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우리나라 고등교육 수급 불일치 규모 추정

        김안국(Kim Ahn Kook) 한국사회경제학회 2015 사회경제평론 Vol.28 No.2

        대학 진학의 급증으로 인한 과잉학력의 문제를 보기 위해서 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학력의 수준과 내용이 실제 공급과 규모면에서 얼마나 차이가 나는가를 정확하게 추정할 필요가 있다. 직업사전에 정의된 직종별 필요 교육 수준으로 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학력별 인력의 규모를 추정하고 이를 실제의 취업자의 학력별 인력 규모와 비교했을 때 2011년 현재 석박사는 88만명, 전문대졸은 43만 정도 과잉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전공 직종의 매트릭스를 작성하고 2011년 기준으로 전공별 대학 졸업자의배출과 직종별 취업자의 증감을 비교하였을 때 대부분의 전공은 졸업자 배출의 규모가 취업자 증가폭보다 훨씬 컸으며 전체적으로 수급 불균형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잉학력의 문제 해결을 위해 교육 정상화의 개혁과 전공직종 취업률의공시제도 구축이 필요하다. In Korea, it is conjectured that there are much more higher education graduates than needed by industry. This article has figured out how big is the discrepancy between demand and supply of higher education graduates. This article has estimated the size of oversupply of higher education graduates by using the information of necessary education in the occupations in dictionary of occupational titles. The results reports that master and doctor degree holdess were oversupplied 880,000 more than necessary scale, junior college graduates were oversupplied 430,000 more than necessary scale in 2011. When this article compared the graduate's number with the increment of worker's number in 2011 along with the matrix for occupation major, then the results said that in general the graduates' number of some major usually outnumbered over the increment of the right matching occupation worker's number and the unbalance between major and occupation is large enough.

      • KCI등재
      • KCI등재

        노동문제에 대한 통계적 분석 : 업무 및 업종 변화가 숙련에 미치는 효과: 화이트칼라 근로자를 중심으로

        김안국 ( Ahn Kook Kim ),황규희 ( Gyu Hee Hwang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3 산업노동연구 Vol.19 No.2

        이 연구는 근로자의 업무 변화가 조사된 유일한 자료인 「인적자본기업패널조사」자료를 이용하여 근로자의 업종변화 및 업무(직종)변화 등에 따른 숙련형성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가설은 동일 업무의 지속 혹은 동일 업종의 지속이 획득되는 숙련의 성격과 숙련의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분석 결과는 다음의 사항들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지지한다: (1) 직장 이동시 동일한 업무의 수행은 특정 업무에 대한 숙련, 즉 직종특수숙련을 형성한다; (2) 직장 이동시 동일한 업종을 유지하는 것은 특정 업종에서만 통용가능한 업종특수숙련을 형성한다; (3) 직종특수숙련을 획득한 근로자는 업종의 변화가 없는 경우에 숙련 향상의 단절이 없어 승진의 가능성이 높다; (4) 업종특수숙련을 획득한 근로자는 업무의 변화가 없는 경우와 업종의 변화가 없는 경우 모두에 숙련 향상의 단절이 없어 승진의 가능성이 높다. 전반적으로 이상의 결과는 하는 일의 연속성에 의한 숙련형성과 향상으로 해석된다. This study analyzes the skills formation according to the changes in job or the changes in industry, using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data in KRIVET(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Research hypothesis asserts that the continuity of job and industry influences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skills. The empirical results verify following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such that 1) the maintenance of the same job through switching work place brings job specific skills; (2) remaining in the same industry, while switching work place, cultivates the industry specific skills; (3) the holders of job specific skills have higher probabilities of job promotion if they remain in the same industry; (4) the holders of industry specific skills have higher probabilities of job promotion if they remain in the same industry and the same job. Overall, the results are explained as due to the continuity of relevant skills enhancement.

      • KCI등재

        기업지배구조의 HR 영향력 분석

        김안국(Ahn-Kook Kim)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08 産業關係硏究 Vol.18 No.2

        본 논문은 한국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지배구조와 HRM, HRD의 관련을 파악해 본 것이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기업인적자본패널조사 2005」의 자료로 회귀분석을 한 결과 외국인 지분의 역할 정도 변수는 기업의 HRM에 유의하게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대조적으로 전문경영인 체제화의 정도와 근로자 대표조직의 강도는 모두 HRD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외국인 지분 역할이 강한 것은 주주중심주의 기업지배구조를, 전문경영인 체제나 근로자 대표조직의 강함은 이해관계자 중심주의의 기업지배구조를 나타내며, 주주중심주의하에서 단기적 이익추구인 HRM에, 이해관계자 중심 주의하에서 장기적인 이익 추구를 위해 HRD에 투자하는 것이라 해석할 수 있다. This article analysed the relations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human resources among Korean firms. We used the data, HCCP(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survey) 2005 created by KRIVET(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Our analysing method was the regression analysis. Foreign investor’s role ha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 with human resources management. Special manager system and the employee’s organizational strength hav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 with human resources development. Foreign investor’s role stands for stock-holder’s view, special manager system and the employee’s organizational strength stand for stake-holder’ view. The results explain that the stock-holder’s view which focus short term revenue will likely do something on HRM, but stake-holder’s view which focus long term revenue will likely do something on HRD.

      • KCI등재

        전공공부와 영어공부의 노동시장 성과 -대졸 여성 청년을 중심으로-

        김안국 ( Ahn Kook Kim ),신동준 ( Dong Jun Shin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4 산업노동연구 Vol.20 No.2

        본고는 한국교육고용패널(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 KEEP) 자료를 이용하여 대학시절의 전공공부와 영어공부가 어떠한 노동시장 성과를 가져오는가를 숙련 성격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노동시장 성과가 다수 관측되는 여성 대졸 청년에 한정하여 취업, 괜찮은 일자리 취업, 그리고 임금을 지표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공공부와 영어공부는 취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영어공부는 괜찮은 일자리 취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영어공부는 임금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전공공부는 4년제 대졸자의 경우만 임금에 유의하게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전공-직무 일치는 임금에 유의하게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분석 결과로부터 기술변화가 빠른 시기에 괜찮은 일자리를 제공하는 기업들은 청년들의 일반 숙련을 보다 중시하고 있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2년제 대졸자의 경우 전공공부 및 영어공부가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다는 점이 발견되어 그 이유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is article analyzes what is the effect of major study and learning English during school on the labor market performance in terms of skill characteristics, using KEEP(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data. The indicators of labor market performance are employment status, employment in the decent job, and wages. The target of analysis is only female youth graduates because the most male youth have not graduated yet. Learning English is measured by the time consumed for English study and going abroad for English language training. Both major study and learning English appear not to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their employment. But learning English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mployment in the decent job. Learning English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wages. Major stud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wages just only for university graduates. The results imply that Korean firms prefer general skill to special skill. For 2 year college graduates, major study and learning English do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the labor market performance.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analyze which factors may influence the labor market outcomes of 2 year college graduates.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기업 교육훈련의 생산성 효과 분석

        김안국 ( Ahn Kook Kim ) 한국경제학회 2002 經濟學硏究 Vol.50 No.3

        This article tried to find out the productivity effects of in-firm education and training. This article used panel data which consists of firm level information 1984∼1998. Using polynomial lag distribution model, this article regressed the effect of in-firm education and training. The result is that education and training has significant three years` effects on firm`s productivity. Using stochastic frontier model, this article estimated each firm`s efficiency rate, and regressed the relations between each firm`s efficiency rate and in-firm education and training. The result is that official education and training have a signigicant relationship with firm`s efficiency rate, and that tenure which represents firm`s inofficial education and training, has also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firm`s efficiency rate. But firm`s size has a negative relation with firm`s efficiency rate. These results mean that firm`s development and growth in Korea has been originated by official and inofficial in-firm education and training rather than firm`s size effects.

      • KCI등재

        기업의 몰입형 인적자원관리와 숙련제고정책의 고용성과

        김안국(Ahn Kook Kim)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4 産業關係硏究 Vol.24 No.2

        기업의 몰입형 인적자원관리와 숙련제고정책이 어떠한 고용성과를 가져오는가를 「인적자본기업패널조사」 자료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업의 몰입형 인적자원관리와 숙련제고정책은 서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기업의 숙련제고정책은 기업의 정규직 고용에 유의하게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지만 몰입형 인적자원관리는 전체 고용의 증가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나, 정규직 고용의 증가에는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이 제공하는 교육훈련이 정규직 고용을 늘리기 때문에 고용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훈련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이에 기업의 교육훈련 확대를 위해 정책적으로 경영진에 대한 교육훈련 컨설팅을 제공하고, 노조가 교육훈련에 대하여 관심을 갖도록 유도하는 정책 방안을 세울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analyses what are the employment effects of the firms’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the strategy of skill enhancement? From the results, the 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the strategy of skill enhancement are correlated positively each other, and the strategy of skill enhancement has positive effect on the regular employee growth. Though there is not enough of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commitment human resources management has positive effect on the employee growth, but negative effect on the regular employee growth. Training provided by the firms enlarges the regular employment, so training is an important factor to level up the quality of employment. To augment firm training, consulting which induces executives to provide training to the employees and programs which raise union’s interest in the training have to be sought in the poli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