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종플루 뉴스 이용 정도가 개인 및 공중에 대한 건강보호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여라(Yeora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10 한국언론정보학보 Vol.51 No.3

        본 연구는 신종플루 관련 뉴스 이용 정도가 개인 및 공중에 대한 건강보호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호동기이론(protection motivation theory)을 통해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신종플루 뉴스 이용 정도를 독립변인으로, 심리적 보호동기요인(신종플루에 대한 인지된 심각성, 취약성, 대처효능감, 자기효능감)을 매개변인으로 그리고 개인과 공중에 대한 건강보호 행위의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대학생 4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각 구성요인 간의 인과관계를 연구모형으로 설정하고 구조방정식모델(SEM)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개인 건강보호 행위의도’ 연구모형에서 신종플루 뉴스 이용 정도는 신종플루 관련 보호동기 요인들에 유의미한 인과관계를 나타냈으나 ‘대처효능감’은 제외되었다. 또한 세 가지 보호동기 요인(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취약성, 자기효능감)들은 개인 건강보호 행위의도에 유의미한 정적 인과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공중 건강보호 행위의도’ 연구모형에서 신종플루 뉴스 이용 정도는 ‘대처효능감’을 제외한 모든 보호동기 요인에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냈으며 보호동기 요인들 중에 ‘인지된 취약성’과 ‘대처효능감’만이 공중 건강보호 행위의도에 유의미한 정적 인과관계를 나타냈다. 두 연구모형의 공통점으로는 신종플루 뉴스이용 정도가 개인 또는 공중 건강보호 행위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 질병에 대한 건강보호 행위의도에 있어서 건강보호 대상(자신 혹은 타인)이 누구인가에 따라 심리적 보호동기들은 다르게 작동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news usage on Influenza A(H1N1) and media users’ behavioral intention toward health protection. Specifically, the study investigated causal relationships among exposure of media information on Influenza A(H1N1) as an independent variable, psychological protection motivation factors such as perceived severity, vulnerability, response efficacy, & self-efficacy as mediated variables and behavioral intention on personal and public health protection as dependent variables using structure equation model analysis.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administrated to 460 college students. The result indicated the followings. First, the level of news usage on Influenza A(H1N1)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influencing behavioral intention toward personal and public health protection. Second, perceived severity, vulnerability, and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 variables on behavioral intention toward personal health protection whereas perceived vulnerability and response efficacy were significant on public health protection. The function among factors in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is dependent upon whom protected from illness.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유사보도 규제 쟁점의 입법론적 고찰

        심우민(Woomin Shim),김여라(Yeora Kim) 한국언론법학회 2014 언론과 법 Vol.13 No.2

        2013년 일반 방송채널사용사업자가 정부의 승인 없이 보도 방송을 하고 있다는 이른바 ‘유사보도’의 문제가 방송통신위원회에 의해 제기된 바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유사보도의 개념과 범위는 물론이고, 이에 대한 규제가 타당한 것인지에 대해 본격적인 논의가 없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심도 있는 검토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번 정부의 유사보도 규제 움직임과 관련하여 몇몇 언론들은 ‘언론 길들이기’, ‘언론 통제’, ‘비판보도에 재갈을 물리려는 조치’와 같은 표현으로 반대의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실제로 실정법상 규정은 존재하지만 현실에서는 엄격한 규제가 이루어지지 않고 사업자의 자율에 맡겨왔기 때문에, 유사보도 관련 규제를 검토한 후 관련 입법의 정비를 진지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유사보도의 규제와 관련하여, 현실적 차원에서의 ?방송법?상 방송분야 분류 및 보도 개념의 모호성을 지적하였다. 또한 이에 기반하여 유사보도 관련 규정의 연혁 및 체계 등을 입법론적으로 검토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 유사보도 관련 규정들은 입법적 판단에 있어 포괄위임 금지의 원칙, 과잉금지의 원칙 그리고 명확성의 원칙을 위반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한국사회 방송규제의 문화적ㆍ역사적 특수성을 고려하면서 장기적인 입법적 개선이 요구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 사업자의 신뢰보호, 부수적 편성 관련 규정의 정비, 그리고 공론화 과정을 거친 가이드라인 제정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Pseudo News’ issue has been brought up by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KCC) in 2013. According to KCC, some program providers has been doing report broadcasting without government approval. However, since the concept and permissible range of ‘Pseudo News’ has not been discussed enough, we are not sure whether the regulating the ‘Pseudo News’ is valid or not. The press expresses concerns and considers the regulation of ‘Pseudo News’ by KCC as ‘the taming of the media’, ‘the press control’, or ‘an attempt to gag the press’. Even if we have a provision about the regulation of ‘Pseudo News’, it has not been applied strictly and left it up to the autonomy of the program providers. Thus we need to examine the related regulation and consider the revision of the law. This study pointed out the ambiguity problem of the classification of broadcasting area and the concept of report broadcasting. Then the history and the system of the regulations of ‘Pseudo News’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legislation perspectives. The study concluded that the provisions of ‘Pseudo News’ had a high probability of violating the ‘Principle for Prohibition of Comprehensive Delegation’, ‘Proportionality Principle’, and ‘Void-for-Vagueness Principle’. The regulation of ‘Pseudo News’ should be approached by a long-term legislative review of the cultural and historical context of broadcasting regulations in Korea. Finally, we presented that the protection of trust for the existing program providers, the regulation arrangement of incidental programming, and the establishing guidelines by the process of public debate should b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