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4차 산업혁명과 인문학의 또 하나의 길-독일을 중심으로-

        김연순 ( Kim Younsun ),이종관 ( Lee Jongkwan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人文科學 Vol.0 No.76

        18세기 중엽 이후 등장한 산업혁명이 디지털 혁명에 힘입어 4차 산업혁명으로 진화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으로의 출발점은, 제조업 강국으로서 미래에도 국가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려는 독일의 하이테크 전략 수립에서 찾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독일 정부는 2004년부터 오늘날까지 방대한 프로젝트들을 지원하고 있으며, 그 첫 연구 결과는 2006년 8월 ‘하이테크 전략’으로 발표되었고, 2010년에는 ‘인더스트리 4.0’이라는 제조업의 혁신전략으로, 2016년에는 공식화된 ‘4차 산업혁명’으로 이어졌다. 이 일련의 과정들에서 관통하는 핵심은 디지털화이다. 디지털화는 산업 환경의 질적 변화는 물론 노동의 질적 변화를 요구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서 이것은 교육의 질적 혁신으로 실현될 수밖에 없음으로 인식되고 있다. 성공적인 제조업의 혁신을 위해서는 그와 맞물린 다른 사회적 여건들에서도 혁신적인 솔루션이 실현되어야 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4차 산업혁명의 과정에서 노동과 교육 영역에 요청된 혁신의 기반이 디지털화이고 그것에 관련된 인문학의 새로운 방법론 모색에 이르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4차 산업혁명의 출현과 독일적 특성에 따른 인더스트리 4.0-노동4.0-직업교육4.0, 더 나아가 인문학의 새로운 분과로 등장한 디지털 인문학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이 고찰될 것이다. 이로써 본 논문은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해서 독일의 인문학이 실용화 되는 한 단면을 제시하려 한다. Since the mid-18th century, the industrial revolution has evolved in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riven by the digital revolution. The starting poi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an be found in the establishment of Germany’s high-tech strategy, as a manufacturing powerhouse, that will continue to lead the competition in the future. To this end, from 2004 until today, the German government has supported a large number of projects. The results of the first study were announced by Merkel in August 2006 as a “high-tech strategy”, followed by a manufacturing innovation strategy called “Industrial 4.0” in 2010 and a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2016. The key to penetrating this series of processes is digitization. Digitization leads to qualitative changes in the industrial environment, resulting in qualitative changes in labor, and further demands for qualitative changes in education. In order to successfully innovate manufacturing, other social conditions require innovative solutions to be realized. This paper examines what humanities look for in Germany during this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o this end, I would like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mergenc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Digital Revolution, and briefly examine the digital humanities that emerged as a new branch of the humanities and industry 4.0-labor 4.0-vocational education 4.0 reflecting German characteristics. In this way, I would like to suggest an aspect of the practical use of German humanities in relation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KCI등재

        제4차 산업혁명의 자동화와 적응형 자동화

        김연순 ( Kim Younsun ),이종관 ( Lee Jongkwan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人文科學 Vol.0 No.65

        제4차 산업혁명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는 핵심어로 분권화와 연결성 및 자율화 개념을 꼽게 된다. 제4차 산업혁명은 독일의 경우 인더스트리 4.0에서 출발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인더스트리 4.0이 지향하는바, 생산 공장을 디지털화하려는 것은 결국 자율화를 실현코자 하는 것이다. `인더스트리 4.0`은 산업현장을 생각하는 기계로 재배치하여 근대 이후 꾸준히 진화해온 기계 설비를 완전히 디지털화하고 그것을 기반으로 공장을 자율적으로 가동시키려는 하나의 미래 지향적 생산프로그램이다. 이로부터 시작되었다 해도 과언이 아닌 `제4차 산업혁명`은 같은 맥락에서 소비현장인 생활세계를 혁신적으로 변화시키고 있으며, 더 나아가 미래의 산업현장을 인간과 상호작용하는 기계 중심으로 생각하려는 거대 기획인 것이다. 이것의 기반은 금세기에 들어서자 본격적으로 구상되어진 기계의 자율화 프로그램을 통한 자율적인 최적화이다. 그러할 때 무엇보다도 근대 이후로 기계화 되어온 노동은 이제 디지털화로 나아가고 완전 자동화를 지향하며 조만간 인간의 노동을 산업현장에서 내몰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결국 인간의 삶을 빠른 속도로 위축시킬 것이다. 제4차 산업혁명은 생산영역 뿐만 아니라 생활 세계 전반에서 그리고 더 나아가 인간 자신까지도 자동화에 기반을 둔 자율적인 최적화 시스템으로 재구성해갈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노동은 이제 인간의 자기실현으로 규정되기보다 기계의 작동과 같은 작업으로만 간주될 것이다. 문제는, 그것을 수용해야 하는가 이다. 만약 그것을 원하지 않는다면 삶에서 노동의 의미가 숙고되고 재개념화 되어야 하며 인간의 노동이 사라질 미래에 대해 인간은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가 하는 문제가 숙고되어야 한다. 이에 관련하여 본 논문은 오늘날 인간의 개입을 최소화 시키는 자율화의 진화적 프로세스에 문제의식을 갖고 이러한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적응형 자동화와 같이 인간과 기계의 협업을 그 대안으로서 제시하고자 한다. Decentralization, autonomy, and networking are the key concept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mong these, we focus on the autonomy. Industry 4.0 is a future-oriented production program that relocates machinery to the industrial field, and fully digitalizes the mechanized equipment which has evolved steadil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started from Industry 4.0, is a huge project that makes a revolutional change of the living world as the field of consumption. Furthermore, machine may replace most of human work someday. In this sense, it is the important to understand self-optimization and adaptive automation in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constitute an autonomous system based on automation. In this system, human workers would be dismissed from the shop floor, and their lives would rapidly wither. To solve this problem, we should consider how we can cooperate with machines. Adaptive automation is the main suggestion of this paper.

      • KCI등재

        범신론 논쟁에 대한 하이네의 비판과 그의 진보적 범신론

        김연순 한국독일어문학회 2003 독일어문학 Vol.21 No.-

        In den 1830er Jahren steht Heine der Pantheismus als eine religiose und zugleich philosophische Uberlegung vor Augen, die auf der Basis des dialektischen Philosophiesystems Hegels angestellt wird. Dabei platziert Heine Spinozas Philosophie in ein neues, hoheres Ganzes gegensatzlicher Systeme. Er behauptet, insbesondere seit der Neuzeit habe Spinoza großen Einfluss auf die Geistesgeschichte Deutschlands ausgeubt. Geschichtlich gesehen ist Heines Pantheismus selbst in der Tradition des schon funfzig Jahre zuvor gegen Spinoza eifernden Pantheismusstreits in der Aufklarung verwurzelt, dessen deutliche Spur im theologischen, philosophischen und kunstlerischen Bereich zu finden ist. Heine mischt sich in den im theologischen Sinne nicht mehr aktuellen Streit ein und bezieht den Begriff der Existenz Gottes im politischen, sozioethischen und anthropologischen Sinne in die Auseinandersetzung mit Deismus, Dualismus und zeitgenossischem Pantheismus ein. Dabei zeigt sich, wie Heine der philosophischen Reproduktion des Pantheismus Spinozas eine moderne Farbung gibt. Was Heine dabei im Hinblick auf Spinoza sieht, ist ein großes System, das in sich selbst den Bereich des Himmels und der Erde umfasst. Doch ist seine große Natur ‘in ihrer lebendigsten Ruhe’. In diesem Punkt lasst sich die progressive, emanatische Eigentumlichkeit des Pantheismus Heines im Sinne eines Abgehobenseins von Spinozas waagerechtem emanatischem Pantheismus unterscheiden. Genau hier enthalt Heines Pantheismus die Intention der sozialen Reform.

      • KCI등재

        하이네의 후기 작품에서 문화의 내면화와 감성의 억압에 관한 역사인류학적 고찰

        김연순 한국독어독문학회 2002 獨逸文學 Vol.84 No.1

        Diese Arbeit untersucht in Heines Kulturkritik das Verha¨ltnis der menschlichen Sinnlichkeit zur Verinnerlichung der Kultur. Darin geht es um die historischanthropologische Rekonstruktio seiner sensualistischen Ansicht, die die Forderung nach der Rehabilitation der Sinnlichkeit und der Ko¨rperlichkeit betont. Dies zeigt die Konfrontation zwischen vergeistigter Kultur und menschlicher Natur, die aufgrund des christlichen Dualismus zum herabgewu¨rdigten Reich des Teufels geho¨rt. Diese Gegenu¨berstellung wird aus historisch-anthropologischer Perspektive analysiert. Indem der Mensch im historischen Prozeß der Zivilisation dualistisch determiniert wird, gera¨t er in den inneren Zwiespalt zwischen Geist und Ko¨rper, obwohl er eingentlich in sich selbst eins ist. Diese Trennung verknu¨pft sich fu¨r Heine unmittelbar mit der Unterdru¨ckung der Sinnlichkeit des Menschen in der Verinnerlichung der asketischen religio¨sen Kultur. Dies wird durch Heines Revision der Kulturgeschichte vom Mittelalter zur Moderne deutlich, und dabei kritisiert er am ha¨rtesten die christliche Tradition und die sich daran orientierenden Romantiker, die in der neuen Zeit die Idee des mittelalterlichen Christentums wieder aufgreifen wollen. In diesem Sinne ko¨nnen 'Tannha¨user' und 'Faust' von Heine in einem inhaltlichen Zusammenhang interpretiert werden. Das Exil Tannha¨users entspricht Fausts Pakt mit dem Teufel und Tannha¨user ist eine Pra¨figuration von Faust. Beide sind als Sensualisten von der u¨bersinnlichen, geistigen Welt getrennt. Diese Trennung impliziert den Ausschluss aus dem Verweilen im ungeteilten Leben. Heine erlebt den unendlichen Schmerz der Zerrissenheit auch in seiner eigenen gesellschaftlichen Gegenwart, in der das Christentum noch soziale Macht hat. Daraus leitet sich die Leigitimita¨t der zeitgema¨ßen Forderung ab, durch Rehabilitation der Sinnlichkeit die Entwicklung zum harmonischen, gesunden Menschen zu fo¨rdern, der zugleich fu¨hlen und denken kan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