolated ego which encapsulated in its immanent representations by reducing every other thing to itself in the self-posting activity. But Heidegger``s the authentic selfhood of human Dasein is There-Being. There(Da) is Being``s openning(Lichtung) which reveals potentiality-for-Being(Seinkonnen) of human Dasein. This potentiality-for-Being doses not mean that once it actualizes its competence it does not annihilate actualizing power(Aktualisierung), but it becomes richer and richer as it strives towards its fulfillment(Vollzug). The end of fulfillment is potentiality-for-Being of human Dasein for greater possibility which can not be fixed. So For Heidegger the nature of the authentic selfhood of human Dasein is not existentia which means actuality but Existenz, which is unconcealed through mood(Stimmung). There-Being can not be fixed, static but it proceeds continually toward potentiality-for- Being. It is called ecstatic self. This self is the authentic self, that is the solipsistic self(solus ipse) which is passive, dynamic, and active compared with worldless ego or isolated ego which is the modern subject-self.

      • KCI등재

        흰쥐 정자형성과정에 미치는 Di - ( 2 - ethylhexyl ) phthalate 의 영향

        김완종(Wan Jong Kim),길영천(Young Chun Kil),이종화(Jong Hwa Lee),신길상(Kil Sang Shin) 한국환경생물학회 1999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17 No.3

        Di-(2-ethylhexyl) phthalate (DEHP) is a plasticizer known as one of endocrine disruptors.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lterations of function and ultrastructure in rat testes after oral intubation of DEHP in dosages of 1g/㎏/day, 2 g/㎏/day or 3 g/㎏/day in 0.5 ㎖ of corn oil for 15 days. DEHP reduced the growth of body and testes, inhibited spermatogenesis and induced structural changes on various cell types of the rat testis. Leydig cells, Sertoli cells and the developing germ cells seemed to be impaired their differentiations in terms of the structural changes of cell organelles. The increase of heterochromatin in amount were common features in all 3 cell types. In addition, the Leydig cells were characterized by the swelling of smooth endoplasmic reticulum and perinuclear space, the increases in number and size of lysosomes. The Sertoli cells became irregular in nuclear envelope and the number of lysosomes and vacuoles seemed to be increased. There were some indications of necrosis of the germ cells, such as vacuolized nucleus and segregated nucleolus. And also, DEHP lowered the level of testosterone in experimental rat serum. DEHP suppressed spermatogenesis decreasing developing germ cells and these effects of DEHP on the rat testis were dose depenent. The detrimental effect of DEHP on spermatogenesis and ultrastructure of rat testes seems to be derived from the decreased level of testosterone by Leydig cells, followed by the abnomalities of Sertoli cells and the germ cells. [DEHP, testis, ultrastructure, spermatogenesis].

      • 저자 순위를 이용한 개인별 연구 성과 지수 산출에 관한 연구

        김완종(Kim wan-jong),노경란(Noh kyung-ran),서진이(Seo jinny),이혜진(Lee hye-jin) 한국콘텐츠학회 2007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5 No.2_1

        연구자 개인의 연구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연구는 2005년 Hirsch가 h-지수(index)를 제안하면서 이와 관련된 후속 논의가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h-지수를 변형시킨 g-지수도 각광을 받고 있다. 하지만 이들 지수의 경우 연구에 기여한 비율에 상관없이 해당 논문의 인용 빈도만을 고려하여 지수가 정해진다는데 그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두 가지 지수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각 지수에 저자의 기여도를 접목시킨 K-지수를 제안하고자 한다. There are many measuring tools to evaluate individual's scientific productivity using scientific articles based on bibliometrics. Especially succeeding discussions are accomplished at an trial for individual's scientific productivity after Hirsch's 2005 proposal using h-index. And there are many succeeding discussions and applications to evaluate journals, articles and qualitative level of researchers using h-index, g-index. But these indices have a same indices without regard to first author or other co-author if a article has a same number of citations. This research aims to propose K-index integrated between these indices and author rank.

      • KCI등재후보

        이성은 구속이 필요한가?

        김완종 ( Wan Jong Kim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6 기독교철학 Vol.22 No.-

        신자나 불신자 모두 마치 감정을 가지고 있듯이 이성을 가지고 있다. 신자와 불신자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외적으로는 공예배 참석하는 것, 주기도 문과 사도신경을 언표 하는 것 등이며 내적으로는 기독교 주요 교리에 대한 내면적 확신이나 인간의 정신적 기능이다. 필자는 후자의 측면에서 신자와 불신자 간의 차이점을 본 논문에서 고찰해보려고 한다. 오늘날은 물리주의나 환원주의로 인해 일반적으로 말하는 인간의 몸과 정신의 관계에서 심적 활동보다는 물리적 활동에 무게를 두는 상황이다. 그러나 필자는 마음속에 영혼이 활동하며 이 영혼의 기능이 이성이나 지성, 의지, 감성을 포함하여 작용하고 있지만 이성 혹은 지성의 측면에서 신의식(sensus divinitatis)을 중생한 이성(regenerated reason)1)과 연결하여 고찰해 보려고 한다. 이를 위해 성경 본문 주해를 근거로 하기보다는 철학적 사유를 토대로 본 논문을 펼쳐나갈 것이다. 먼저 필자는 철학적 지평에서의 신의식을 살피고 그다음에 종교적 지평에서 신의식을 살핀 후 믿는 사람이나 안 믿는 사람에게 이 이성의 자리에 공통적인 신에 대한 의식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고찰할 것이다3) 신의식에 의해 산출되는 믿음은 적절하게 인지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 기초성을 지닐 수있으며 더 나아가 기독교 믿음도 적절하게 작동하는 인지 기능들에 의해서 나오기 때문에 정당화되고 보증될 수 있다는 점을 앨빈 플랜팅가의 논증을 따라 고찰해 볼 것이다. 그러나 적절한 기능을 할 수 있는 신의식은 코넬리우스 밴틸의 입장을 토대로 중생자와 중생하지 않은 사람, 즉 중생자와 자연인 모두는 죄의 인지적 영향하에 놓여 있지만 중생자는 회복된 이성을 소유하고 있으며 자연인은 여전히 죄의 전적인 인지적 영향들로 인해 그 둘사이에서는 원칙적으로 차이가 있다는 것을 드러내 볼 것이다. The Christians and the non-Christians all have emotion just as they do reason. What difference do they have?: the Christian attending worship, reciting the Lord``s Prayer, the Apostles`` Creed externally, believing in christian doctrines, spiritual functions transformed internally and so on, the non-Christian not doing them. In this paper I will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hristian and the non-Christian in terms of spiritual functions. Today mind-body relation in general tends to try to emphasize more physical activities than mental activities because of the tendency of physicalism and reductionism. But I will consider sensus divinitatis (which I intend to relate the regenerated reason) that soul worked in heart, which encompasses reason or mind, will, emotion, functions in light of reason or mind. For this I will unfold this paper based on philosophical thought not on biblical exegesis. First of all, I think sensus divinitatis in philosophical level and then I think sensus divinitatis in religious level, through which I reveal that both the Christian and the non-Christian have sensus divinitatis in reason in common. According to Alvin Plantinga``s light I will consider that theistic belief as produced by the sensus divinitatis is basicality, which is also properly basic with respect to warrant, and furthermore the belief is justified because it comes from cognitive faculty which functions properly. But I assert that sensus divinitatis, which can function properly, makes difference between the regenerate consciousness (regenerate men) and the non-regenerate consciousness (natural man) in the light of Cornelius Van Til``s view. In other words both regenerate menn and natural men rest on noetic effects sin but they is very different because of difference between restored regenerate men and unregenerate 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