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密本의『藥師經』 신앙과 그 의미

        김연민(Kim, Yeon-min) 한국고대사학회 2012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65

        밀본은 선덕왕대(632~647) 활동한 신라 최초의 밀교승려이다. 그는 선덕왕의 치병 과정에서 흥륜사의 법척과 대립하였다. 법척은 여우와 함께 제거되었는데, 양자는 같은 성격을 지닌 것으로 이해된다. 곧 법척은 신라의 토착신앙과 혼효된 승려였다. 치병주술에 있어서 밀본과 법척의 차이는 『약사경』에 있다. 법척의 치병주술이 무격과 다르지 않다면 밀본은 구체적인 불경에 근거한 『약사경』 신앙을 내세웠다. 그런데 『약사경』 신앙은 매우 보편적인 성격을 띠고 있어서 어느 종파에서나 부각될 수 있다. 결국 밀본의 치병주술은 토착신앙과 혼재된 불교를 배격하면서 보편적인 불교신앙을 신라사회에 정립시키고자 한 것이다. 밀본이 선덕왕대 등장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사륜계의 정치적 부상이 있었다. 그는 중대왕실의 지지자인 김유신?김양도와 친밀한 관계에 있었다. 아울러 7세기 중반 중국 밀교의 변화도 주목된다. 이 시기는 8세기 중기밀교가 완성되기 직전에 해당한다. 이때 현세이익적인 다라니 중심의 초기밀교가 성불을 강조하는 경향을 보이면서 개별적으로 나타났던 밀교적 요소들이 집대성되기 시작하여 밀교의 교학이 체계화되고 있었다. 그런데 밀본의 『약사경』 신앙은 보편적 성격이 강하여 명랑과 혜통에 비해서 밀교의 특성이 약하게 나타났다. 이들의 차이점은 토착신앙에 대한 입장에서 분명하게 나뉜다. 명랑과 혜통은 토착신앙과 대립하기보다는 오히려 그것을 포용하려고 하였다. 대립만을 강조했던 밀본보다 그들의 밀교사상이 좀 더 성숙했음을 의미한다. 다만 밀본이 중고기 후반에 활동했다면 명랑과 혜통은 교학불교가 만개하기 시작했던 중대 전반기의 승려였다. 즉 밀본에게는 토착신앙과 혼재된 불교를 배척하고 정법의 신앙을 정립하여 신라사회에 뿌리내리게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사항이었을 것이다. Milbon(密本) was the Silla"s first Esoteric Buddhist monk who lived in the 7th century. Through him, the Esoteric Buddhism was introduced to Silla. Milbon was the Queen Seondeok(善德王) of charm off a disease. In the process, he was opposed to Heunglyun temple"s(興輪寺) Popchuk(法?). Popchuk was removed with a fox, with the quantum of the same nature is understood. In other words, Popchuk mixed with Silla"s indigenous religion was a Buddhist monk. The difference between Milbon and Popchuk have the Buddhist sutra. Milbon‘s incantation was based on the Bhaisajyaguru-Sutra(藥師經). But the Bhaisajyaguru-Sutra faith is very common to only being biased view of the Esoteric Buddhism is difficult. So he tried to spread Buddhism is universal in Silla. Milbon was able to appear in the reign of Queen Seondeok(632~647), the political background of the Saryungye(舍輪系) were injured. He was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Kim Yang-Do(金良圖) and Kim Yoo-Shin(金庾信). In other words, Milbon was able to appear in the seventh century, the background of the students had political development. In addition, changes in China’s Esoteric Buddhism, is noteworthy. He has emerged in this context.

      • KCI등재

        돈 드릴로의 『포인트 오메가 』(Point Omega)에 나타난 시간과 이미지의 개념

        김연민 ( Yeon Min Kim ) 한국현대영미소설학회 2013 현대영미소설 Vol.20 No.3

        In Point Omega (2010) Don DeLillo not only appropriates postmodern phenomena but also keeps a critical distance from them. His ambivalent attitudes toward the postmodern can be illuminated by the distinctive concepts of time and image, Aion and simulacrum, which were theorized by Gilles Deleuze. Arranging Douglas Gordon`s 24 Hour Psycho in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oeuvre, DeLillo suggests a world of Aion, in which a traditional self defined by an omnipresent perspective of Chronos can no longer sustain, a characteristic of postmodern ontology. Aion resonates with an omega point, the ultimate state of human consciousness in the course of evolution, to which both the protagonist Elster, a former U.S. military strategist in the Iraq war, and DeLillo are seriously attracted. By calling into question a conventional definition of the self, the omega point is juxtaposed with a desert setting, in which a revolutionary state of the self transcends not only a biological realm of a human being but also a cognitive one. On the other hand, DeLillo is keenly aware of negative aspects of postmodern phenomena. Individual singularities in a city and a war are promptly evaporated, substituted with languages of representation, such as numbers and images. What he suggests as alternatives to those abstract languages are film and literature. As in his vivid description of 24 Hour Psycho, DeLillo resuscitates a world of singularities ignored by a conventional act of seeing, in which simulacra, independent of the original, retain their own meanings, unswayed by overwhelming power of representation.

      • KCI등재

        惠通의 活動과 密敎思想

        김연민(Kim, Yeon-min) 신라사학회 2014 新羅史學報 Vol.0 No.31

        혜통은 사량부 출신의 왕경인으로 6두품 이상의 신분을 갖고 있었다. 그는 문무왕 2년(662)당으로 유학을 떠나 3년간 밀교사상을 배웠다. 설화로 윤색되었으나 그가 스승으로부터 인정받는 과정은 밀교의 전법관정을 의미한다. 혜통이 활동한 7세기 중반은 8세기 중기밀교의 등장을 앞두고 초기밀교의 교학이 크게 성장할 때였다. 그는 중기밀교의 특징이 보이기 시작한 발전된 초기밀교를 전수받고 문무왕 5년(665)사신인 정공을 따라 귀국하였다. 혜통은 신문왕 5년(685)에 완성된 봉성사 창건에 깊이 개입했다. 봉성사는 신문왕의 대민안정 의지를 상징한 사찰로 삼국통일 후 체제정비를 일단락한 자신의 업적을 강조하기 위해 창건했다. 이는 혜통과 기층민의 친밀함을 보여준다. 그가 효소왕대 박해를 딛고 국사에 오를 수 있었던 것도 기층민 사이에서 명성이 높았기 때문이다. 혜통의 밀교사상은 신주 독송, 곧 다라니신앙을 핵심으로 했다. 존승각간은 존승다라니로부터 연유한 그의 별명이다. 봉성사 창건설화에 나타난 혜통의 주술은 죄업소멸과 생명연장이라는 존승다라니의 기능과 일치한다. 한편 유학시절 당실의 공주를 치료한 주술은 작단법과 다라니가 결합된 것으로 《다라니집경》의 밀단법과 비슷하다. 《다라니집경》은 초기밀교에서 있어서 교학적 발전이 가장 두드러진 경전으로 혜통은 스승에게 이를 전수받았다. 곧 혜통은 특정 경전에 의지하지 않고 7세기에 번역된 다양한 다라니 경전에 관심을 갖았다. 그럼에도 혜통의 주술이 소소한 모습을 보이는 것은 그 대상이 기층민이었기 때문이다. 그는 다라니신앙을 통해 신라의 토착신앙을 포용하여 정법의 밀교를 홍포하려 했다. 혜통 때 이르러 밀교의 바람이 크게 떨쳐졌다는 《삼국유사》의 평가는 이때 밀교가 신라사회 전반으로 확산됨을 의미한다. 7세기 후반 혜통의 활동을 바탕으로 다라니신앙이 점차 파급되기 시작하여 8세기 초반부터 밀교의 여러 다라니 경전들이 수용되었다. 이는 삼국통일 후 기층민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불교 대중화가 진전되었던 사회분위기를 반영한 것이다. 신라하대에 이르면 대덕의 선발기준으로 설정될 만큼 다라니신앙은 종파에 상관없이 보급되어 있었다. 한편 9세기 후반 사회혼란이 가중됨에 따라 토착신앙과 섞인 참위적인 다라니신앙도 나타났다. 이것은 당시 신라사회에 다라니신앙이 얼마만큼 확산되어 있었는지를 반증하는 사례이다. Hyetong(惠通) was a Esoteric Buddhist monk in Silla. He lived in Saryangbu(沙梁部), royal district in Silla. However, his family did not have the power. He left in 662 to study in Tang(唐). From there, he learned Esoteric Buddhist philosophy. At this time, The early Esoteric Buddhism is developed greatly. The late 7th century, The early Esoteric Buddhism h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ddle Esoteric Buddhism. He has learned these thoughts in Tang. After that, Hyetong returned to Silla in 665 years. King Sinmun(神文王) built the Bongseong-temple(奉聖寺) in 685. Hyetong was deeply involved in this work of building the temple. The Bongseong-temple was built to show off King Sinmun’s accomplishments. However, he was persecuted to the King Hyoso(孝昭王). Because he was involved in a Junggong’s(鄭恭) rebellion. But he was pardoned and became the Guksa(國師, National Preceptor). A dharani(陀羅尼) is the point of Hyetong’s thought. His nickname, Junseung-Kaggan(尊勝角干) was based on the Usnisavijaya-nama Dharani Sutra(佛頂尊勝陀羅尼經). Usnisavijaya-nama dharani faith was prevalent in East Asia since the 8th century. And his incantation is the altar and add up a dharani. This method comes in the Tuoluonijijing Dharani’s collections of Sutra(陀羅尼集經). Hyetong learned how to make an Esoteric Buddhist altar in the Tuoluonijijing Dharani’s collections of Sutra. As such, he has an interest in a variety of dharani sutra. This dharani faith was for the people. Dharani faith was widespread in Silla by Hyetong. Since the late 7th century, various dharani sutra were imported to Silla. After that a dharani was one of the criteria to select high priest of Buddhism. On the other hand, prophetic dharani faith also appeared in the late 9th century. Because social confusion intensified at the time in Silla. This is disprove the wide spread of dharani faith.

      • KCI우수등재

        패트릭 캐바나의『대기근』에 나타난 포스트민족주의 -아일랜드 민족국가 이데올로기 비판

        김연민 ( Yeon Min Kim ) 한국영어영문학회 2014 영어 영문학 Vol.60 No.2

        In The Great Hunger (1942) Patrick Kavanagh opens an Irish postnationalist discourse. Taking advantage of historical revisionism and postcolonialism, he not only demystifies a romantic nationalist ideology rooted in rural Ireland but also searches for an autonomous literary tradition free of the Irish Literary Revival, supposedly an outcome of a colonial influence. As a farmer-poet, Kavanagh deconstructs in two ways myths of rural areas, to which the Revivalists aspire. Contrary to Revivalism, he reveals that rural Ireland is not an idealized place where national identity arises and individual spirits are restored. It is instead a cruel place where farmer Maguire, deprived of health, wealth, and love, is tortured by hard labor in the field, moral regulations imposed by the Church, and his mother`s domestic authority, all of which leave him unmarried until age sixty-five. Kavanagh also challenges the Revivalist tradition, led by W. B. Yeats commonly referred to as the poet of the nation, by indicting its reliance on former colonial authority and its lack of a sense of communal autonomy, both of which are diagnosed as “provincialism” by Kavanagh. Given that modern Irish literature has been strongly colored as nationalistic during the course of anticolonial resistance, Kavanagh`s critique of the Revival in The Great Hunger, whose proponents blindly beautify the lives of farmers, runs directly against the grain of the founding ideology of the Irish nation-state. His voice, like that of a whistle-blower, disclosing the harsh realities of rural Ireland, ushers in a “post”-nationalist perspective on nation and national myths in Irish poetics.

      • KCI등재

        신라 하대 다라니신앙과 그 의미

        김연민(Kim, Yeon-min)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9 한국고대사탐구 Vol.33 No.-

        다라니는 대승불교가 확산하면서 불교의 주문으로 기능했다. 3~4세기 한역경전의 다라니는 주로 현세이익을 목적으로 쓰였다. 그러다가 7세기에 들어 점차 성불이 강조되기 시작했다. 이런 성향을 담은 다라니 경전은 빠르게 신라로 전래되었다. 7세기 중후반부터 유행을 시작한 다라니신앙은 현세이익을 목적으로 하면서도 불경에 준하는 수행방편이었다. 이에 따라 신라탑에는 다라니 봉안이 일반화되었다. 9세기 신라 하대에는 다라니신앙이 폭넓게 유행했다. 신라 대덕의 선발에 총지가 포함된 사실은 다라니의 교학적 이해가 심화되어 있었음을 증명한다. 9세기에는 다라니 전문 승려가 활동했다. 반면 같은 때 사회혼란에 따른 기층민의 동요를 반영한 다라니신앙도 나타났다. 이것은 토착신앙과 혼재된 양상을 보인다. 신라 하대불교는 세련된 선종사상을 성립시켰는가 하면 말법의식의 미륵신앙이 유행하기도 하였다. 이렇게 상반된 양상은 신라인에게 익숙했던 다라니신앙에도 투영되었다. 철원 발삽사의 치성광여래상은 궁예가 밀교의 치성광여래 신앙을 수용했음을 알려준다. 치성광여래는 일자금륜불정이 성수신앙의 중심으로 설정된 부처이다. 치성광여래 신앙은 전륜성왕과 명왕 관념이 내재되어 있으며 강한 호국신앙을 갖고 있었다. 미륵불이자 전륜성왕임을 표방한 궁예에게 치성광여래 신앙은 통치에 유리한 것이다. 다만 그것은 토착신앙과 혼재된 모습을 보인다. 궁예의 치성광여래 신앙은 9세기 후반 유행했던 다라니신앙의 연장으로 볼 수 있다. 궁예는 이를 통해 동요하는 기층민을 포섭하고자 하였다. Today, Dharani is a Buddhist incantation, but not at first. Dharani was originally a mnemonics of Mahayana Buddhism. The spread of Mahayana Buddhism has strengthened the magical function of Dharani. In the sutra of the 3・4th centuries, Dharani used it mainly for the purpose of pursuing current interests. Then, in the 7th century, Buddhahood by Dharani was emphasized. As a result, Dharani faith became popular in Silla in the middle of the 7th century. In Silla, Dharani was the equivalent of a sutra. And it has become common to put Dharani in Silla’s pagoda. Dharani faith was widely popular in Late Period of Silla in the 9th century. At that time, Silla people used Dharani everyday. Dharani was also an important virtue of Silla’s Daedeok(大德). Daeduk is a high Buddhist monk appointed by the king. This indicates that Dharani’s philosophical understanding has deepened and that he has been treated as an important part of the entire Silla Buddhist community. Meanwhile, Dharani faith, which reflects social chaos, was also popular at the same time. This is a mixture of Silla’s indigenous faiths. In Silla in the late 9th century, two kinds of Dharani faiths were popular. Cheorwon in Gangwon Province, there was a temple called Balsapsa(勃颯寺) in 918. At that time, it was the capital city of Hugoguryeo(後高句麗), founded by Gungye(弓裔). Balsapsa Temple was enshrined with Tejaprabha Buddha and Kuyo(九曜, nine stars spirits of Buddhism). Gungye embraced the Tejaprabha Buddha’s faith of Esoteric Buddhism. Tejaprabha Buddha is Ekaksara-usnisacakra. Tejaprabha Buddha faith has inherent in the ideas of Cakravarti-raja and Vidya-raja. For Gungye, who declared himself a Maitreya Buddha and a Cakravarti-raja, the Tejaprabha Buddha faith was advantageous to the rule. But Gungye’s Tejaprabha Buddha faith was a mixture of indigenous Faiths. In other words, he accepted Dharani faith, which became popular in the late 9th century. Gungye tried to use it to win people’s support.

      • KCI등재

        눈의 깜박임에 대한 연구 : I

        공명옥,김연민,Gong, Myeong-Ok,Kim, Yeon-Min 대한인간공학회 1985 大韓人間工學會誌 Vol.4 No.1

        Eye blinking in case of three visual tasks is studied; wall hard-copy and color monitor. The eye blinking is checked by eye-status detector. The data observed are (1) the average number of eye blinking (2) the average time of eye blinking for three minutes in case of all three visual task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times (or numbers) of eye blinking are different among three tasks. (2) The average time (or number) of eye blinking of wall is different from hard-copy and color monitor tasks. (3) But the average time (or number) of eye blinking of hard-copy is not different from that of color monitor.

      • 블록 암호화 알고리즘의 부채널 공격에 대한 분석

        영섭(Young-Seop Kim),최재학(Jae-Hak Choi),김연민(Yeon-Min Kim),박인호(In-Ho Park) 대한전자공학회 2016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6

        A performance of the IoT(Internet of Things) device is limited in the CPU, memory and so on. The limited IoT device is required to use these cipher algorithms such as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 LEA(Lightweight Encryption Algorithm). However, these cipher algorithms have a disadvantage that vulnerable to side-channel attack. Therefore, this paper describes the cipher algorithms and the analysis of the power in side-channel attack. Also this paper suggests for the corresponding robust method of the side-channel attack.

      • KCI등재

        CT 데이터와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뼈 모형 X선 팬텀 제작에 관한 연구

        윤명성 ( Myeong-seong ),한동균 ( Dong-kyoon Han ),김연민 ( Yeon-min Kim ),윤준 ( Joon Yoon ) 한국방사선학회 2018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2 No.7

        3-dimensional(D) 프린터는 컴퓨터로 모델링 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3차원의 입체 물체를 출력할 수 있는 장비이다. 이러한 특징을 방사선과학 분야와 융합하여, CT 데이터를 이용한 뼈 모형 X선 팬텀제작 등에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Pelvis팬텀을 CT 스캔하고 얻어진 데이터로 Fused Filament Fabrication(FFF) 3D 프린터의 소재인 PLA, Wood, XT-CF20, Glow fill, Steel 필라멘트를 이용하여, 뼈 모형 팬텀을 제작하였다. 기존의 Pelvis 팬텀과 3D 프린터로 제작된 5가지 재질의 팬텀을 동일한 조건으로 CT 스캔 하고 얻어진 영상에서 Hounsfield Unit(HU)을 측정하였으며, 진단용X선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SI, SNR을 측정하여 각 팬텀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지 X선 검사 조건 내에서 X선 팬텀은 glow fill 필라멘트가 가장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기반으로 필라멘트의 특성들을 알 수 있었으며, X선 팬텀 제작에 대한 실용성을 확인하였다. A 3-dimensional (D) printer is a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a three-dimensional solid object based on data modeled in a computer. These features are utilized in the bone model X - ray phantom production etc using CT data by fusing with the radiation science field. A bone model phantom was made using data obtained by CT scan of an existing Pelvis phantom, using PLA, Wood, XT-CF20, Glow fill, Steel filaments which are materials of Fused Filament Fabrication (FFF) 3D printer.Measure Hounsfield Unit (HU) with images obtained by CT scan of the existing Pelvis phantom and five material phantoms made with 3D printer under the same conditions,SI and SNR were measured using a diagnostic X-ray generator, and each phantom was compared and analyzed.As a result, the X - ray phantom in the X - ray examination condition of the limb was found to be most suitable for the glow fill filament.The characteristics of the filament can be known to the base of this research and the practicality of X - ray phantom fabrication was confirm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