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4차 산업혁명과 인도주의 위기 그리고 적십자 운동

        김영진(Kiem, Youngjin),성기환(Sung, Kiwhan),김용상(Kim, Yongsang) 한국방재학회 2019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9 No.7

        Uhrich Beck이 현대사회를 위험사회로 정의한 데서 볼 수 있듯이 제4차 산업혁명은 과학과 산업경제의 발전을 이끌고 있지만 그와 더불어 다양한 위험 요소를 갖는다. 그 위기들 가운데 가장 근본적인 것은 ‘인도주의의 위기’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우리는 묻는다. 제4차 산업혁명이 초래할 수 있는 인도주의 위기가 정확히 무엇일 수 있으며 그러한 위기에 우리는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이 문제에 답하기 위하여 우리는 역사적 관점에서 산업혁명과 인도주의의 관계를 살펴보고, 우리나라 인도주의의 발달을 적십자 운동의 틀에서 추적한다. 이를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이 가져 올 수 있는 인도주의 위기에 대하여 우리는 다음 세 대처 방안을 제시하고 옹호한다. 첫째, 인도주의 활동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하여 디지털 데이터 기반의 지수개발 및 플랫폼 구축의 필요하다. 둘째, 4차 산업혁명의 신기술을 재난현장에 적극 도입할 것과 사이버공간과 신기술분야에 국제인도법의 확장이 필요하다. 셋째, 디지털 시대에 부합하는 인도주의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하다. As we can see from Urich Beck s definition of modern society as a dangerous society, the Industrial Revolution, though it led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he industrial economy, has also created various crises. Among them, the most fundamental is the crisis of humanitarianism. In this regard we ask: What are the precise cris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how should we cope with them? With a view to answering these questions, we take a historical perspectiv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ustrial revolutions. Additionally, we explore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Red Cross. On the basis of our consideration of the crises at issue, we present and defend the following three suggestions: First, in order to advance the activities of humanitarianism, we require index development and platform-building based on digital data. Second, we need to apply new technologies to the activities of disaster management in order to facilitate an expansion of international law. Third, we need to create new education programs in accordance with the digital age.

      • KCI등재

        의식 연구에서 질적 접근법의 意義

        김영진(Youngjin Kiem) 한국현상학회 2013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56 No.-

        이 논문에서 필자는 의식 현상의 본질을 규명하고자 하는 과학적?철학적 탐구에서 이른바 질적 접근법이 갖는 난점과 의의를 밝힌다. 의식 연구에서 질적 접근법은 (i) 형이상학적 이원론의 위험에 쉽게 개입될 수 있고, 나아가 (ii) 그 결과물의 이론적 체계성과 완결성을 확보하는 데에 어려움을 가질 수 있다. 그럼에도 그 접근법은 ‘어떤 특정한 의식 체험의 전체 양상이 갖는 구체적이고 미세한 의미’를 적실하게 파악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의식에 대한 다른 양적 연구법과 달리 질적 접근법은 의식 체험의 세부적인 의미의 근거가 되는 그 체험의 심층적인 내적 지평과 외적 지평을 여러 방법을 통하여 규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의식 체험의 내적 지평을 규명하는 것은 인지 주체의 내면적인 배경과 역사를 밝혀내는 일이며, 그 외적 지평을 해명하는 것은 인지 주체가 속해 있는 특정한 물리적?생물학적?사회-문화적 환경의 중층 구조를 파악하는 것이다. 본 논의는 적어도 의식 연구와 관련하여 질적 연구와 철학 사이의 가교를 놓고 더 나아가 의식에 대한 다학제적 탐구의 이념과 방향을 설정하는데에 기여하고자 한다. In this paper the author uncovers the significance of qualitative approach in the scientific and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into the nature of conscious phenomena. In consciousness studies, qualitative approach can easily be committed to the danger of metaphysical dualism, and have some difficulty in securing the theoretical systematicity and completeness of its results. Nonetheless the approach can properly grasp the concrete, specific meanings of the whole aspects of a particular conscious experience. Because, unlike other quantitative approaches to consciousness, it can, by means of adopting various qualitative techniques, specify the deep internal and external horizons of a conscious experience which are considered to be the basis of finely grained meanings of such experience. Here the exposition of the internal horizon of a conscious experience means laying bare the inner background and history of a cognitive subject, whereas that of the external horizon of such experience indicates the recognitions of the multi-layered strata of the particular physical, biological, socio-cultual environments to which that subject belongs. This inquiry is intended to build a bridge between qualitative research and philosophy regarding consciousness studies, and attempts to make a contribution to highlighting the idea and direction of the multi-disciplinary research on consciousness.

      • KCI등재

        Representation and the Bedrock of Mind

        Youngjin Kiem(김영진) 한국현상학회 2015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66 No.-

        마음은 다양한 종류의 지향 상태로 이루어져있다. 그러한 지향 상태는 세계에 현존하는 또는 현존하지 않는 대상과 사태를 표상한다. 이와 관련하여 존 서얼, 후버트 드레이퍼스, 대니엘 후토와 같은 지향성 이론가들은, 그러한 지향적인 표상적 상태들이 홀로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그 지향 상태들을 가능하게 하는 마음의 ‘근본기반’이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그와 같은 근본기반은 때로 ‘배경’이라고 일컬어진다. 그것은 지향 상태를 작용하게 하는 기층적인 능력, 기술, 또는 조건을 가리킨다. 그들이 없으면 지향성은 존립할 수 없는 것이다. 우리는 마음이 기초하는 근본기반의 존재를 용인할 수 있다. 문제는 그것의 특색이 명확하지 않다는 점이다. 바로 이 이슈와 관련하여 서얼은 마음의 근본기반이 갖는 여러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그것이 ‘전-지향적’ 또는 ‘비-표상적’이라는 점이라고 주장한다. 즉 지향성의 근본기반 자체는, 지향 상태 일반과 달리, 세계 안의 어떠한 대상이나 사태를 표상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서얼의 지향성 이론을 손상시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마음의 토대에 관한 보다 더 적절한 이론을 건립하기 위해서 그와 같은 서얼의 입론을 비판한다. 그래서 필자는 지향성의 배경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표상적이라는 입론을 옹호하는 새로운 논변을 펼친다. 특히 그 입론을 지지하는 세 가지 특정한 이유가 마음과 세계의 상호관계성, 마음의 자기충족성, 그리고 표상 개념의 적절성 맥락에서 제시된다. 이는 마음에 대한 새로운 그림을 그리는데 일조할 것이다. The mind consists of various sorts of intentional states in which existent or non-existent objects and states of affairs in the world are represented. With respect to this, several theorists of intentionality, such as John Searle, Hubert Dreyfus, and Daniel Hutto, maintain that those intentional, representational mental states do not work alone, and that there is a bedrock of the mind that makes intentional states possible. The bedrock in question is sometimes called the “Background”. It indicates the underlying capabilities, skills, or conditions of the mind that enable intentional states to operate. Without the bedrock, intentionality does not even obtain. We can acknowledge that there is such a bedrock of the mind. The problem i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it are not clear. In relation to this issue, Searle notably takes it that one of the most vital features associated with the bedrock of intentional states called the “Background” is that it is pre-intentional or non-representational. This means that the bedrock itself, unlike intentional states in general, does not represent objects or states of affairs in the world at all. In this paper we cast doubt on this idea, not to vitiate Searle’s own approach to intentionality but rather to lay bare the theoretical basis for an improved theory. So the paper presents a new argument for the thesis that the Background of intentionality can at least partly be representational. In doing so, three specific reasons for the thesis are provided in light of the issues such as the interaction between mind and world, the self-containedness of the mind, and the plausibility of the concept of representation. This will help us to draw a new picture of the mind.

      • KCI등재

        용재성과 전재성에 연관한 마음의 제 특성-그 시론

        김영진(Youngjin Kiem) 한국현상학회 2015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65 No.-

        이 논문에서 필자는 하이데거의 용재성과 전재성 구분을 기반으로 하여 그 사상을 마음 연구에 적용하려고 한다. 여기에서 특히 필자는 사물의 전재적 존재 방식에 결부된 마음과 그 용재적 존재 방식에 결부된 마음의 제 특징이 무엇과 같은가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다음 입론이 제시된다: (1) 용재성에 결부된 마음은, 대상과 관련된 행위자의 실제적인 목적 연관을 위하여, 그 지향적 대상의 구체적인 물리적 현존을 요구한다. 그러한 마음은 사물에 대한 대리물로서의 그 사물에 관한 표상을 반드시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지향 대상은 행위자가 의도하는 특정 목적과 연관한다는 측면에서 마음 및 신체와 직접적으로 결합해 있다. 그 대상은 목적 성취 여부에 따라 행위자의 마음에 특정한 감응적 상태를 유발한다. 여기에서 마음은 체화된 형태로 존립한다. (2) 전재성에 결부된 마음은, 대상과 관련된 행위자의 실제적인 목적 연관을 수반하지 않으므로, 그 지향적 대상의 구체적인 물리적 현존을 요구하지 않는다. 그러한 마음은 사물에 대한 대리물로서의 그 사물에 관한 표상을 중시하는 성향을 보인다. 여기서 지향 대상은 행위자가 의도하는 특정 목적과 연관하지 않는다는 측면에서 마음 및 신체와 직접적으로 결합해 있지 않다. 그 대상은 행위자의 마음에 목적 성취 여부에 관련된 특정한 감응적 상태를 유발시키지 않는다. 마음은 신체성에 의존하지 않는 순수 지성이나 순수 이성으로 간주된다. 여기서는 사물이 마음을 형성한다기보다 마음이 사물을 구성하는 경향을 띤다. (3) 전재성과 용재성에 결부된 두 상이한 마음은 비록 서로 이종적으로 보이지만 한 자아나 행위 주체 안에 병존한다. 인간 삶에서 그 두 형태의 마음은 서로 상보적이면서도 그 고유한 가치를 갖는다. 위 입론들은 우리가 새로운 마음관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도록 기획된다. This paper concerns Heidegger’s distinction between the two different ways of being, i.e. Vorhandenheit and Zuhandenheit. More specifically, the paper focuses on laying bare the features of the minds associated with Vorhandenheit and Zuhandenheit. From this perspective, the following theses are put forward: (1) Mind connected to Zuhandenheit requires the actual presence of the intentional object with a concrete and physical form. Object of this sort is, with a view to fulfilling the agent’s practical purposes, directly related to the agent’s mind and body; according to whether such purposes are fulfilled or not, the object brings about a specific form of affective mental states. Mind exists in the embodied form. (2) Mind associated with Vorhandenheit does not require the actual presence of the intentional object. That sort of object is, because it does not have to do with fulfilling the agent’s practical purpose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agent’s mind and body; in general the object does not bring about affective mental states. Mind is supposed to constitute an object but not the other way around. Mind is considered to be a pure intellect or a pure reason. (3) These two different forms of mind are, although they seem to be heterogeneous, unified in the same self. In the human lives, those two aspects of the mind have their own value. The ideas above are designed to help us to draw a new picture of the mind.

      • KCI등재

        후설 노에마에 대한 휄레스달의 해석

        김영진(Youngjin Kiem) 한국현상학회 2006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28 No.-

        후설의 중기 대표 저작『이념들Ⅰ』에 나타나 있는 노에시스-노에마 교의는 지향적 경험의 일반적 구조에 관한 철학적 이론이다. 조야하게 말해서 노에시스는 개별적인 지향적 경험의 내실적인 작용적 계기이며, 노에마는 그 노에시스에 부속해 있는 어떤 내용적 계기이다. 특기할 만한 점은 노에시스의 상관체 혹은 내용체로서의 노에마에 관한 결정적인 해명을 우리가 아직도 갖고 있지 못하다는 것이다. 이 측면에서 후설 자신이 노에시스-노에마 교의를 이론적으로 완결하지 못했다는 것이 사실일지 모른다. 그 진상이 무엇이든, 그러나, 노에마에 대한 여러 해석들 중 상대적으로 더 타당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 혼재하고 있음을 우리는 발견한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후설의 노에마 이념을 지향성 일반의 시각으로부터 조명하면서, 노에마가 프레게 의미론에서의 뜻과 같은 내포적 실물이라는 휄레스달의 입장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필자가 주장하기를 원하는 점은 휄레스달의 노에마 해석이 적지 않은 일단은 철학자들의 긍정적 평가와는 달리 그렇게 타당한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The noesis-noema doctrine presented in the middle Husserl's work Ideas 1 is a philosophical theory of the general structure of intentional experiences. Roughly put, the noesis is the inherently real(reell) act-moments of a particular intentional experience, whereas the noema is the content-moments pertaining to the noesis. It is, by the way, quite surprising that we do not yet have the definitive interpretation of the noema as the correlate or content of a noesis. In this regard it may be the case that Husserl himself could not theoretically succeed in completing the doctrine of the noesis-noema. Whatever the truth may be, however, we find that among the many alternative interpretations of the noema in the philosophical literature, some are relatively more plausible, and others are not. In this paper the author, while shedding some light on Husserl's notion of the noema from the context of intentionality in general, critically discusses Føllesdal's view that the noema is an intensional entity essentially similar to the Sinn in Frege's semantics. What the author wishes to assert is that Føllesdal's interpretation of the Husserlian noema, in spite of a number of contemporary philosophers' approving assessments of it, does not seem to be very convincing.

      • KCI등재

        지향성 이론 정초의 시각에서 보는 브렌타노

        김영진(Kiem, Youngjin)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08 철학탐구 Vol.23 No.-

        브렌타노의 지향성관은 낡은 것이며 심지어 부적절하다는 주장에 대비되어 이 논문에서 필자는 브렌타노의 지향성 이념을 어떻게 대면하고 이해하고 해석할 것인가의 문제가 한 일반 지향성 이론을 구성하는 일의 기본 토대와 틀을 실질적으로 결정한다는 견해를 취한다. 이는 지향성 이론을 정립하고자 하는 철학자들이 그 자신의 고유한 방식과 시각에서 브렌타노의 지향성관을 주의 깊게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말이다. 그 점에서 본 논문의 작업은 브렌타노의 지향성 이론이 진정 설득력이 있는지 또는 그렇지 않은지를 직접적으로 판정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일반 지향성 이론의 정초를 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그의 이론의 중심 맥락을 비판적이면서도 반성적으로 재조명하는 것이다. 필자는 그 일을 브렌타노의 저서 『경험적 관점으로부터의 심리학』에 나타나 있는 유명한 지향성 구절에 관련된 일단의 이론적으로 결정적인 물음들을 정식화함을 통해 수행한다. In contrast to the claim that Brentano"s view of intentionality is obsolete and even implausible, in this paper the author takes it that the matter as to how we face up to, understand, and interpret Brentano"s notion of intentionality significantly determines the basic framework of, and the foundation for, constructing a general theory of aboutness. This amounts to saying that philosophers who want to build a theory of intentionality need to carefully re-examine Brentano"s view of intentionality in his own way and perspective. Thus seen the task of the present paper is not to directly judge whether or not Brentano"s theory of intentionality is plausible but rather to shed some light on the central tenets of his theory in a critical yet reflexive way, mainly so as to lay the firm basis for building a general theory of intentionality. The author tries to perform the task by means of formulating a group of theoretically crucial questions associated with the famous intentionality passage in Brentano"s book Psychology from an Empirical Standpoint.

      • KCI우수등재

        심리 세계에 대한 현상학적 환원

        김영진(Youngjin Kiem) 한국철학회 2011 철학 Vol.0 No.108

        에드문트 후설의 철학에서 현상학적 심리학은 두 가지 중요한 특징을 갖는다. 그 하나는 그것이 소위 자연적 태도에서 성립하는 경험 심리학에 대한 확고한 철학적 기초를 놓도록 설정된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그 심리학이 우리를 선험론적 현상학으로 인도할 수 있는 유효한 철학적 입구로 간주된다는 점이다. 그러한 현상학적 심리학은 ‘현상학적 환원’이라고 불리는 특수한 철학적 방법으로 구성된다. 여러 상이한 유형의 현상학적 환원이 그 심리학의 직접적인 실행을 돕는 것이다. 그런데 심리 영역에 대한 현상학적 환원과 관련하여 우리가 주목해야 할 점이 있다. 그것은 후설이 현상학적 심리학에서 이루어지는 여러 다양한 형태의 환원 중 특히 ‘형상적 환원’을 강조한다는 것이다. 많은 후설 학자들 또한 이 입장을 용인한다. 이 글에서 필자는 그 전통적 관점에 의문을 제기한다. 여기서 필자는, 물리세계에 대비되는 심리 세계의 여러 고유한 특징을 우리가 적절하게 고려할 때, 현상학적 심리학의 실행과 연관한 환원에서 형상적 환원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일은 예기치 않은 난점을 야기할 수 있으며, 바로 그러한 한 심리 세계에 대한 현상학적 환원에서 형상적 환원은 부차적이고 오히려 ‘선험론적 환원’이 일차적이라는 입장을 개진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이 주장에 대한 자세한 해명과 옹호이다. In Edmund Husserl’s philosophy, phenomenological psychology has two pivotal features: One is that it is supposed to provide a firm foundation for empirical psychology carried out in the natural attitude. The other is that it is regarded as a philosophical entrance that can lead us to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Phenomenological psychology thus characterized consists of peculiar philosophical methods called “phenomenological reductions”; and different forms of phenomenological reductions assist us to conduct psychology of the sort. Meanwhile, it is really noticeable that when it comes to the phenomenological reduction of psychological realm, Husserl gives special priority to what he calls eidetic reduction. This is quite a popular and conventional viewpoint amongst Husserl scholars. In the present paper I cast doubt on the traditional view. So I lay out the position that when we adequately consider intrinsic features of the psychological realm contrasted with the physical world, too much emphasis on eidetic reduction in conducting phenomenological psychology could result in some unexpected difficulties, and in that regard, as far as the phenomenological reduction of psychological realm is concerned, eidetic reduction is secondary and transcendental reduction is rather primary. The paper is an explication and defence of this claim.

      • KCI등재

        마음의 지향성과 밀리칸의 고유기능 이론

        김영진 ( Youngjin Kiem )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05 철학·사상·문화 Vol.0 No.2

        이 논문에서 필자는 어떤 낯설고 생소한 형태의 지향성의 존립가능성을 밀리칸의 고유기능 이론과 그녀의 지향성 이념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토의한다. 밀리칸의 그 이론이, 눈ㆍ심장ㆍ허파 등과 같은 생물학적 장착물이 어떤 원시적인 형태의 지향성을 지닌다는 점을 함축하는 것은 상당히 주목할 만하다. 철학자들은 그런 형태의 지향성을 외부적 지향성이라고 부른다. 이는 의식과 지성을 지닌 총체적 인격체만이 지향성을 소유할 수 있으며 그러한 한 그것이 물리적ㆍ생물학적 속성이나 기능으로 환원될 수 없다는 전통적인 지향성 이해와 정면으로 상충한다. 이 글에서 필자는 그 외부적 지향성의 이념이 어떤 방식에서 지향성 이론 일반의 건립에 이론적으로 관련할 수 있는지 추적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해 필자는, 최근 대두하는 외재주의적 지향성 이론을 형성하는 한 중심 입론-어떤 지향적 상태들은 마음 바깥의 실제적 대상들을 직접적인 방식에서 포함한다는 테제-을 밀리칸의 고유기능 이론과의 연관 속에서 명료화하도록 시도한다. The present paper discusses the ontic possibility of an unfamiliar and peculiar type of intentionality, with reference to Ruth Millikan's theory of proper functions and intentionality. It is quite remarkable that Millikan's theory just mentioned could imply that biological devices such as eyes, heart, and lung may have a certain primitive form of aboutness. Philosophers call aboutness of the sort external intentionality. This view of aboutness, by the way, clashes with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intentionality in which it is maintained that only a whole person with consciousness and intellect possesses the real intentionality that cannot be reduced to any physico-biological properties or functions. In this paper the author pursues the matter of whether and in what way the idea of external intentionality can have theoretical relevance to building a general theory of intentionality. More precisely put: the author, in connection with Millikan's ideas of proper functions, attempts to clarify a central tenet of the recent externalistic view of intentionality, i.e. the thesis that some intentional states include actual objects outside the mind in a direct manner.

      • KCI등재

        상호 이해를 위한 공감적 대화

        김영진(Youngjin Kiem) 한국현상학회 2016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68 No.-

        공감적 대화를 통하여 우리는 타자를 보다 더 잘 이해한다. 하지만 그러한 대화를 차단하는 두 난점이 있다. 우선 ‘공감’의 개념이 우리가 일상적으로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애매하고 모호하다. 다음으로, 공감적 대화의 의미가 명확히 규정된다고 해도 어떤 임의의 대화를 바로 공감적 대화로 만드는 정확한 기준 내지 조건의 규명이 어렵다. 이러한 맥락에서 우리는 상호 이해를 위한 공감적 대화의 의미와 조건을 규명한다. 그 과정에서 우리는 슈테판 슈트라서가 밝히는 대화의 기본 법칙과 폴 그라이스가 제시하는 대화의 격률을 비판적으로 토의한다. 그런 뒤 공감적 대화의 조건들을 해명하는 데 매우 중요한 기여를 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마이클 제임스의 이론을 논구한다. 그에 따르면, 공감적 대화의 기준은 ‘서로의 관점에 대한 개방적 태도’, ‘타자 관점의 이해’, ‘공정한 조건에서의 소통(권력의 강제나 위협으로부터의 자유 및 대화 주제의 무제약적 허용)’이다. 문제는 그 기준들의 의미가 충분히 명료하지 못하고 또한 그들을 실제로 충족시키는 일이 매우 어렵다는 것이다. 이 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우리는 현상학적 심리철학의 몇몇 이념들을 도입하여 다음 세 입론을 제시한다. 즉, 공감적 대화에 있어서 (i) 마음의 개방적 태도는 판단중지를 통해 가능하다; (ii) 타자 이해는 특수한 형태의 자기이입과 상호주관성의 추구를 통해 가능하다; (iii) 소통에서의 공정성 조건은, 대화자들의 윤리적 태도와 반성적 태도에 의해 다소 개선될 수 있다. 공감적 대화의 세 조건들을 충족시키는 데 관여된 여러 난점들은 오히려 그러한 대화가 갖는 근원적인 어려움을 우리에게 여실히 보여준다. 이에 공감적 대화를 쉽게 생각하는 경향은 잘못된 것일 뿐만 아니라 오도적이다. 본 논의는, 공감적 대화의 본성과 실현에 연계된 여러 난점을 적시하고 그들을 올바로 인식함으로써 그러한 대화의 실행에 한 발 더 다가가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기획된 것이다. Through empathetic dialogue, we understand others better. But there are two difficulties that impede the realization of such dialogue. First, the concepts of sympathy and empathy are more ambiguous and vague than we have normally thought. Second, even if the meaning of empathetic dialogue is clearly exposed, it is hard to pin down the precise criteria or conditions that turn a dialogue into such dialogue. From this context, we attempt to uncover the meanings and conditions of sympathetic and empathetic dialogues. In doing so, we critically examine Stephen Strasser’s basic laws of dialogue and Paul Grice’s maxims of conversation. And then we proceed to discuss Michael James’s theory construed as a most important contribution to exposing the conditions for empathetic dialogue. According to James, those conditions are ‘open attitudes towards each other’s perspectives’, ‘understanding of other’s view’, and ‘communication under fair conditions (i.e. the freedom from coercion and threat associated with power & the unconditional concession of dialogue themes)’. The problem is that it is very difficult for a dialogue to meet these criteria. In order to contribute to resolve this matter, we present the following three theses in light of the phenomenological philosophy of mind. (i) Taking an open attitude is possible by means of epoché. (ii) Understanding of others is possible via the peculiar form of empathy and the pursuit of intersubjectivity. (iii) Fairness conditions in communication can be somewhat improved by dialogue participants’ taking the ethical and the reflective attitudes.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fulfilling the conditions for empathetic dialogue rather show us a real, fundamental predicament connected to such dialogue. In this regard, the tendency to think that empathetic dialogue is easy is not only wrong but also misguided. This inquiry is intended for helping us to carry out empathetic dialogue, chiefly by means of identifying and recognizing the serious difficulties connected to the nature and practice of such dialogue.

      • KCI등재

        데넷의 헤테로 현상학

        김영진(Youngjin Kiem) 한국현상학회 2018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77 No.-

        마음과 인지의 본성에 대한 과학적·철학적 탐구와 관련하여 대니얼 데넷(1942- )이 유물론, 자연주의, 과학주의를 옹호해왔다는 점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런데 그의 철학에서 상당히 놀랍고 다소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 있다. 그것은 데넷이 인지의 본성을 해명하는데 있어서 모종의 ‘현상학’을 제안해왔다는 점이다. 그는 고전적인 후설 현상학을 ‘오토 현상학’이라고 칭하고 그것을 맹렬하게 비판하면서, 자신의 현상학을 ‘헤테로 현상학’이라고 이름 짓고 그것이 현대 인지과학과 심리철학의 적실한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역설한다. 여기에서 필자는 다음 물음을 제기한다. 마음 연구 일반과 관련하여 데넷의 헤테로 현상학은 정확히 무엇인가? 그 현상학의 난점과 의의는 무엇인가? 이 문제에 대하여 필자는 데넷의 헤테로 현상학이 ‘현상’ 개념을 변형함으로써 인지와 마음에 대한 현상학적 탐구의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지만 그럼에도 그 원리적 변형이 상당히 심하므로 그것이 적절한 형태의 현상학이 되기 위해서는 ‘이입적 환원’이라고 불리는 특정한 방법적 원리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한다. 본 논의가 성공적일 경우 우리는 보다 더 확장된 현상학을 가질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는 마음의 본성을 규명하는 데에 이른바 1인칭적인 현상학적 접근과 3인칭적인 과학적 접근을 부분적으로 융합할 수 있는 방법론의 실마리를 낳을 것이다. Regarding the scientific and the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into the nature of mind and cognition, it is well-known that Daniel Dennett(1942- ) has defended materialism, naturalism, and scientism. But there is a quite surprising and somewhat unknown fact in his philosophy. It is that Dennett has suggested a certain sort of “phenomenology” in carrying out the research into the nature of cognition. He has dubbed the classical Husserlian phenomenology as “auto phenomenology” and vehemently criticized it. Whereas he calls his own phenomenology as “hetero-phenomenology”, and asserts that it can be the proper method both in the contemporary cognitive sciences and the philosophy of mind. Now I raise the question, exactly what is Dennett’s hetero-phenomenology in the investigation of the mind in general? What could be its inherent significance and difficulty? Concerning these questions, I propose that hetero-phenomenology, by means of modifying the notion of phenomenon, can extend the range of phenomenology, but because it’s modification is quite severe, it still needs a specific methodological principle called the “empathetic reduction”, in order for it to be the proper form of phenomenology. If this inquiry is successful, it will make us have an extended form of phenomenology, and it will bring about an important clue for a consilient method for pinning down the nature of mind in which the first-person phenomenological approach and the third-person scientific approach can be partly combi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