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 적응 탄력성 척도에대한 타당성 분석

        김영한,최용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3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validity of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scale for special class teachers.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407 special class teachers in Seoul, Busan, Ulsan, Daegu, Kyungnam, Kyungbuk, and Chungnam.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urvey by the post-mail or e-mail. As wel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0.0 for WIN, AMOS 20.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nvergent validity was verified by correlation analysis with Resilience Scale for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Specialists and The Commitment to Teaching Questionnaire. Second, the discriminant validity was verified by comparing average variance extract and the square of correlation among the sub-factor. Finally, the cross validity was verified by the investigation of the measurement model and latent means about their educational career, grade of class. Thus, it was proven by cross validity that the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scale for special class teachers could be used regardless of their educational career and grade of class.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 적응 탄력성 척도(김영한, 최용재, 2013)에 대한 타당성을 분석하고자 척도에 대한 수렴타당성과 변별타당성을 검증하고 교육경력별, 학교급별 등으로 교차타당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부산, 울산, 대구, 경북, 경남, 충남 등의 특수학급 교사 40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우편과 e-mail를 통해 이뤄졌으며 수렴타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적응유연성 척도(김성훈, 이안수, 2011) 및 초중등교사 교직헌신척도(노종희, 2004)를 같이 적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0.0 for WIN, AMOS 20.0 등을 적용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 적응 탄력성 척도는 수렴타당성, 변별타당성, 교차타당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 적응 탄력성 척도는 그들의 교직 적응 탄력의 정도를 측정하고자 하는데 매우 타당성이 높은 도구라는 것이 입증되었다.

      • KCI등재

        특수학교 교사의 교직헌신 척도에 대한 타당성 분석

        김영한 한국특수교육학회 2013 특수교육학연구 Vol.48 No.2

        본 연구는 특수학교 교사의 교직헌신 척도(김영한, 2012)에 대한 타당성을 분석하고자 척도에 대한 수렴타당성과 변별타당성을 검증하고 교차타당성을 학교의 장애영역별, 교육경력별, 학교급별 등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광주, 부산, 대전, 인천, 충남, 충북, 경남 등의 국공립 및 사립 특수학교 교사 39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우편과 e-mail를 통해 이뤄졌으며 수렴타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초중등교사 교직헌신척도(노종희, 2004)와 적응유연성 척도(김성훈, 이안수, 2011)를 같이 적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0.0 for WIN, AMOS 20.0 등을 적용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특수학교 교사의 교직헌신 척도는 수렴타당성, 변별타당성, 교차타당성을 모두 확보할 있었다. 그러므로 특수학교 교사의 교직헌신 척도는 특수학교 교사의 교직헌신을 측정하고자 하는데 매우 타당성이 높은 도구라는 것을 입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has analyzed the validity of special school teacher commitment questionnaire.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398 teachers of 22 special schools in Seoul, Gyeonggi, Busan, Daejeon, Incheon, Chungnam, Chungbuk, and Gyeongnam.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urvey by the post & e-mail from February 2013 to April 2013.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0.0 for WIN, AMOS 20.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convergent validity was verified by correlation analysis with The Commitment to Teaching Questionnaire(Noh, 2004) and Resilience Scale for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Specialists(Kim & Lee, 2011). The discriminant validity was verified by comparing average variance extract and the square of correlation among the sub-factor. Last, the cross validity was verified by investigation of the measurement model and latent means about their disability categories of special schools, educational career, grade of class. So, it was proven by cross validity that the special school teacher commitment questionnaire can be used regardless of their disability categories of special schools, educational career, grade of class.

      • KCI등재

        산전 초음파 소견상 단독으로 관찰되는 대조 확장의 임상적 의의

        김영한,이창희,박용원,조재성,권혜경,강지용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12

        목적 : 산전 초음파상 단독으로 대조 확장 소견을 보이는 경우를 분석하여 그 임상적 의의를 알아보고 향후 처치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6년부터 1993년까지 4년간 본원에서 실시한 모든 산전 초음파 소견을 검토하였다. 다른 이상 소견을 동반하지 않고 단독으로 대조 확장 소견을 보이는 25예중 본원에서 산전 진찰이 계속적으로 가능하였고 분만하였던 15예를 대상으로 산전 초음파 소견과 산모와 신생아의 진료기록을 분석하였다. 결과 : 산모의 평균 연령은 29.2세, 진단 당시의 평균 제태 연령은 30주였다. 임신 제 이삼분기에 5예, 임신 제 삼삼분기에 10예가 진단되었는데 이 중 임신 32주 이전에 진단된 경우가 13예였다. 산전에 세포유전학 검사를 실시한 경우는 2예가 있었으며 결과는 정상이었다. 남아가 12명, 여아가 3명으로 남아의 빈도가 더 높았고 출생후 아프가점수는 모두 양호하였고 염색체의 이수배수체의 표현형을 나타내는 경우는 없었다. 추적관찰은 7예에서 가능하였는데 관찰기간동안 지연 발달이나 신경학적 이상소견을 보이는 예는 없었다. 결론 : 산전 초음파 검사상 확장된 대조의 소견이 있는 경우 정밀 초음파를 시행하여 다른 염색체이상의 소견이 있는 지를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며 저자들의 연구에서 알 수 있듯이 다른 이상 소견이 없는 경우에는 산전 세포유전학 검사나 출생후 신경학적 검사나 추적관찰이 특별히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Objective : To assess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isolated enlargement of the cisterna magna and to help obstetrician in further management. Methods : All prenatal sonography was reviewed, which was performed from 1996 to 1999. Prenatal sonographic findings and medical records of pregnant women and their babies were analyzed in 15 cases with regular antenatal care and delivery results at Severance hospital, out of 25 cases with isolated enlargement of the cisterna magna. Results : The mean maternal age was 29.2 years and the mean gestational weeks at diagnosis was 30 weeks. 5 cases were diagnosed during the 2nd trimester, 10 cases during the 3rd trimester. 13 cases were found before 32 gestational weeks. Prenatal cytogenetic study was made in 2 cases, of which results were normal. 12 fetuses were male and 3 female, showing male predominance. APGAR score after birth was good and phenotypic evidence of aneuploidy was not observed in all cases. Postnatal follow-up could be done in 7 cases, during which delayed development and neurological abnormality was not found. Conclusion : Our data demonstrate that it is important to assess other findings of chromosomal abnormality by performing detailed prenatal ultrasonography and that prenatal cytogenetic study and postnatal follow-up may be unnecessary in cases with isolated enlargement of the cisterna magna.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