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산이씨의 『고행록』으로 본 조선후기 사대부가 여성의 삶

        김엘리 ( Kim El-ly ) 한국여성사학회 2017 여성과 역사 Vol.0 No.26

        본고는 한산이씨가 환갑 무렵에 자신의 일생을 반추하며 쓴 『고행록』을 통해 조선시대 사대부 여인의 삶을 살펴본 것이다. 한산이씨는 선조대 영의 정을 지낸 아계 이산해의 현손녀로 1659년에 태어나 69세의 삶을 살았다. 1676년 18세의 나이로 유명천의 三娶로 출가하였다. 남편 유명천은 숙종대이조 예조 호조판서를 역임한 명신으로 한산이씨는 유명천과 결혼하여 남편의 품계에 따라 10대 때 정부인 외명부 직첩을 받게 되었다. 남편 유명천은 진주 유씨 대종가 종손이었으며, 정치적으로 남인계 인물이었다. 숙종대환국정치로 인해 3차례 유배형을 선고 받는다. 외명부 직첩을 받은 영화로움은 정치적 피화로 인해 고행으로 바뀌게 된 것이다. 유배형은 왕의 특별사면이 있어야 해배될 수 있는 형벌로 죽을 때까지 고향으로 돌아오지 못하는 重刑이다. 한산이씨는 남편의 해배가 기약이 없다고 판단하고 남편의 배소로 이주하여 사는 방식을 선택하였다. 縣吏와 驛卒의 집을 옮겨가며 우거하기도 하고, 절도에 안치되어 이거에 어려움도 있었지만, 유배 중인 남편을 대신해 집안의 상례와 장례를 주관하는 등 든든한 동반자가 되어 주었다. 한산이씨는 『고행록』을 저술해 후손에게 전한다. 가문의 시련이 오더라도 宗婦라면 의연히 받아들이고 감내해야 한다는 것을 자신의 고행을 통해 후대에 알리고자 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종부로서 소임을 다하기 위한 삶의 태도는 정치적 피화 속에서도 가문을 지켜준 정신이 되었기 때문에 그녀가 저술한 『고행록』은 후대에 전사되어 가문에 전승되는 이유일 것이다. This thesis examines a gentry woman`s life in the Joseon Dynasty focusing on the book 『Asceticism』written by Mrs. Hansan Lee when she was around 60 years old. Mrs. Hansan Lee, a granddaughter of Agae Leesanhye who served as a prime minister of the Joseon dynasty, was born in 1659 and lived to 69 years old. In 1676 when she was 18 years old she got married to Umyungchun. Her husband Umyungchun successively filled various government posts, so Mrs. Hansan Lee was appointed to the Jungbuin Oemyeongbu. Umyungchun was the succeeding grandson of the U family in Jinju and one of the Namingae political line. He was sentenced to exile three times during King Sukjong`s political upheaval. Glory turned to asceticism because of the political struggle. Exile is a punishment, which can only be lifted by a pardon from the King. But even in the case of pardon return to one`s own hometown is impossible. In these circumstances Mrs. Hansan Lee decided to move to her husband`s place of exile. She had to transfer to several places but managed to supervise conventional practices and funeral rites. Mrs. Hansan Lee wrote the book 『Asceticism』for her descendants. She believed she should accept and endure the family`s hardship, and wanted to inform her descendants of her own specific life experiences. Her attitude towards life became the standard to console the family during political struggle. In this way her book 『 Asceticism』 became widely read.

      • KCI등재

        19세기 말 高宗代 李奎承의 望京庵 重修에 관한 고찰

        김엘리(Kim, El-Ly) 역사문화학회 2017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0 No.2

        본고는 망경암에 대한 기존의 견해를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여 재고하고, 망경암 조성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망경암마애여래좌상 주변에 각자된 명문을 분석하고, 망경암칠성대중수비와 망경암소비의 비문을 살펴 망경암에 관한 역사적 사실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먼저 망경암을 왕실 주도의 원찰로 보고, 고려 말에서 조선 초에 이르기까지 왕들이 친히 행차하여 제의하였다는 견해를 재고하였다. 이 같은 의견은 망경암칠성대중수비의 명문과 망경암칠성대 각자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중수비의 명문에 따라 망경암의 조성시기를 고려시대까지 소급할 수도 있겠으나, 문헌상에 확인된 바는 없다. 따라서 왕들이 친히 제의를 행한 암자로 보기는 어렵고, 원찰의 기능을 했던 망경암 인근 봉국사의 영향으로 형성된 설화가 전승된 것이라고 추정된다. 망경암 칠성대 명문에 조선전기 인물인 평원대군과 제안대군이 각자되어 있고, 왕과 왕실의 일원이 각자되어 있어 망경암이 왕실주도의 사찰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소비와 중수비의 명문 분석을 통해 이 각자를 새긴 주체는 왕실이 아닌 망경암 조성자 이규승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칠성대 명문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19세기 말 고종대 일정기간동안 각자되었 으며, 대한제국 이전과 이후 두 차례 이상 시간차를 두고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망경암과 칠성대를 조성한 이규승은 칠성신앙과 불교를 바탕으로 왕실을 축원하고, 개인적인 구복행위를 하였다. 이러한 제의행위는 평원대군과 제안대군의 祀孫으로 정해진 1872년경부터 시작되었다고 추정되며, 망경암 칠성대각자도 이 무렵부터 각석되었다고 짐작된다. 망경암칠성대에서 이루어진 제의행위를 배경으로 이규승은 관료로 진출하게 되었고, 그의 아들 이용호에까지 영향을 미쳤으며, 영락했던 그의 집안이 경성 부호라는 칭호를 얻을 정도로 번성할 수 있었다. 망경암은 이규승 개인의 염원과 더불어 19세기 말 고종대의 역사가 투영되어 있다. 따라서 망경암에 관한 역사적 사실관계를 논의함으로써 망경암의 문화재적 가치를 높이는 계기가 되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thesis reconsiderated the previous opinions about Mangkyung-am Temple based on the historical facts and studied building up Mangkyung-am Temple. This thesis analyzed the inscription on Mangkyung-am-ma-ae-yeolae seated statue, which was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asset, then illuminated the historical facts about Mangkyung-am Temple, with the epitaph on Mangkyung-am Chilsung-dae- jungsu stele and Mangkyung-am-so stele. First, I regard Mangkyung-am Temple as the royal temple and reconsiderated the opinion that Kings from the end of Goryeo Dynastyto the early Joseon Dynasty visited and ancestral rites personally. This opinion is based on the epitaph of Mangkyung-am Chilsung-dae-jungsu stele and the inscription of Mangkyung-am-so stele built by LeeGyuseung. The period of making Mangkyung-am Temple can be hold to be the Goryeo Dynasty but it isn’t sure. So, this hermitage cannot be the place the kings performed ancestral rites personally, and it is presumed that the tale was handed down by Boungguksa Temple around Mangkyung-am Temple. The epitaph has the names of Pyungwondaegun and Jaeandaegun who were figures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because there were also the members’names of royal family. That’s the reason Mangkyung-am Temple has been regarded as the royal family’s. Bu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nscription on them, the main agent of Mangkyung-am Temple is LeeGyuseung not the royal family. Besides, the result of the analysis tells this inscription was made during Gojongdae in the late 19th and that it was made in twice on different timetables. LeeGyuseung prayed personal subsistence and the royal family based on Chilsung religious belief and Buddhism. His action of memorial service was begun since 1872 when Pyungwondaegun and Jaeandaegun were appointed Sasuon, which means people should hold a memorial service for their ancestors, the epitaph of Mangkyung-am Chilsung-dae-jungsu stele is estimated at those days. This proved by the part it was 20 years when LeeGyuseung prayed for good fortune at the inscription of Sobi in 1893. Due to this action of memorial service at Mangkyung-am Chilsung-dae, LeeGyuseung launched into politics and it affected his son, LeeYoungho, his poor family got to be rich. Mangkyung-am Temple by personal wish and the history of Gojongdae in the late 19th. Therefore, the cultural assets value of Mangkyung-am Temple is improved since the historical fact relation about Mangkyung-am Temple has been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