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연가와 라캉의 ‘상징계’

        김영희 한국T.S.엘리엇학회 2016 T.S. 엘리엇 연구 Vol.26 No.3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연가에서 화자 프루프록은 상징계의 주체이자 욕망의 결핍을 느끼는 현대인의 전형, 탈주를 꿈꾸는 자이다. 그는 타인/대타자의 욕망에 의해 소외되어 있는 한, 진정한 자신, 진정한 주체로 태어나지 못했을 것이다. 주체가 상징계에 들어갈 때 존재는 타자적 이미지와 언어에 의해 소외된다. 그리고 주체탄생이란 소외를 댓가로 지불하여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미켈란젤로, 여인, 인어는 프루프록의 주체에 대응되는 대타자로서 시니피앙의 연쇄를 일으키는 원인이다. 엘리엇은 억압된 인간의 욕망이 끊임없이 무의식의 구멍/환상으로 출몰하여 미끄러지는 상징계의 전형적인 구조를 보여준다. 이때 되돌아오는 것은 대상 a와 실재계로서, 이들은 환상적 형태로 상징계에 침투하였다.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연가는 값싼 식당과 호텔, 여인들의 방, 바닷가, 바다 소녀의 방의 배경을 따라, 노란 안개, 향기, 베개, 복숭아, 인어의 노래 등으로 재현되는 대상 a등을 소개한다. 무엇보다도 이 시는 시적화자/주체가 대상 a를 통하여 상징계의 틈을 발견하고, 자신의 쾌락을 추구하여, 시니피앙에 의하여 자신을 역설적으로 드러내는 언술행위의 주체/진정한 주체의 해방을 이루는 상징계의 연쇄작용을 효율적으로 제안하고 있다.

      • KCI등재

        Hyper-Constitutionalization of Civil Cases in Korea : Focusing on Property Law Cases

        김영희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5 法學論集 Vol.19 No.4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is the specialized highest court which has overall authority for constitutional issues. The supreme court of Korea as the general highest court also plays certain role in reviewing the constitutionality of laws and lower laws. This dual constitutionality review system has caused severe conflicts between the two highest courts, and brought considerable legal instability in Korea. Indeed, the hyper-constitutionalization phenomenon is an example of the abusing constitutional lawsuits by people under favor of the conflicts. As a solution, the author suggests the merger of the supreme court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into one big multi-supreme court. 한국 헌법에 따르면 헌법소송의 주된 관할은 헌법재판소에 있다. 하지만 대법원과 대법원의 지휘를 받는 일반 하급법원도 헌법적 근거 아래 헌법소송의 일부를 담당하고 있다. 아마도 협동과 조화와 효율을 의도하였을 이원적 헌법소송 체계는 그러나 현실에서 대법원과 헌법재판소 사이의 극심한 갈등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 글은 그 갈등의 구체적인 모습 중에 민사사건의 적절하지 않은 헌법사건화 현상을 다루고 있다. 헌법재판소가 헌법사건으로서의 가치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민사사건에 대해 헌법소송을 허용하는 일이 일반소송과 헌법소송을 포함하여 국가의 사법체계 전반을 혼란하게 하는 부작용을 낳고 있는 것이다. 그와 같은 부작용에 대해 대법원은 일반사건과 헌법사건의 엄격한 관할 분리 및 대법원의 전통적 최고법원성을 강조하는 식으로 대응하고 있는데, 민사사건을 헌법사건화시키는 원인이 된 소송체계상 문제점들을 적극적으로 해결하지 않은 채 원칙 논리를 강조하는 것은 법리적인 면에서 설득력이 크지 않을 뿐만 아니라 문제해결 면에서도 효율적이지 않아 보인다. 이에 필자는 근본적인 해결책으로서 대법원과 헌법재판소의 통합 및 그에 수반한 분야별 전문화를 제안하려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기표현력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김영희,백욱현 한국발달장애학회 2006 발달장애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자기표현력과 사회성을 어느 정도 향상시키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프로그램을 투입받은 12명의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이며, 17명의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이 통제집단으로 참여하였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주1회 90분씩 총 12회에 걸쳐 투입되었다. 자기표현력과 사회성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를 사전, 사후검사로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는 반복측정 설계에 따른 사전-사후검사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실험집단의 자기표현력 및 사회성점수가 의의있게 향상되었고, 통제집단에서는 의의없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로한 실험집단에서의 점수 향상은 설정된 하위변인 모두에서 일관적인 현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선행연구와 일치되는 것으로 논의되었이며, 몇 가지 후속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이 제안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orm which Group Art Therapy(GAT) program have influences on the improvement of the self expression and sociality or not. For answering these questions, theories of GAT, self-expression, and sociality were investigated, and hypotheses were set up: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GAT program have significantly higher gain score than control group have. Self Expression Inventory and Sociality Inventory were used to measure the dependent variables. GAT program modified and adjusted for middle school students was used for the independent variable. The data were analysed through t test (repeated measurement) with SPSS/WIN 10.0. The results of these tests are as follows: First, GAT program have positive influences on the improvement of the self expression. Students who took part in the program used the various material and made a invention, so they had the feeling of achievement and self-confidence. This was why they had the better self-expression. In addition, students showed the improvement on subvariables of self-expression ― contents spoken, vocal, nonlanguage. Second, GAT program have positive influence on improvement of sociality. During group activities, students showed concern and regard to other students. They also asked help and agreement to their members. They respected and supported other members, too. The program of GAT program improve all the subvariables of sociality ― cooperation, law-abiding, sociality, and independence. In conclusion, GAT program have positive influences on the self-expression and socialities in middle school students.

      • KCI등재

        미국법상 계약위반에 관한 연구

        김영희 한국민사법학회 2015 民事法學 Vol.70 No.-

        There are considerable similarities between Korean contract law and U.S. contract law. By way of example, the both laws have a key concept of non-performance in their breach of contract systems. This situation helps lawyers of a country to understand the basics of the breach system of another country without elaborating. It is necessary, however, for the lawyers of both countries to pay special attention to so-called prima facie similarity. It means that a concept looks like similar at first glance but is different in detail. The concept of non-performance is a typical example. Korean contract law generally uses the concept of non-performance. By comparison, U.S. contract law uses the concept of breach, but it is quite frequently using the breach mixed with the non-performance. The classification of non-performance or breach can be a another typical example. Korean contract law puts emphasis on the classification of non-performance into the impracticability, the delay, and the 3rd type. U.S. contract law, by comparison, puts emphasis on the classification of breach into the material breach and the trivial breach. Those kind of seemingly minor differences are often enough lead to big differences both in legal theory and in legal practice. For example, U.S. contract law is frequently using the rule of condition in the case of non-performance, while Korean contract law is not. For another example, U.S. civil court generally gives the right of termination of contract to a injured by reason of material breach, while Korean civil court does not and does on a case by case basi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