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베바시주맙이 섬유주세포의 생존과 일산화질소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김신후,김재우 대한안과학회 2009 대한안과학회지 Vol.50 No.9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evacizumab, a monoclonal antibody against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on the survival and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in human trabecular meshwork cells (HTMC). Methods: Primarily cultured HTMC were exposed to 0, 0.25, 1.0, and 2.5 mg/ml bevacizumab for 24 hours. Cellular survival and production of NO were assessed by MTT assay and Griess assay, respectively. Results: Bevacizumab did not affect the cellular survival at low concentrations but decreased cellular survival significantly at high concentrations (>1.0 mg/ml) accompanied with increased NO production. Conclusions: High concentrations of bevacizumab may be toxic to HTMC 목적: 신생혈관의 치료에 사용하는 혈관내피성장인자에 대한 단클론 항체인 bevacizumab이 인체의 섬유주세포의 생존과 일산화질소 (NO)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인체의 섬유주세포를 일차배양하여 0, 0.25, 0.5, 1.0, 2.5 mg/ml의 bevacizumab에 24시간 노출시킨 후 세포의 생존과 NO의 생성을 MTT assay와 Griess assay로 각각 조사하였다. 결과: Bevacizumab는 저농도에서는 NO의 생성저하와 함께 세포의 생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0.1 mg/ml의 고농도에서는 세포의 생존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결론: 고농도의 bevacizumab에 섬유주세포가 직접 노출될 경우 섬유주세포에 심각한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 KCI등재

        고속 저전력 동작을 위한 개방형 파이프라인 ADC 설계 기법

        김신후,김윤정,윤재윤,임신일,강성모,김석기,Kim Shinhoo,Kim Yunjeong,Youn Jaeyoun,Lim Shin-ll,Kang Sung-Mo,Kim Suki 한국통신학회 2005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0 No.1a

        본 논문에서는 고속, 저전력 8-비트 ADC를 설계하는 기법들을 제안하였다. 비교적 적은 전력 소모를 가지면서 고속으로 동작 시키기 위해 기존의 파이프라인 구조인 MDAC를 이용한 폐쇄형 구조 대신에 개방형 구조를 채택하였다. 또한 Distributed THA와 캐스캐이드 형태의 구조를 이용하여 높은 샘플링 속도에 최적화 하였다. 제안한 각 단의 크로싱 지점을 판별하는 기법은 증폭기의 개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저전력과 좁은 면적의 ADC 구현을 가능하게 하였다. 모의 실험 결과 500-MHz의 샘플링 속도와 1.8V 전원 전압에서 테스트에 필요한 디지털 회로까지 포함, 210mW의 전력을 소비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1.2Vpp(Differential) 입력 범위와 200-MHz까지의 입력 주파수에서 8-비트에 가까운 ENOB를 가짐을 볼 수 있었다. 설계된 ADC는 $0.18{\mu}m$ 6-Metal 1-Poly CMOS 공정을 이용, $900{\mu}m{\times}500{\mu}m$의 면적을 차지한다. Some design techniques for high speed and low power pipelined 8-bit ADC are described. To perform high-speed operation with relatively low power consumption, open loop architecture is adopted, while closed loop architecture (with MDAC) is used in conventional pipeline ADC. A distributed track and hold amplifier and a cascading structure are also adopted to increase the sampling rate.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and the die area, the number of amplifiers in each stage are optimized and reduced with proposed zero-crossing point generation method. At 500-MHz sampling rat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ower consumption is 210mW including digital logic with 1.8V power supply. And the targeted ADC achieves ENOB of about 8-bit with input frequency up to 200-MHz and input range of 1.2Vpp (Differential). The ADC is designed using a $0.18{\mu}m$ 6-Metal 1-Poly CMOS process and occupies an area of $900{\mu}m{\times}500{\mu}m$

      • KCI등재

        섬유아세포의 생존에 대한 베바시주맙과 마이토마이신 C의 효과 비교

        김신후,김재우,Sin Hoo Kim,Jae Woo Kim 대한안과학회 2011 대한안과학회지 Vol.52 No.3

        Purpose: To compare the antiproliferative effects between bevacizumab, a monoclonal antibody against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and mitomycin C in human Tenon’s capsule fibroblasts. Methods: Primarily cultured human Tenon’s capsule fibroblasts were exposed to 0, 25, 50, 100, and 200 μg/ml bevacizumab and mitomycin C, and incubated for 5 days. Cellular survival and production of nitric oxide were assessed by MTT assay and Griess assay, respectively. Results: Bevacizumab showed antiproliferative effects only at high concentrations (200 μg/ml) and revealed much less effect on the cellular survival compared to mitomycin C. In addition, bevacizumab did not affect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Conclusions: The antiproliferative effect of bevacizumab is much lower than mitomycin C in human Tenon’s capsule fibroblasts. J Korean Ophthalmol Soc 2011;52(3):345-349

      • LTE 5G/WiMAX용 이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설계

        김신후(Shin-Hoo Kim),이경민(Kyeong-Min Lee),홍용표(Yong-Pyo Hong),김갑기(Kab-Ki Kim) 한국정보기술학회 2016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16 No.6

        본 논에서는 LTE 5G와 WiMAX를 위한 3.8GHz와 5.8GHz의 대역에 만족하는 이중 대역 안테나를 설계하였다. 제안된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기판은 FR-4(er=.43)이고, 크기는 24mm×35mm×1.5mm, 두께는 t=0.035mm이며 시뮬레이션은 CST Microwave Studio 2014를 사용하였다. 입력 대비 반사손실은 -10dB이하에서 동작하고, 이득은 3.8GHz일 때 -20.54dB, 5.8GHz일 때는 -11.51dB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In this paaer, for LTE 5G and WiMAX dual-band antenna was designed to satisfy the bandwidth of 3.8GHz and 5.8GHz. the substrate of proposed microstrip antenna is FR-4(er=4.3) and 24mm×35mm×1.5mm size and thickness t=0.035mm, and the simulation was used for CST Microwave Studio 2014. input return loss compared -10dB less than operates at and when gain 3.8GHz -20.54dB, 5.8GHz showed the results of -11.51dB.

      • KCI등재

        TBT 노출에 따른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혈액학적 성상 및 혈장성분의 변화

        김신후 ( Shin Hu Kim ),황인기 ( In Ki Hwang ),강주찬 ( Ju Chan Kang ),김준환 ( Jun Hwan Kim ) 한국어병학회 2015 한국어병학회지 Vol.28 No.2

        Juvenile Paralichthys olivaceus (mean length 17.3 ± 2.2 cm, mean weight 46.5 ± 6.3 g) were exposed for 10 days to tributyltin (TBT) at various concentrations (0, 1, 2, 4 and 8 μg/L). Hematological parameters, such as red blood cell (RBC) count, hematocrit (Ht), and hemoglobin (Hb) concentration, were considerably decreased by high TBT concentrations. In plasma constituents, inorganic components such calcium and magnesium were also significantly altered. Plasma calcium was notably decreased, whereas plasma magnesium was increased. The enzyme components, glutamic oxalate transaminase (GOT) and glutamic pyruvate transaminase (GP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TBT exposure. The present findings suggest that TBT exposure can cause significant alterations in hematological parameters and plasma constituents of flatfish Paralichthys olivaceus.

      • KCI등재

        수온 증가에 따른 말전복, Haliotis gigantea과 둥근전복, Haliotis discus discus (Reeve, 1846) hemolymph의 생리학적 변화

        민은영,김신후,황인기,김경욱,박보미,이정식,강주찬,Min, Eun-Young,Kim, Shin-Hu,Hwang, In-Ki,Kim, Kyeong-Wook,Park, Bo-Mi,Lee, Jung Sick,Kang, Ju-Chan 한국패류학회 2015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31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lterations in water temperature (WT) on biochemical and immunological factors in the hemolymph of the abalones, Haliotis gigantea and H. discus discus. The abalone were exposed to various WT; 18, 20, 22, 24, 26 and $28^{\circ}C$ for 96 hours. In biochemical factors, total-protein (TP), glucose, magnesium (Mg),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were not significant changes in hemolymph of H. gigantea and H. discus discus. But calcium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high WT (${\geq}24^{\circ}C$). In immunological factor, The phenoloxidase (PO) activity was decreased in hemolymph of H. gigantea and H. discus discus exposed to high temperature (${\geq}22^{\circ}C$) compared to the control (P < 0.05). Whereas alkaline phosphatase (ALP)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high temperature adversely affects the immunity of H. gigantea and H. discus discus. 본 연구에서는 수온 증가에 따른 말전복 (Haliotis gigantea) 과 둥근전복 (H. discus discus) 헤모림프의 생리 및 면역학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위 두 전복을 20, 22, 24, 26 및 $28^{\circ}C$ 수온에 각각 4 일간 노출시켰다. 노출 결과, 헤모림프의 totalo-protein (TP), glucose, calcium (Ca) 은 둥근전복 (H. discus discus)이 말전복 (H. gigantea) 보다 높은 값을 보였으나, magnesium (Mg), alkaline phosphatase (ALP) 두 전복에서 유사한 값을 보였다. 그리고 면역인자인 PO에서는 둥근전복 (H. discus discus)이 더 높게 나타났다. 수온 증가에 따른 헤모림프의 TP, glucose, Mg, AST, ALT 및 ALP는 유의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헤모림프의 Ca 농도는 둥근전복 (H. discus discus)에서 $24^{\circ}C$ 이상, 말전복 (H. gigantea)에서는 $26^{\circ}C$ 이상의 수온에서 유의적 증가를 보였다. 그리고 면역인자인 phenoloxidase (PO) 는 둥근전복 (H. discus discus)은 $22^{\circ}C$ 이상 말전복 (H. gigantea) 에서는 $26^{\circ}C$ 이상의 수온에서 유의적 감소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말전복 (H. gigantea)은 $24^{\circ}C$ 이상에서 혈액학적 변화를 보였고, $26^{\circ}C$ 이상에서 면역학적 변화를 보였다. 둥근전복 (H. discus discus)은 $26^{\circ}C$ 이상에서 혈액학적 변화를 보였고, $22^{\circ}C$ 이상에서 면역학적 변화를 나타내었다.

      • KCI등재

        안개 상태에 따른 선박 자동제어 장치

        이경민,김신후,김갑기,박성현 해양환경안전학회 2017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3 No.6

        본 논문에서는 선박의 안전운항을 위하여 안개 발생 시 엔진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피해를 최소화하거나 회피할 수 있도록 자동 제어 시스템을 설계 및 제작 하였다. 제작된 동력 자동제어시스템은 ATmega128과 RPM감지회로를 사용하여 안개발생부에서 인위적으로 안개를 발생시켜 RPM의 변화량을 측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체구성도를 작성하였으며 홀센서가 있는 모터를 사용하여 PWM 제어를 하 도록 ATmega128에 Source code를 적용시켰다. 추후, 제작된 동력 자동제어장치를 통하여 실제 선박에서의 실험 및 안전성평가를 마련할 계 획이다.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manufactured an automatic control system to minimize or avoid damage by automatically controlling ship engines in case of fog to allow for safer operation. This automatic power control system uses ATmega128 and an RPM detection circuit to measure RPM changes by artificially generating fog in the fog generator. For this purpose, we have created a complete schematic and applied our source code to an ATmega128 for PWM control using a Hall sensor motor. In future, an experiment and safety evaluation using this automatic power control system with an actual ship will be prepared.

      • KCI등재

        메칠글라이옥살이 섬유주세포의 산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승희,김신후,김재우 대한안과학회 2009 대한안과학회지 Vol.50 No.10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thylglyoxal (MG), intermediate metabolite of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AGE), on the induction of oxidative stress in human trabecular meshwork cells (HTMC). Methods: Primarily cultured HTMC were exposed to at concentrations of 0, 30, 100, and 300 μM of MG for 18 hours, with or without co-exposure to N-acetyl-cysteine. Cellular survival and apoptosis were assessed by MTT assay and flow cytometry using annexin-PI double staining.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superoxide,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as assessed by Griess assay, cytochrome c assay, and dichlorofluorescein diacetate assay, respectively. Results: MG did not affect cellular survival at concentrations under 100 μM, but induced apoptosis of HTMC at concentrations over 100 μM. MG decreased NO production, accompanied with increased superoxide production. In addition, MG increased ROS, which were abolished by N-acetylcysteine. Conclusions: MG induced oxidative stress by decreasing NO production, accompanied by increasing superoxide and ROS productions in HTMC. AGE could induce trabecular meshwork dysfunction. 목적: 최총당화산물의 중간대사물인 메칠글라이옥살(MG)이 섬유주세포의 생존과 산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배양한 섬유주세포에 MG을 10, 30, 100, 300 μM의 농도로 18시간 노출시켰으며 N-acetyl-cysteine (NAC)에도 노출시켰다. 세포생존은 MTT assay로, 세포고사는 Annexin-PI를 이용한 유세포분석을 하였다. 일산화질소 생성은 Griess assay, superoxide 생 성은 cytochrome C assay, 반응성산소종 생성은 DCFH-DA assay로 조사하였다. 결과: MG는 100 μM 이하의 농도에서는 섬유주세포의 생존에는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며 100 μM의 농도에서부터 세포고사를 유발하 였다. MG는 일산화질소의 생성을 억제하였고 superoxide의 생성을 증가시켰다. 반응성산소종의 생성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 NAC에 의해 상쇄되었다. 결론: MG는 섬유주세포에서 일산화질소의 생성을 억제하면서 superoxide의 생성을 증가시켰다. 최총당화산물은 섬유주세포에서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섬유주세포의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천연잔디학교운동장 조건에서 봄방학 및 여름방학 중 제초제 살포와 주기적인 예초 조합의 제초효과 평가

        장석원,김신후,지재욱,음형주,김호영 한국잔디학회 2023 Weed & Turfgrass Science Vol.12 No.2

        The occurrence of weeds in natural turfgrass school playgrounds throughout the growing season is the biggest concern for playground managers. Pesticide use is very necessary because many schools lack the manpower and budget for playground management. Many schools do not use pesticides for safety reasons during the semester, but use manual weeding or use herbicides mainly during summer vacation. In this study, for safer and more efficient weed management in the school playgrounds of Zoysia japonica and Z. matrella , various herbicide combinations during spring break (late February) and summer vacation (late July) and a mowing height treatment of 30 mm once a month and evaluated the herbicidal effect. All herbicide-treated plots showed lower weed occurrence and higher shoot density compared to monthly mowing treatment or non-treatment. Among the herbicide treatments, soil-spraying herbicide (spring break) + foliar spraying herbicide (summer vacation) + mowing once a month showed the lowest value in weed species, weed population, and total fresh weight of weed plants, and the highest shoot density. Mmowing once a month was not effective 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eed species and population reduction compared to no treatment plot. In all treatments of Z. matrella field, the shoot density was higher than that of Z. japonica field and the occurrence of weeds was less. In Z. matrella field, soil spraying herbicide (spring break) + monthly mowing combination showed a similar weeding effect to the herbicide treatments twice. This study found that it is possible to manage weeds by spraying herbicides once each during spring break and summer vacation in Z. japonica and Z. matrella playgrounds. In particular, when the shoot density of turfgrass is high, it is suggested that soil spraying herbicide (spring break) + mowing once a month will be effective. 천연잔디학교운동장에서 잔디 생육기 중에 잡초의 발생은 운동장 관리자들에게 가장 큰 고민거리이다. 많은 학교에서 운동장 관리에 소요되는 인력과 예산이 부족하기 때문에 농약의 사용은 매우 불가피하다. 많은 학교에서는 학기 중에는 안전상의 이유로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인력 제초하거나 주로 여름방학 중에 제초제를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들잔디와 금잔디로 된 학교운동장 조건의 포장에서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잡초관리를 위하여 봄 방학(2월 하순) 및 여름방학(7월 하순) 제초제 살포 그리고 매월 1회 30 ㎜ 예고의 예초 처리구를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하여 제초효과를 평가하였다. 모든 제초제 처리구가 매월 1회 예초 처리구나 무처리구에 비해 낮은 잡초 발생과 높은 지상부 밀도를 보였다. 제초제 처리구 중 토양살포형 제초제(봄방학) + 경엽처리형 제초제(여름방학) + 매월 1회 예초 조합에서 발생 잡초 초종, 잡초 개체수, 잡초 생체중에서 가장 낮은 값과 가장 높은 지상부 밀도를 보여 효과적이었다. 반면에 매월 1 회 예초는 잡초 초종과 개체수 감소에서 무처리와 비교할 때 큰 차이가 없어 효과적이지 않았다. 금잔디 포장의 모든 처리구에서 들잔디 포장보다 지상부 밀도가 높고 잡초 발생이 적었다. 금잔디 포장에서는 봄방학 토양 살포형 제초제 살포 + 매월 1회 예초 처리구가 제초제 2회 처리구와 비슷한 제초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로부터 들잔디 및 금잔디 학교운동장에서 봄방학과 여름방학에 제초제 각 1회 살포로 잡초관리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교운동장 잔디의 지상부 밀도가 높은 경우에는 봄방학 토양 살포형 제초제 살포 + 매월 1회 예초도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과산화수소에 의한 산화스트레스가 섬유주세포의 노화에 미치는 영향

        김재우,김신후,이재형,Jae Woo Kim,Sin Hoo Kim,Jae Hyung Lee 대한안과학회 2008 대한안과학회지 Vol.49 No.10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xidative stress on the senescence of trabecular meshwork (TM) cells and the effect of L-ascorbic acid (LAA) against oxidative stress-induced senescence. Methods: Primary cultured human TM cells were exposed to 0.05 or 0.1 mM hydrogen peroxide for 30 minutes and incubated for 1 week with or without co-exposure of LAA. Cellular survival, nitrite production, and senescence were assessed with MTT, Griess, and SA-β-gal assays, respectively. Results: Hydrogen peroxide decreased cellular survival and NO production accompanied increased cellular senescence. LAA did not prevent hydrogen peroxide-induced senescence. Conclusions: Oxidative stress-induced senescence of TM cells may be related to the dysfunction of trabecular meshwork in glaucoma. J Korean Ophthalmol Soc 2008;49(10):1665-167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