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수평교통하중에 의한 접착식 콘크리트 덧씌우기의 Debonding Mechanism 연구

        김영규,이승우 한국도로학회 2016 한국도로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6 No.06

        접착식 콘크리트 덧씌우기는 교통량 증가 및 중차량에 대한 하중지지 능력이 우수하고, 기존 콘크리트 포장과의 재료물성이 유사하여 유지보수 후 포장 파손 발생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 들어 다양한 초 속경성 재료의 도입으로 콘크리트 덧씌우기의 조기 교통개방 성능을 확보하여 국내 현장 적용실적이 증가 하고 있는 추세이다(이승우 외, 2011). 접착식 콘크리트 덧씌우기의 장단기 공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 으로는 기존 콘크리트 포장층이 건전해야 하며, 적정 부착성능을 확보하여 완전부착을 통한 일체화 거동 을 나타내야 한다. 접착식 콘크리트 덧씌우기의 공용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는 크게 부착면 파손에 의 하여 구조적 성능이 감소하는 것으로, 부착면에서의 수직 인장응력 및 수평 전단응력이 임계치에 도달하 여 부착강도 이상 발생할 경우 파괴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적절한 부착강도 품질관리 기준이 요 구된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부착면 파괴 발생모드에 대한 메커니즘 규명 및 기초 연구가 전무한 상황으 로, 실질적인 부착강도 품질관리기준을 제시하기 위하여 부착면에서 발생하는 수직 인장응력과 수평 전단 응력의 산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 김영규 등(2014)의 연구에서는 접착식 콘크리트 덧씌우기의 구조적 파손 중 하나인부착면 파손의 발생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3차원 유한요소 해석을 실시한 후 부착면에서 발생하는 수직 인장응력 및 수평 전단응력을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부착응력의 경우 교통하중과 환경하중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발 생하나 수직 인장응력은 환경하중에 의한 영향이 지배적이며, 수평 전단응력은 교통하중에 의한 영향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착면 파손의 경우 수직 인장응력과 수평전단응력의 복합적인 거동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으나 수평 전단응력 보다는 수직 인장응력에 의하여 지배적이며, 최대 부착응력의 경 우 상하부 온도차가 (-)분포를 나타내는 야간의 경우 상향컬링과 함께 과도하게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였 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교통하중의 흐름이 정적인 구간, 즉, 토공부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고속도로 상습 지・정체 구간 및 요금소 진출입로 등의 경우 교통하중의 특성이 상이하여 접착식 콘크리트 덧씌우기의 빈번한 파손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조해석을 통하여 접착식 콘크리트 덧씌우기에 대한 교통하중의 정지 및 출발 조건을 고려하는 수평교통하중을 적용하였으며, 부착면에서 발생하는 수직 인장응력 및 수평 전단응력의 산정을 통하여 부착면 파손의 발생 특성(debonding mechanism)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 Directed-Dewetting Behavior of Polymer Thin Films on Aligned Gold Nanoparticles

        김영규,마서영,이동현 한국고분자학회 2021 한국고분자학회 학술대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46 No.2

        Here, we demonstrate the directed-dewetting of polymer thin film on topographical patterns of gold nanoparticles (AuNPs). To prepare the topographical patterns of AuNPs, the nano-stripe patterns of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are first fabricated by physically rubbing a PTFE bar on Si substrate over its melting point. Then the bare surface exposed between nano-stripe patterns is chemically modified. Therefore, once the substrates are immersed in the AuNPs solution, the particles are spatially placed between the soft patterns due to interaction of AuNPs and amine. By applying RIE process, all organic components are removed and only uniform arrays of the NPs are remained on the substrate. Finally, polymer thin films are spin-coated on AuNPs patterns. To induce directed-dewetting of the film, samples are thermally annealed. After that, it is found that the films are selectively dewetted on the surface due to synergetic effect of surface tension difference and topographical Au patterns.

      • KCI등재

        커피전문점 경영형태에 따른 이용고객의 충성도 비교연구

        김영규,류명자 대한관광경영학회 2012 觀光硏究 Vol.27 No.5

        국내커피전문점 시장은 과도한 커피전문점의 점포 수 확대로 인한 매출하락, 교육부재, 서비스 질 저하 등의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커피전문점의 고객확보 및 충성고객 확대전략은 치열한 경쟁에서 생존하기 위해 무엇보다도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본 연구에서는 커피전문점의 경영형태 별 충성도의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조절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지역기반의 커피전문점이 전국규모 및 국외브랜드 커피전문점에 비해 선전하고 있는 대구지역의 커피전문점 이용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독립브랜드와 전국브랜드의 차이는 커피전문점 이용고객들의 충성도 형성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Overwhelming phenomena in coffee shop industry in Korea has created severe competitions among coffee shops and strategical effort in retaining current customers rather than creating new ones has ever gained attention from companies. Therefore finding out key factors affecting loyalty among customers patronizing coffee shops would certainly benefit marketers and industry practitioners to establish an effective management strategies which would increase repeat purchase and loyalty from customers and produce more revenues and profit.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customers patronizing coffee shops in Daegu where almost all top rated national brands and independent local brand coffee shops are in severe compet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existed between national brand and independent local brands in terms of customers' loyalty build-up on a specific brand.

      • KCI등재후보

        북한 민법상 물건

        김영규 법무부 2018 統一과 法律 Vol.- No.36

        이 논문은 권리객체로서 가장 중요시되는 물건과 관련해서 북한 민법상 물건의 개념과 종류를 살펴본 후, 이를 토대로 물건의 정의 및 분류에 관한 남북한 민법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검토함으로써 ‘북한 민법상 물건’의 정체성을 규명하고 물건에 관한 남북한 민사법제의 통합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북한 민법은 우리 민법(98조-102조)과는 달리 물건의 정의와 그 분류에 관하여 부동산과 동산, 주물과 종물, 원물과 과실에 대한 직접적인 규정을 총칙에는 두지 않고 각칙에서 관련 규정을 두고 있다. 먼저 물건의 개념과 관련해서 북한의 민법이론은 우리 민법(98조)과 같이 유체물과 무체물을 모두 물건으로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은 철도승차권과 같은 유가증권을 유체물로 이해함으로써, 이를 증권적 채권으로 이해하는 우리 민법과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북한 민법은 물건의 분류와 관련해서 동산과 부동산, 주물과 종물(주된 재산과 종속된 재산), 특정물과 불특정물(종류물), 가분물과 불가분물, 유통물과 비유통물(융통물과 불융통물) 등으로 나누는 관련 규정을 두고 있다. 부동산과 동산에 대해서는 민법에서는 별도의 정의가 없고, 북한 부동산관리법(2조)에서 ‘토지’ 이외에 ‘건물, 시설물, 자원’을 부동산으로 다룸으로써 우리 민법(99조 1항)과 같이 토지와 그 정착물을 부동산으로 규정하고 있다. 또 남북한 민법은 모두 부동산과 동산의 법적 취급에 있어서 선의취득, 공시제도 등에서는 유사점을 보이지만, 제한물권의 모습이 서로 다르고 무엇보다도 북한 민법은 부동산에 대한 매매․임대차를 부정한다. 또한 특정물과 종류물을 나누는 기준, 가분물과 불가분물에 대한 수인의 채무자가 있는 경우에 분할채무와 연대채무로 나누는 것 등은 우리 민법과 유사하다. 그러나 북한 민법은 특정물인도채무자의 선관주의의무에 대한 규정이 없고, 불가분채무와 연대채무를 구분하고 있지 않다는 점 등에서 아직 미분화된 모습이며 우리 민법(374조, 411조, 423조)과 차이를 보인다. 그리고 소비대차에 있어서 그 이자를 불로소득으로 간주하여 그 취득을 금지하고, 당사자가 외국통화로 채무이행을 할 수 없도록 제한하는 등 북한 특유의 폐쇄성과 단순성을 보이고 있다. 이 밖에 원물과 과실에 대한 직접 규정은 없으면서 이론상으로는 인정하고, 부당이득의 수익과 연체료를 과실로 취급한다는 점에서 이 또한 입법이나 이론정립에 있어서 미분화된 모습을 엿볼 수 있다. 끝으로 남북한 민사법제의 통합에 있어서 그 기본전제로서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를 포기할 수 없다는 점에서 이를 근간으로 한 우리 민법(98조-102조)의 물건의 규정이 그 토대가 되어야 한다는 점, 이러한 점에서 유사점은 양자의 통합을 용이하게 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차이점에 대하여는 그 내용을 검토하여 극복할 것인지 통합의 한계로 할 것인지 결정하여야 한다. 이를 대략 살펴보자면, 단순히 북한 민법의 단순성 및 미분화성과 관련된 규정들은 우리 민법의 물건 관련 규정들을 그대로 통일 이후 북한 지역에도 확대적용하면 되며, 다만 경과규정을 두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부동산에 대한 매매․임대차를 금지하는 북한 민법과 부동산관리법의 규정들은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정면으로 배치되는 규정이므로 통일 후 효력을 정지하되, 기존의 질서가 시장경제질서로 무리 없이 전환되도록 입법조 ... This report examines the identity of the things in North Korean civil law through comparing and studying about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South Korean civil law and North Korean one regarding a definition and a classification of the things after researching a conception and kind of the things which is the most important as an object of rights. North Korean civil law has no direct regulation about a definition and a classification of the things in General Provisions unlike South Korean civil law, but there are regulations of immovables, movables, principal thing, accessory, the original, fruits, deliver specific things, specific things, divisible things, and indivisible things in particulars of civil law. Regarding the conception of things civil law scholars acknowledge corporeal things and incorporeal things as things like definition of Things in South Korean civil law(§98), but they comprehend marketable securities as corporeal things so that it is a different point from that South Korean civil law comprehends it as a bearer security. In reference to immovables and movables they have provisions of immovables on Management Act and they define land and things firmly affixed thereto as immovables(§2) the same as South Korean civil law(§99). But in spite of these kinds of similarities the form of restricted real right differs from each other between South Korean civil law and North Korean civil law, and above all sale and lease of immovables are not approved in North Korean civil law.

      • 하단방류형 가동보 직하류부 구간의 에너지 감세효과 연구

        김영규,최계운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에서는 보형식에 따라 발생되는 수리학적 현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리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보 형식은 월류형 고정보와 하단방류형 가동보를 대상으로 하였다. 두가지 다른 형식의 보에서 발생하는 도수를 포함한 직하류 흐름 특성을 비교하고, 하단방류형 가동보를 설치할 경우 발생되는 직하류부 구간의 수위, 유속 및 에너지 변화 등 수리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하단방류형 가동보 직하류에서 발생되는 흐름을 제어하기 위하여 감세공 설치 위치 및 높이의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방류 후 보 직하류에서 하단방류형 가동보의 경우 월류형 고정보와 유사한 도수(Hydraulic jump)가 발생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보 직하류 사류구간의 증가로 인하여 전체적인 도수길이는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Froude 수에 비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상에 영향을 미치는 사류구간을 줄이기 위하여 도수를 사전에 유도시키도록 감세공 설치를 검토하였으며, 감세공을 설치할 경우 미설치시보다 단위길이당 에너지 감소효과는 Froude 수가 1.7 이상에서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감세공의 설치에 있어서 설치 높이는 에너지 감소효과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실험 결과 감세공의 높이는 하류 자유흐름 수심의 10%에서 가장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분석한 결과 하단방류형 가동보 직하류의 하상보호를 위해 도수현상의 길이를 줄이는 방법으로 효과적인 감세공 설치를 통해 에너지를 줄이는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