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공공복지인가? 민간복지인가?

        김연명(Kim Yeonmyung),박상희(Park Sanghee)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2 비판사회정책 Vol.- No.36

        사회복지법인은 한국 사회복지서비스 공급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지만 공공적 성격과 민간적 성격이 혼합되어 있어서 그 성격은 명확히 규명되지 못하였다. 특히, 사회복지법인이 운영하는 복지시설, 즉 복지공급자들을 민간부문으로 볼 것인가 아니면 공공부문으로 볼 것인가에 대해서는 학계의 의견이 통일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사회복지법인이라는 복지공급자의 성격을 규명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복지법인의 성격규명을 위해 두 가지 분석을 하였다. 첫째는 사회복지법인의 법적 근거, 소유구조, 그리고 공공성을 기준으로 사회복지서비스 공급주체를 분류하고, 사회복지법인이 공공과 민간의 스펙트럼 중에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둘째, 사회복지법인의 성격을 설립주체, 소유권, 재원, 비영리성, 그리고 가격규제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복지법인은 민간부문이라기보다는 준공공조직이며, 넓은 의미에서는 공공부문에 포함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회복지법인의 성격분석에서 ‘공공기관’의 특성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복지법인이 운영하는 복지기관들은 민간부문이 아닌 공공부분의 복지공급자로 규정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러한 성격 규정은 그동안 사회복지법인을 민간부문의 복지공급자로 보는 일부의 시각과 반대되는 결론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 of the social welfare corporation. The social welfare corporation has played a major role as the Korean social welfare provider. However, it has not clearly defined its character, whether being public or private, because it is a hybrid organization and diverse stakeholders consider it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find out where on the spectrum between the public and the private, social welfare corporations fall, classifying the social welfare providers based on the legal basis, the ownership structure and the publicity. Then it analyzes the character of the social welfare corporation in terms of its establishment, the ownership and funding structure, and the nonprofit attribute and price regul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social welfare corporation belongs to the public organization rather than private nonprofit one in a broader sense. In addition, the public characteristics dominate in nature. It is necessary to redefine the social welfare corporation as the public organization. This study makes three suggestions. Firstly, the social welfare corporation in nature is the public organization. It refutes the facts that most studies has argued that the private nonprofit welfare organization has led to Korean social welfare service. Secondly, the social welfare corporation is the public organization providing public services with the public funding. It is the public assets. Thirdly, the social welfare corporation is the typical Korean nonprofit organization. When referring to the social welfare corporation, it is much appropriate to use the term of ‘the public or social nonprofit organization’ rather than ‘private nonprofit organization’. The Social welfare corporation has not been established a public administrative system by government but has taken its public function and role. Establishing its identity as public one is required to.

      • KCI등재

        2017년~2018년 가계동향조사 소득분배 결과의 재검토

        주수정(Soojeong Joo),김연명(Yeonmyung Kim)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21 비판사회정책 Vol.- No.73

        이 글은 2017년과 2018년 가계동향조사에서 나타난 소득분배 결과를 점검하여 소득분배 악화 원인에 대한 논란을 재조망한다. 이를 위해 두 가지 연구가정(반사실적 가정) 즉, 표본 특성이 변화되지 않았다는 가정과 표본의 대표성이 저하되지 않았다는 가정을 채택하여 2017년과 2018년의 소득분배상태를 재분석하였다. 첫 번째 가정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재가중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두 번째 가정을 위해서는 반복비례가중법을 이용한 사후 보정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어떠한 방식으로 표본 개편의 영향을 통제하더라도 2018년 1분기의 소득 분포는 가계동향조사 원자료에서 보다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2017년~2018년 가계동향조사 원자료의 분배지표는 소득악화 현상이 과대평가되어 있으므로 가계동향조사 소득부문 조사 결과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는 데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sed the income distribution results in the HIES(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from 2017 to 2018 for revisiting the issues and debates on the causes of rising inequality. To this end, we reanalyzed the income distribution in 2018 and 2017 by adopting two research assumptions(counter-factual assumptions). One is the assumption that the sample characteristics have not changed, and the other is the assumption that the sample representativeness has not deteriorated. To satisfy the first assumption the reweighting method was used and iterative proportional weighting method was used for the second assump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income distribution in the first quarter of 2018 improved more than the original data of the household trend survey, no matter how the effect of the sample reorganization was controll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attention should be paid to accepting the results of the HIES income sector at face value because the distribution index of the 2017~2018 original data of the household trend survey is overestimated in terms of income inequ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