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시설 공용공간의 회복디자인을 위한 실내색채 연구

        김시은,하미경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22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78

        This study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interior color for a restorative environment that can provide emotionalsupport in indoor public spaces of educational facilities used daily by ordinary people, by expanding the existing restorativeenvironmental design concept.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interior colors of a virtual university indoorcommon space targeting 200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graduates. As a research tool, ten 3D spatial images ofa virtual university indoor common space having 10 color combinations with different saturation, brightness, and tone levels ofwarm and cool colors that represent atmospheres, which extracted from the Kobayashi Color Image Scale (CIS) were used forinvestigation. The spatial atmosphere, spatial emotion, and resting space preference for spatial images of each interior colorwere measured.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spatial image of each color combination and the spatial atmosphereperceived by the respondents were generally consistent, and different spatial emotions were exhibited according to the colorsaturation, brightness, and tone.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in a subdued tone environment with low saturation and highbrightness, respondents felt comfortable corresponding to feelings of recovery and rest. As a result of the preference survey, itwas found that the most preferred interior color entailed a subdued-tone with low saturation and high brightness for both warmand cool colors for resting spaces. In conclusion, a subdued-tone color with low saturation and high brightness makes peoplefeel comfortable. We therefore suggest this as an interior color for indoor public spaces in educational facilities that supportemotional recovery.

      • KCI등재후보

        미국의 민간(상업) 우주교통관리(Space Traffic Management, STM) 정책과 한국에의 시사점

        김시은,정영진,Kim, Syeun,Jung, Yungjin 한국우주과학회 2021 우주기술과 응용 Vol.1 No.1

        미국은 1960년대부터 민간 우주발사를 장려하기 위한 정책들을 수립해 왔다. 구체적으로는 인공위성의 제작 및 상용발사 공급자의 역할을 확대하기 위한 정책들을 펼쳐왔는데, 이를 위해서는 민간의 우주발사를 위한 프로세스를 정립할 필요가 있었다. 우주활동 초기에는 전체 발사 비율 중 민간 발사가 차지하는 비율이 적었으나, 1990년대 이후 꾸준히 증가해오다, 최근 대형 민간 우주기업들이 거대 프로젝트를 제시하며, 전체 발사 비율의 50% 이상을 차지하기에 이르렀다. 이와 같이 발사 주체의 다양화 및 궤도 상 우주물체의 증가는 기존의 우주환경 관리 프로세스의 관점을 변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우주기술에 대한 진입 문턱이 낮아지며 우주물체의 운용기관 및 발사기관의 수가 획기적으로 증가하였고, 지난 60여 년간 누적된 우주쓰레기는 안전하고 안정적이며 지속가능한 우주 이용을 위협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민간의 우주발사가 가장 활발한 미국에서 상업우주발사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세스가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미국은 국방부, 상무부, 교통부, 항공우주국 등의 기관에 우주교통관리 서비스 기능을 분배하여 운영 및 제공하고 있다. 민간의 우주발사 활성화에 따른 미국의 우주교통관리 정책 변화에 대한 고찰은 향후 우리나라에서도 현실화 될 것으로 예상되는 민간의 우주발사에 대한 관리에도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Since the 1960s, the United States has developed and implemented policies to encourage commercial space launches. Specifically, national policies have been implementing to expand the role of commercial space actors, which required establishing a process for private space launches. In the early days of the space age, private launches accounted for a small portion of the total launch rate, but, since the 1990s, the proportion has exploded, with private space companies presenting large projects one after another, accounting for more than 50% of the total launch rate. This diversification of space actors and the increase in orbital space objects have led to changes in the perspectives of existing space environmental management processes. During and after the Cold War, when the space age began, civilian actors' actions were limited, and policies limited their actions, too. So they had little impact on government space activities. However, space technology's entry barrier has lowered since, and policies to facilitate commercial space launches have been implemented for a long, and the accumulated amount of space waste over the past 60 years is also threatening the safety, stability, and sustainability of space use. This paper examined how the United States, the most active country in commercial space launches, has managed commercial space launches. The United States has a Space Traffic Management (STM), distributed to departments such as the Department of Defense, Department of Commerce, Department of Transport, NASA, etc. A review of changes in U.S STM management policy could also provide implications for us to manage commercial space launches in Korea.

      • KCI등재후보

        Predictors for Presence and Severity of Obstructive Sleep Apnea in Snoring Patients: Significance of Neck Circumference

        김시은,박봉수,박시형,신경진,하삼열,박진세,박강민 대한수면연구학회 2015 Journal of sleep medicine Vol.12 No.2

        Objectives: Documented risk factors for obstructive sleep apnea include advanced age, male gender, hypertension, large neck circumference, and obesity; but some controversy remains regarding the risk factors, especially in Asian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risk factors for obstructive sleep apnea in snoring patients, and also analyzed the risk factors that could predict the severity of obstructive sleep apnea. Methods: The inclusion criteria were patients 1) who visited our hospital with a chief complaint of snoring as witnessed by a sleep partner and 2) who underwent overnight polysomnography. The primary endpoint was the presence of obstructive sleep apnea as a dependent variable. Results: One hundred forty-seven patients met the inclusion criteria. Of the 147 patients, 109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old age and large neck circumference were significant independent variables for predicting the presence of obstructive sleep apnea, whereas hypertension and large neck circumference were independent variables for predicting the severity of obstructive sleep apnea. Conclusions: We demonstrated that neck circumference can be used to predict the presence as well as the severity of obstructive sleep apnea in snoring Asian patients.

      • KCI등재

        부산시 남구 대학로 가로변건축물 및 사인물의 색채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김시은,송대호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4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6 No.1

        본 연구는 도시경관의 질적 개선을 위한 시도로서 대학가 가로공간의 가로변건축물과 사인물의 환경색채를 경관적 측면에서 다루고자 하였다. 즉, 지역사회의 경제적, 문화적, 사회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다양한 욕구를 수용하는 대학가 가로공간을 대상으로 가로변건축물과 사인물의 색채환경에 대한 제반 문제점과 그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대학가 가로환경개선 시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KCI우수등재

        생체신호 기반 사용자의 긍정적인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실내디자인 특성에 관한 문헌고찰

        김시은,하미경 대한건축학회 2020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6 No.5

        Environmental conditions are known to impact human health and behavior, emotions such as pleasure, anxiety, and depression, and reducestress. Interior design that elevates emotional comfort and satisfaction can help improve mental health and well-being. This study is asystematic review that analyzed previous empirical studies that explored the effect of interior design elements on the user’s emotionalresponse which is quantitatively evaluated by bio-signal and qualitatively evaluated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 surveys. This paperaims to derive the attributes of interior design and biometric indicators that affect the user’s positive emotion through the synthesis ofprevious studies and to confirm the feasibility of measuring bio-signals as an objective evaluation tool for architectural design and as aquantitative research method. As a result of the review, the biometric data from EEG, fMRI, ECG, EMG, GSR, and eye-tracking were usedto measure the participants’ emotional responses, which were manifested as positive or negative depending on certain attributes of interiordesign such as the form, color, lighting, material and furniture. The attributes of interior design related to the positive emotional responsewere the curved shape, high ceiling, openness of space, and subdued tone colors. Standard lighting conditions and wooden spaces wererelated to stress reduction in terms of comfort and relaxation. The free arrangement of furniture was related to the user’s positive emotions. On the other hand, consistent experimental protocols could not be found, and although the sample sizes of the studies were small, the studieshave demonstrated the feasibility of the emotional response measurement by using the biometric data. Therefore this method can be a usefulobjective tool in the measurement of human-centric data in architectural design, and to develop the evidence-based design to induce positiveemotions and minimize stress. 사회적으로 웰빙과 건강이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면서 사람들이 일상에서 대부분 시간을 보내는 실내공간환경을 탐구하는 일은 중요해졌다. 이에 공간의 효율성과 기능성을 넘어 ‘인간 중심 디자인’ 관점에서 사용자의 정서적 측면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용자에게 정서적 편안함과 만족감을 주는 실내디자인은 웰빙과 정신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분석한 체계적 문헌고찰로서, 실내공간에서 사용자의 감정반응을 생체신호를 통한 정량적 방법과, 자기보고식 감정평가 설문조사를 통한 정성적 방법으로 측정한 실험연구를 대상으로, 실내디자인 요소가 생체신호 측정에 의한 사용자의 감정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용자의 긍정적인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실내디자인 요소와 생체데이터 지표를 도출하고, 건축디자인에 대한 객관적 평가도구이자 정량적 연구방법으로서 생체신호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사용자의 감정반응 측정에는 EEG, fMRI, ECG, EMG, GSR, eye-tracking의 생체데이터가 사용되며, 형태, 색상, 조명, 마감재, 가구의 실내디자인 요소의 특성에 따라 긍정적 또는 부정적 감정반응이 나타났다. 긍정적인 감정반응과 관련된 실내디자인 특성은 공간형태는 곡선형, 높은 천장, 개방형 공간이며, 색상은 소프트톤 공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준 조명환경과 나무로 마감된 공간에서 사용자들은 편안함을 느끼고, 스트레스 감소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는 자유로운 가구배치가 긍정적인 감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분석대상 연구들에서 일관된 실험 프로토콜을 발견할 수 없었고, 실험표본의 크기가 작아 연구결과의 정확성을 확신하기 어려운 한계점이 있었다. 그러나 건축공간에 대한 사용자의 감정평가 방법으로 생체신호의 사용 가능성은 충분히 입증하고 있었다. 생체신호 측정을 통한 사용자 감정평가 방법은 건축설계에서 사용자 중심의 정보 획득에 유용한 객관적인 평가도구가 될 수 있으며, 건축디자인 시 객관적인 근거에 기반한 설계가 가능하게 하여 근거기반 디자인을 실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궁극적으로 사용자의 긍정적인 감정반응을 고려한 실내디자인을 통해 사용자에게 정서적으로 편안한 공간을 제공하고, 스트레스 감소 등 정신건강 증진과 웰빙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일본어 상급 학습자의 복합어 운용 실태 연구 - 모어화자와의 비교를 통하여 -

        김시은 한국일어교육학회 2019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47

        The compound word is one of the required elements for the effective writing of a sentence.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compound words are used in opinion essay that is written by the advanced learners, and compared them with the native speakers. Overall, for the learners, the amount of vocabulary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hat of the native speakers.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N+N’. The native speakers used ‘N+N’ to express upper-level vocabulary in many cases. The learners made low use of ‘N+N,’ and it led to the problem of lack of upper-level abstract vocabulary. The amount of ‘V+V’ use was also small which caused the problem that what they meant to say could not deliver even the specific nuance. Throughout these features, it was observed that the learners lacked in the learning of the compound words on the whole. More effective writing in Japanese requires not only compound verbs but also the study on the use of various compound words. 일본어 상급 학습자는 모어화자와 비슷한 수준의 글쓰기 능력을 요구 받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에 대응할 수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상급 학습자의 글쓰기에 나타나는 문제점은 그 원인을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고는 그 일환으로 상급 학습자가 작성한 의견문에서의 복합어 사용 실태를 조사하여 이를 모어화자와 비교・분석해 보았다. 효과적인 글쓰기를 위해 필요한 요소 중 하나가 복합어 사용이기 때문이다. 학습자의 복합어 사용은 모어화자와 수치적으로는 큰 차이가 있었다. 전체적으로 어휘량이 모어화자에 비해 크게적었으며 결합 요소간의 의미관계가 모어화자에 비해 단순한 양상을 보였다. 결합 패턴 별로 살펴보면 N+N에서 수치적으로 가장 차이가 컸다. 모어화자는 이 N+N을 상위 개념을 나타나는 단어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반면 학습자는 N+N의 사용이 저조하며 이것이 추상적인 상위 개념을 나타낼 어휘가 부족하다는 문제로 연결되었다. 또한 사용한N+N 중에 한국어에서도 사용하는 단어들이 많았다. 다음으로 V+V도 역시 어휘량이 부족했으며 이로 인해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가 구체적인 뉘앙스까지 전달되지 못한다는 문제가 나타났다. 또한 결합 요소 중 하나가 접사화한 V+V의사용이 저조했다. 이상의 특징을 통하여 일본어 상급 학습자들은 복합어 학습이 전체적으로 부족하며 보다 효과적인 글쓰기를 위해복합동사 뿐 아니라 다양한 복합어 사용에 관한 학습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