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콘텐츠로서 문학관의 스토리텔링에 대한 제언 작가 - 박경리와 작품 『토지』가 기념되는 방식을 중심으로

        김예니(Kim, Yae-ni) 돈암어문학회 2020 돈암어문학 Vol.38 No.-

        의례적인 기념을 넘어 진정 문인과 그의 업적을 기념하려면 특정 문인에 대한 우상화 작업을 멈추고 로컬리티만을 강조하던 과거의 스토리텔링으로부터 한 발 더 나갈 필요가 있다. 이는 지금 현재 건설된 문학관들의 공간스토리텔링이 좀 더 문학을 중심으로 새롭게 논의될 필요가 제기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논의를 위해 한 작가, 한 작품이 여러 곳에서 기념되고 있는 박경리와 소설 『토지』의 문학관 스토리텔링을 분석하도록 하겠다. 원주의 박경리문학공원의 ‘문학의 집’은 소설 『토지』의 스토리텔링을 기획함에 있어 선별과 압축, 그리고 비유적 이미지화를 통해 긴 장편 소설을 효과적으로 이용자에게 전달하고 전시 스토리텔링 특유의 미적 체험을 제공하는데 성공적인 성과를 보여준다. 하지만 작가의 생애나 유품들을 전시하는 공간의 스토리텔링을 보면 많은 자료를 나열하여 보여주는 것에 멈추고 있어 이용자들이 이 자료를 통해 작가와 작품에 대한 흥미를 자극받기 어렵다. 하동의 박경리 문학관 역시 다양한 자료를 가지고 있고, 그 중 하동만이 가지고 있는 의미있는 자료들도 다수 가지고 있지만 이를 통시적으로 당대 역사적 상황, 조건과 함께 설명하지 못하면서 많은 자료의 보관과 전시에 머문 점이 아쉽다. 하동의 경우, 박물관을 둘러싼 환경, 특히 드라마 〈토지〉의 촬영지를 품고 있고 실제 작품의 배경이 되는 전경을 가지고 있어 문학관 외적 환경이 보여주는 공간 스토리텔링의 장점을 더욱 적극적으로 잘 살릴 필요가 제기된다. 마지막으로 통영의 박경리 기념관의 경우, 어느 문학관보다 ‘통영’이라는 주제를 부각시키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 문학관으로서 다른 문학관과의 차별점은 박경리의 대표작인 『토지』외에 다른 작품들에 대한 소개와 전시가 많이 이뤄지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소설 『김약국의 딸들』에 대한 비중이 높은데 이는 ‘통영’이라는 장소성을 강조하려는 의도가 강하게 드러나면서 전체적인 전시 스토리텔링의 집중력이 흐트러진 결과를 낳았다. 오히려 테마를 ‘작가와 통영’과 같은 주제로 설정한다면 더욱 효과적인 공간 스토리텔링을 연출할 수 있을 것이다. ‘무엇을 기념할 것인가’라는 질문은 ‘작가와 작품에 대한 무엇을 이용자들에게 전달하려 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다름 아니며 기획자는 이에 대한 대답을 중심으로 이 대답을 어떻게 이용자에게 전달할 것인가에 대한 전문적 소양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그래서 큐레이터가 필요하고, ‘테마’가 있어야 하고 상설전시와 기획전시가 나뉘는 방식으로 보다 유연하게 공간스토리텔링을 기획할 수 있어야 한다. For real celebrating the writer and achievements beyond perfunctory commemoration, it is necessary to stop idolizing certain writers and take a step further from the storytelling of the past, which only emphasized locality. That is why the spatial storytelling of existed literary houses needs to be discussed, focusing on the literature. Because of that reason, I analyze Park Kyung-ri and her novel ‘Toji’ literary house storytelling that is being celebrated in several places. ‘The House of Literature’ in Wonju’s Park Kyung-ri Literature Park shows successful achievements effectively in delivering a long novel to users by figurative visualization, selections, and summarization in planning the storytelling of the novel ‘Toji,’ and providing unique esthetics experience of exhibition storytelling. However, it is difficult for users to stimulate interest in the writer and her works because the spatial storytelling to exhibit the writers life and keepsake ends up listing materials. Park Kyung-ri Literature House in Hadong has a variety and meaningful materials that only Hadong can have. However, it also has a problem to limit its effects because it has not explained the meaningful materials in general along with historical circumstances and conditions of the time. In the case of Hadong, it has the best condition for the spatial storytelling shown by the literature house’s external environment due to having the actual background of the novel ‘Toji,’ and the filming location of the drama ‘Toji.’ Lastly, in the case of Tongyeong’s Park Kyung-ri Memorial Hall, the difference from other literary houses is to introduce and exhibit Park Kyung-ri’s other works, including her representative work ‘Toji,’ because of aiming to highlight Tongyeong rather than other literary houses.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Daughters of Kim Yak-guk” becomes increasing for emphasizing the spatial storytelling of Tongyeong, and it causes the overall exhibition storytelling has become protruding and awkward. In my opinion, if the theme is limited to writers and Tongyeong, it could show a more effective spatial storytelling. What the literary house celebrates is the same as what it tells users about the writer and works. The planner should have professional knowledge of delivering the responses to users by focusing on the answers to those questions. That is why it needs a curator, has to have the theme, and directs the spatial storytelling flexibly by dividing permanent exhibition and special exhibition.

      • KCI등재

        박경리 초기 연애소설 속 여성 인물의 변화 양상 - 『애가』, 『성녀와 마녀』를 중심으로 -

        김예니 ( Kim Yae-ni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1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70

        이 연구는 박경리가 1960년대까지 쓴 엄청난 양의 연애소설을 본격적인 연구의 대상으로 삼기 위한 선행연구가 될 것이다. 초기 연애소설이라 할 수 있는 『애가』, 『성녀와 마녀』를 중심으로 연애서사에서 여성의 모습이 구현되는 방식이 50년대 단편소설과 어떻게 달라졌고, 일반 멜로드라마 공식과 어떻게 다른지 분석함으로써 박경리의 여성 인물의 변화 양상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는 박경리가 쓴 신문/잡지 연재소설, 특히 연애소설이 갖는 특징과 여성을 향한 이중잣대에 관한 문제의식, 그리고 개성 있는 여성 인물을 통한 서사적 모색의 과정을 살펴보는 연구라 할 수 있다. 박경리의 연애소설은 멜로드라마적인 공식을 따르는 듯 보이지만 연애소설의 특징으로부터 벗어난 지점들이 있다. 우선, 결혼을 전제한 사랑, 가정 내의 사랑이라는 행복한 결말이 없다. 그리고 박경리가 창조한 여성 인물들은 사랑의 실패 이후에도 후회하거나 용서를 구하지 않는다. 박경리는 오히려 사랑이 결혼이란 제도 내에 국한될 수 없음을 역설한다. 그 중 특히, 박경리 소설에서 문제 삼고 있는 것은 여성에 대한 사회의 이중잣대의 문제다. 50년대 단편소설에 주로 등장하던 결벽증적 성격의 여성 인물 대신 ‘성녀’와 ‘창녀’로 유형화할 수 있는 여성 인물들을 전략적으로 제시하면서 작가는 이 여성에 대한 관념적 사고가 얼마나 여성 억압적이며 모순적인지 비판한다. 『애가』, 『성녀와 마녀』, 두 작품 모두 일방적인 마녀에 대한 징벌, 성녀의 사랑성취라는 공식에서 벗어난다. 두 작품 모두 ‘마녀’의 이미지인 여성들이 어떻게 자신의 사랑에 대한 순결을 지켰고, ‘성녀’의 이미지인 여성들이 어떻게 가정을 지키지 못하며 사랑에 실패하는지 보여주면서 연애소설의 기존 공식을 흔든다. 더불어 여성에 대한 사회적 관념에서 벗어나지 못해 과장된 비극적 정서 속에 가학적인 방황을 일삼는 남성 인물들과 여성을 향한 이중잣대라는 억압적 상황에서 그 고통을 감당하는 여성 인물은 대조를 이룬다. 결국, 박경리는 사랑의 고통에 따른 존재론적 고독을 감당해야 한다는 낭만성을 통해 진정한 정조와 순결에 대해 반문하며 진정한 사랑의 결합을 방해하는 사회적 관념,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를 비판한다. 박경리의 초기 연애소설의 여성 인물이 이전 시기와 어떻게 달라졌는지 살펴봄으로써 이후, 박경리가 사회적 억압에 타협하지 않으며 자신의 존재론적 고독을 감당하는 강한 여인상을 다양한 방법으로 발전시켜나갈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여성을 향한 이중잣대에 대한 문제의식과 여성 인물의 변화는 이후 60년대 수많은 장편소설에서 다양한 변주와 실험을 통해 발전적으로 이어지는데 이는 이후의 과제로 남겨 놓겠다. This study will be the precedent research for Park Kyung-Ri's many romantic novels in earnest. It investigates how the writer considers the woman's image and reflects her thoughts through the method to realize the woman in her description of love. Park Kyung-Ri's romantic novel seems to follow a melodramatic formula, but those are beside points of the romantic novel's characteristics. First of all, there is no happy ending, such as love in family or love for a wedding. Her female characters, whom Park Kyung-Ri creates, do not seek forgiveness or regret after a love failure. Of course, it does not mean the possibility of new values about love immediately. However, this point is the reason why a reader interprets the meanings of her romantic novels carefully. 'Saintess and Witch' and 'Love Song' emphasize the innocence of love, such as existing romantic novels, and ask to connect between the innocence of love and personal physical innocence. Existing romantic novels assume that the effort of love is a happy marriage, but Park Kyung-Ri's romantic novels show that real love does not belong to the marriage system. Moreover, she stresses the love is not limited by the marriage system. The problem she says in her novels is the double standards of the woman in society. A woman's sexuality is divided as a procreation function and a pleasure function, and those two functions stand against each other. 'Saintess' and 'prostitute' are two types of female repression, and both are nothing but an otherizing. Since Park Kyung-Ri shows how to consume and exploit the woman's image through two conflicted female characters in her novels, it has a role to criticize the double standards about the woman in society. Two female characters in 'Saintess and Witch' and 'Love Song' are embodied as conflicted images through a tri-angle relationship by male characters, but both novels are beside a formula of saintess' successful love and punishment witch. They deny the existing formula by showing how witch characters keep their innocence of love and how saintess characters fail to save their family and love. Park Kyung-Ri's romantic novels mainly ask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the meaning of the union of love between man and woman is, what the real love is, and what innocence is. Those questions can introspect the double standards and marriage system critically, disclose how women were suppressed at that time, and offer a motive to consider what the moral and free union of love is.

      • KCI등재후보

        1990년대 여성 섹슈얼리티 재현의 문제: 장선우의 <너에게 나를 보낸다>를 중심으로

        김예니 ( Kim¸ Yae Ni ) 현대영상문화연구소 2021 반영과 재현 Vol.2 No.-

        1990년대라는 ‘시대’의 지배적 심상과 감각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가로 장정일을 꼽을 수 있는데 그의 작품을 영화화한 장선우의 영화 중 <너에게 나를 보낸다>를 중심으로 장선우가 왜 장정일 작품을 영화화했는지 살펴보면서 특히, 장선우가 영화로 재현하고 있는 여성의 섹슈얼리티의 문제를 중심으로 논의하려 한다. 그전에 살펴볼 것은 1990년대의 상황이다. 1980년대 에로 영화가 있었다면 1990년대에는 에로비디오를 중심으로 에로티시즘이 형상화되었는데, 2000년대부터는 인터넷의 보급으로 많은 영상들이 디지털화 되면서 에로티시즘을 재현하는 극영화의 양상이 많은 변화를 보였다. 이런 변화의 과정에서 영화 <너에게 나를 보낸다>는 장선우의 1990년대 작품 중 1990년대 섹슈얼리티가 재현되는 양상을 가장 잘 보여주는 영화라 할 수 있다. 장선우는 원작을 기반으로 <너에게 나를 보낸다>를 기획하면서 ‘가벼운 포르노그라피’를 표방했다. 장정일에게나 장선우에게나 남성 인물의 ‘찌질함’이 중요한데, 이들은 사회적으로 실패했으며 성적으로 ‘불능’인 남성들이다. 그들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중요한 생산성이라는 덕목을 갖추지 못한 사람으로 경제적인 생산성도, 사회적 생산성도, 성적 생산성도 없는 인물들이다. 특히, 남성 주인공인 <작가>와 그의 친구 <은행원>은 작품 생산성과 성적 기능의 상관관계를 보여준다. <작가>는 현대 사회에서 꿈꾸기를 포기하고 현재의 질서를 받아들이는 것으로 자신의 생산성을 포기하는 모습을 보인다. 적극적으로 사회 안으로 편입하기 보단 권력되기를 포기함으로써 현대사회의 부정성을 드러낸다. 다음으로 장선우는 기존 에로 영화와 다르지 않게 여성의 육체를 재현하는데, <너에게 나를 보낸다>의 특징이라고 한다면 정사 시퀀스에서 배경음악이나 특별한 소품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에로티시즘을 구현할 때 ‘날 것’의 느낌을 준다. 특히, <바지 입은 여자>의 엉덩이가 강조되는데 이는 여성의 존재를 지우고 ‘엉덩이’로 페티쉬즘이 강화되면서 여성 육체에 대한 물화현상이 강화되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이다. 이 영화에서 여성 인물은 여성의 섹슈얼리티, 여성의 성욕, 여성의 욕망을 드러내지 못한 채 남성 인물들의 욕망이 투사되는 대상이 된다. 이는 장선우 감독이 이후, 전위성을 잃는 원인이 된다. Jeong-il Jang can be cited as a representative writer who shows the dominant image and sense of the ‘era’ of the 1990s. This study examines why Sun-woo Jang made Jung-il Jang’s work into a film, focusing on Jang Sun-woo’s < Sending Me to You >, and discusses, in particular, the issue of women’s sexuality that Jang Sun-woo represents as a movie.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situation in the 1990s. There was an erotic film in the 1980s, and eroticism embodied erotic videos in the 1990s. Since the 2000s, the pattern of film dramas representing eroticism changed as videos were digitized because of the spread of the Internet. In the process of this change, the movie < Sending Me to You > is one of the best movies to show the representation of sexuality in the 1990s among Jang Sun-woo’s works in the 1990s. Sun-woo Jang advocated “light pornography” while planning < Sending Me to You > based on the original novel. The nerd things of male characters are essential for both Jang Jung-il and Jang Sun-woo, and these male characters have failed socially and are sexually impotence. They do not have the virtue of productivity, an important factor in a capitalist society, and are described as not having economic, social, and sexual productivity. In particular, the male protagonist “Writer” and his friend “Banker” show the correlation between work productivity and sexual function. < Writer > presents who gives up dreams in modern society and his productivity by accepting the current public orders. It reveals the negativity of modern society by giving up a social authority rather than actively incorporating them into society. Next, Sun-woo Jang represents a woman’s body, not different from the existing erotic film. The characteristic of < Sending Me to You >, however, he gives the feeling of “raw” when implementing eroticism by not using background music or special props in the sex sequence. materialization of a woman’s body is strengthened because he emphasizes the buttocks of “Women in Pants” by erasing the presence of women and strengthening the fetishism with “butts.” In this film, female characters become the objects that reflect male characters’ desires without revealing women’s sexuality, women’s sexual desire, and women’s desires. It causes the director Sun-woo Jang to lose his avant-garde characteristic.

      • KCI등재후보

        즐례 : 골수형성이상증후군에 속발한 비전형 소견의 폐포단백증 1예

        김재영 ( Jae Young Kim ),김석찬 ( Seok Chan Kim ),강지영 ( Ji Young Kang ),이혜연 ( Hea Yon Lee ),김유진 ( Yoo Jin Kim ),김예니 ( Yae Ni Kim ),한지원 ( Ji Won Han ) 대한내과학회 2014 대한내과학회지 Vol.86 No.1

        Pulmonary alveolar proteinosis (PAP) is a rare disease characterized by the accumulation of lipoproteinaceous material in the distal air spaces. Secondary forms of PAP are caused by underlying diseases, in particular tumorous conditions, the most common of which are hematologic malignancies, such as chronic myeloid leukemia and myelodysplastic syndrome (MDS). We herein describe a case of atypical manifestation of PAP caused by MDS, which initially mimicked military tuberculosis with severe thrombocytopenia because of radiologic features showing necrotic mediastinal lymphadenopathies and diffuse bronchiolitis. A 46-year-old male visited the hospital complaining of coughing and general weakness and was presumptively diagnosed with military tuberculosis combined with MDS. He was treated with antituberculous medication, but the lung lesions did not improve and dyspnea only progressed. Finally, he underwent lung biopsy and was diagnosed with atypical pattern of PAP associated with MDS. (Korean J Med 2014;86:74-7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