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연의 도덕적 지위에 대한 비판적 고찰

        김양현 범한철학회 2006 汎韓哲學 Vol.43 No.4

        Eine kritische Betrachtung ueber den moralischen Status der Natur Yanghyun Kim Wie umfangreich sind wir verantwortlich fuer die Natur? Welchen moralischen Status der Mensch bzw. die nichtmenschlichen Naturwesen haben. Diese Fragen lassen sich zu beantworten, ueber die Problematik des moralischen Status der Natur kritisch zu diskutieren. Daraus ergibt sich folgende Punkte: (1) Es ist klar, dass die Moral zwar als ein eigenes Geschaeft des Menschen betrachtet werden muss, aber die Gegenstaende der moralischen Beruecksichtigung nicht nur die Menschen als Moralsubjekte beschraekt werden sollen. (2) Nach meiner Auffassung kann der moralischen Status den nichtmenschlichen Naturwesen zuschrieben werden, indem man zwischen einer moralischen Gemeinschaft im engeren Sinn und einer im weiteren Sinn unterscheidet; wenn die moralische Gemeinschaft im engeren Sinn auf alle Wesen referiert, die zugleich Traeger von Rechten und Pflichten sind, dann die moralische Gemeinschaft im weiteren Sinn auf alle Wesen referiert, die Traeger von moralischen Anspruechen sind, unabhaengig davon, ob sie moegliche Adressaten von Pflichten sind. (3) Es ist die Instanz moralischer Verantwortung dadurch deutlich zu machen, dass die verantwortungsfaeigen und autonomen Personen Mitglieder der moralischen Gemeinschaft im engeren Sinn sind. 【Stichwörter】moralischer Status der Natur, moralische Gemeinschaft, holistischer Anthropozentrismus 전통 윤리에서는 도덕적인 행위능력이 없는 동물이나 식물, 그리고 생명이 없는 자연물은 도덕의 주체가 될 수 없음은 말할 필요도 없겠고, 도덕의 객체, 곧 의무의 대상이나 도덕적인 고려의 대상에서 배제될 수밖에 없었다.攀 K. Bayertz, “Praktische Philosophie als angewandte Ethik", in: ders. (hrsg.), Praktische Philosophie. Grundorientierunen angewandter Ethik, Hamburg 1991, 7-47쪽, 37쪽 이하 참조; 전통 윤리학의 한계와 관련된 국내의 논의로 김일랑, 인간 이외의 존재의 도덕적 지위와 권리, 대한철학회 편, 철학연구, 제69집(1999), 143-172쪽, 144쪽 이하 참조.攀攀 환경윤리학의 관점에서 볼 때, 전통 윤리의 인간중심적 토대가 불러온 귀결은 분명하다. 전통 윤리학은 도덕적 규범과 규칙의 타당한 범위를 인간 상호간의 행위에만 한정함으로써, 인간에게 자연과의 관계에서 도덕적으로 무한히 자유로운 행위의 공간을 창출해 주었다. 그리고 원했든 원하지 않았든 간에 결과적으로는 인간의 자연이용이나 파괴행위가 도덕적 판단의 영역밖에 위치함으로써, 인간의 자연이용과 실천 행위가 무차별적으로 정당화될 수 있는 근거가 제공되었다. 한마디로 말해서 인간의 이익과 욕구충족만이 항상 자연 존재의 이익관심보다 우선적으로 고려될 수밖에 없었다. 전통 윤리학의 인간중심적 토대에서 비롯된 귀결들을 이렇게 이해하게 되면, 전통 윤리학의 인간중심주의적 관점은 포기되거나 수정되어야 하고, 도덕적 책임과 의무의 대상이 새롭게 숙고되어야 할 것처럼 보인다. 또한 인간만이 아니라 자연 존재를 포괄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도덕공동체에 대한 이론적 숙고가 필수불가결한 일처럼 보인다.

      • KCI등재

        비만 교육자 프로그램의 메인 주제 결정 및 향후 과제

        김양현,임지선,김종화,김정환,임정현,신혜정,신윤아,김용진,이규래 대한비만학회 2016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25 No.1

        After discussion about the need to develop an obesity educator training program and certification for obesity educators, the Education Committee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has developed and determined the main theme for the Obesity Educator Training Program implemented as a workshop and public hearing. We reviewed the process of the determination of the main theme and discuss topics such as subjects, operation of the program, and certification processing to design a credible obesity educator training program. 대한비만학회 교육위원회에서는 비만 교육자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하고, 내부 워크숍 및 공청회를 통해 구체적인 비만 교육자 프로그램의 주제를 결정하였다. 하지만 현재 대상자와 운영 방식 및 인증 방법 등 향후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남아있다. 현재까지의 프로그램 개발과정을 고찰하여 향후 공신력 있는 비만 교육자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 KCI우수등재

        Bulk Current Injection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Power Electric 모듈 검증 및 최적화 연구

        김양현,서철헌 대한전자공학회 2022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9 No.11

        본 논문은 전기차 파워모듈의 제어시스템 설계 단계에서 주변장치로부터 노이즈가 커플링 되어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검증, 최적화를 위한 시뮬레이션 기술을 확립하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통한 BCI해석 기술을 제안하여 자동차 부품 EMS시험 중 간섭 잡음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는 BCI(Bulk Current Injection) 시뮬레이션 기술을 개발하였다. 전장 부품 제어시스템에는 많은 복잡한 모니터링 항목이 포함되어 있으며 각 시스템에는 다수의 전자 제어 장치가 통합되어 있다. 이에 따른 자동차 전자파 내성 면역 문제가 많이 발생하고 EMC 규격이 강화되는 추세이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노이즈로부터 모듈의 강건 설계를 검증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기술을 통한 전자 장치에 대한 PLC 통신의 만족스러운 내성을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BCI인증 시험 규격인 ISO11452-4를 시뮬레이션 상에 유사하게 모델링하여 가상설계검증을 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여 영향을 검증할 수 있는 결과를 얻었다.

      • KCI등재

        해양경찰의 드론 활용을 위한 임무특화교육 방안

        김양현 한국해양경찰학회 2019 한국해양경찰학회보 Vol.9 No.2

        The origin of 'drone' means male bees because the Unmanned Aerial Vehicle’s propeller sound is like that of male bees flying in the sky. A drone was used for the military purpose for the first time. Afterwards, drones got compact and functionalized, and has been being used for many purposes not only of recreation but of product delivery etc. among people. Recently, in order to its wide and practical use of drones, various national and public organizations try to maximize the use of drones through its developing duty function and loading equipment.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drones to perform public service mission would be rapidly increased. The marine police has been made efforts to introduce drones with positive interest in performing their jobs through the Unmanned Aerial Vehicle. Lately, the marine police has performed a pilot project to limit regulation by being selected to the 'Drone operation project: for Coast Guard·Field Search’. It is expected that the marine police would implement drone to inshore patrol, search and rescue, marine pollution, fishery inspection, etc. by using drones in the future. Specified training reflecting speciality of the Marine Police is desperately required for their duty performance by drone application in the marine environment. Namely, the training can be called “a drone duty specified training” which refers to a training for building its control capacity and utilizing those duty equipment. This study would mainly discuss the drone duty specified training when the marine police perform their duties. To present the plan for the duty specification training, this study would also explore the main duty of the marine police and examine the available area of drone use. 최근에는 드론을 활용하기 위해서 다양한 국가기관 및 공공기관에서 임무기능 장비의 개발 및 탑재를 통해 드론의 활용을 극대화시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해양경찰에서도 드론을 활용한 연안경비, 인명수색, 해양오염, 어업감시 등이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렇게 해양경찰의 임무에 있어서 드론의 활용을 위해서는 해양환경에서 활용 가능하고 해양경찰의 특수성이 반영된 특화교육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특화된 교육을 드론임무특화교육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드론의 기초조종능력을 포함한 각종 현장의 특성에 맞는 임무에 특화된 조종능력을 교육시키고 현장에서 필요한 각종 임무장비의 활용과 수집된 정보를 처리하는 기술의 교육이라고 할수 있다. 이러한 임무특화교육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 해양경찰의 주요임무와 드론활용 가능영역에 대해 제시하였다. 아울러 임무특화교육을 위한 방안으로 임무특화교육을 위한 이론 및 실무 강사진의 확보, 이론 교육을 위한 강의장 및 상황별 첨단가상훈련 교육장 확보, 실습교육을 위한 허가된 드론 훈련장 확보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해양경찰분야 임무특화교육 모델의 개발을 위해 드론의 조종의 기초교육이라고할 수 있는 초경량비행장치 무인멀티콥터 조종자 자격을 갖출 수 있는 커리큘럼을제시하였으며, 전문교육으로 해양경찰 임무특화 일반교육과 실무교육으로 구성하여주요 커리큘럼을 제시하였다. 일반교육에서는 각종 임무장비로 수집된 자료들을 처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적인 기술들을 제시하였다. 또한 실무교육에서는 해양의 극한 환경을 극복하여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할 수 있도록 특화된 조종능력 향상을위한 커리큘럼을 구성하였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