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능적 피로 프로토콜이 하지의 정적·동적 자세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슬기나,이성철,김창영,정희성,이세용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18 체육과학연구 Vol.29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functional fatigue protocol on lower extremity dynamic and static postural control. [Methods] A total of 20 physically active collegi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en males, ten females; age 22.5±2.7 years; mass 67.0±13.0 kg; height 168.0±8.9 cm). A unilateral stance with eyes closed for 10 seconds was performed to test static postural control using a balance force plate and single-leg drop landing on 30cm box was performed as a dynamic postural control test and captured using VICON motion analysis system.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n average heart rate of 176.3 beats/minute, an 18 rating on the perceived exertion scal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lood lactate, and a static postural control deficit after fatigue as compared with before fatigue(p<.05). Dynamic postural control after fatigue changed landing strategy in the form of stiff landing. Knee flexion was decreased at initial contact and at peak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also, both decreased valgus and internal rotation of knee joint. [Conclusions] This protocol may use for enhancing fatigue-endurance training as well as for inducing fatigue. Further, to ascertain a landing strategy, it is recommended to increase landing height to clearly observe changes in landing strategy. [목적] 본 연구는 기능적 피로 프로토콜이 하지의 동적 및 정적 자세조절의 기능적 움직임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있었다. [방법] 총 20명의 대학생(남자 10명, 여자 10명, 나이 22.5±2.7, 체중 67.0±13.0kg, 신장 168.0±8.9cm)을 대상으로 개발된 운동 피로 프로토콜을 실시하였다. 남녀 그룹으로 나누어 기능적 피로 프로토콜 적용 전․후의 혈중 젖산 수치, 심박 수, 운동자각도 검사와 정적·동적 자세조절 검사(10초간 눈 감고 한 발로 균형 지면반력기에 서 있기, 30cm 박스 위에서 한 발로 착지하기)를 측정하여 하지의 기능적 특성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기능적 피로 프로토콜이 피로 전보다 피로 후에 평균 심박 수 분당 176.3과 평균 운동자각도 18을 보였고, 혈중 젖산 수치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또한, 정적 자세조절에서 많은 움직임과 실패 횟수를 보였고(p<.05), 동적 자세조절에서 착지 전략이 다소 경직된 동작으로 변했다. 즉, 초기접지 시점과 최대 수직 지면 반력 시점에서 무릎 굽힘이 감소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로 고안된 운동 피로 프로토콜은 하지의 피로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피로-지구력을 향상하는 훈련으로 사용할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 착지 전략 자세를 명확하게 확인하기 위해 착지 높이를 높일 것을 권장한다.

      • KCI등재

        대한작업치료학회지에 게재된 질적 연구 보고 분석

        김슬기,박경희,박태홍,임희수,김슬기 대한작업치료학회 201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7 No.3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qualitative research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Occupational Therapy. Methods: The researchers identified 16 qualitative studies among 692 papers in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Therapy from the first issue in 1993 until 2018. These studies were analyzed using COnsolidated criteria forREporting the Qualitative research(COREQ) developed by Tong et al(2007). Results: The first domain, “Research team and reflexivity”, properly maintained the notification items for researchpurposes, as well as the participants’ rights and the researchers’ duties, whereas the reported items of researcherexperience and training were insufficient. In the second domain, “study design”, phenomenology was the mostcommon research methodology, and most of the interview guidelines were presented in the paper, althoughinterview dropouts and interview environment reports were insufficient. Finally, in the third domain “Analysis andfindings”, the participants’ quotations and topic presentation items were generally well followed, but the participantchecking was not.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COREQ can provide a systematic reporting framework for qualitative researchand can be a useful guideline to improve the consistency of the research methods and the transparency of theresearch methods. Therefore, COREQ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in quality of the qualitativeresearch conducted in occupational therapy. 목적 : 본 연구는 대한작업치료학회지에 게재된 질적 연구 보고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 연구자들은 1993년 창간호부터 2018년까지 대한작업치료학회지에 수록된 논문 692편 중 질적연구 16편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들을 Tong 등(2007)이 개발한 질적 연구 보고 통합 기준(COnsolidatedcriteria for REporting Qualitative research; COREQ)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결과 : 논문을 분석한 결과 첫 번째 ‘연구팀과 성찰’영역에는 연구 목적 및 참여자 권리와 연구자 의무에대한 고지 항목은 잘 지켰으나 연구자의 경험과 훈련 보고 항목은 미흡했다. 두 번째 ‘연구 설계’ 영역에서 연구 방법론은 현상학이 가장 많았으며 면접 지침은 대부분 논문에서 제시하였다. 하지만 면접 탈락자 및 면접 환경 보고는 미흡했다. 그리고 세 번째 ‘분석과 결과’ 영역에서 참여자 인용문과 주제 제시의항목은 대체로 잘 지켜졌으나 면접자 점검 항목은 잘 지켜지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는 COREQ가 질적 연구 보고 분석에서 체계적인 보고 틀을 제공하여 연구 방법의 일관성과 연구 방법의 투명성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지침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COREQ의 활용은 작업치료 질적 연구 보고의 질적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에너지전환 대응을 위한 MVDC배전망 기술

        김슬기 한국통신학회 2022 정보와 통신 Vol.39 No.8

        본고에서는 에너지 전환과정에서 재생에너지, 분산형 전원, 전기차 충전인프라 등의 확대에 따라 심각해지는 전력계통의 수용성 및 불안정성 문제의 해소에 기여할 수 있는 MVDC(Medium Voltage Direct Current, 특고압 직류) 배전 기술의 적용분야를 살펴보고 국내 전력계통에 도입하기 위한 관련 연구개발사업과 세부내용을 소개한다.

      • KCI등재

        High Level Production of human Protein Tyrosine Kinase-6 in Insect Cells Using Drosophila Peptidoglycan Recognition Protein-LB as a fusion protein

        김슬기,김한이,우재성,조현수,정연진,이승택,하남출,Kim, Seul-Ki,Kim, Han-Ie,Woo, Jae-Sung,Cho, Hyun-Soo,Jung, Yun-Jin,Lee, Seung-Taek,Ha, Nam-Chul Korean Society of Life Science 2007 생명과학회지 Vol.17 No.2

        단백질 티로신 kinase인 PTK6는 대부분의 유방암에서 과발현되며, 암세포의 증식만을 촉진하는데 역할을 한다. 이 연구에서 PTK6의 활성도메인을 초파리의 peptidoglycan recognition protein (PGRP) -LB 단백질을 퓨전파트너로 사용하여 바큘로바이러스 시스템을에서 과발현하는데 성공하였다. 우리는 PGRP-LB가 바큘로바이러스 시스템에서 잠재적으로 퓨전 단백질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처음으로 발견하였다. 정제된 PTK6단백질은 기존의 박테리아에서 발현된 단백질보다 1.5배 높은 활성을 지녔다. 이 단백질은 PTK6의 분자기전 및 그것의 저해제 개발에 필수적인 결정 구조를 규명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PTK6, an intracellular protein tyrosine kinase, is significantly overexpressed in a majority of breast cancers and has a role in promoting the proliferation of the cancer cells, but not of normal cells. Here, we report high-level production of the catalytic unit of PTK6 fused with Drosophila peptidoglycan recognition protein (PGRT)-LB, in the baculovirus system. We first found that the PGRP-LB was potentially useful as a fusion partner to increase the yield of heterologous protein in the baculovirus system. The purified recombinant protein exhibited a 1.5-fold activity with much higher yield than the bacterially-expressed protein. The protein expressed in the baculovirus system will be useful for the crystallization to determine its crystal structure helping understand the molecular mechanism of PTK6 and design its inhibitors.

      • KCI등재

        점소성-손상모델 기반 피로균열 진전속도 전산 평가법 개발

        김슬기,김정현,이치승,김명현,이제명,Kim, Seul-Kee,Kim, Jeong-Hyeon,Lee, Chi-Seung,Kim, Myung-Hyun,Lee, Jae-Myung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5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28 No.1

        본 논문에서는 재료 점소성-손상모델을 기반으로 한 피로균열 진전속도(FCGR) 전산 평가법을 제안한다. 7% 니켈강 재료 거동을 모사하는 점소성-손상모델을 소개하고, 이의 유한요소해석 플랫폼에의 적용을 위해 상용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ABAQUS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정의 재료 서브루틴(UMAT)에 재료모델을 탑재하였다. 개발 UMAT의 검증을 위해 7% 니켈강 재료 인장시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재료정수를 획득하였다. 또한, 피로하중에 따른 손상해석에 있어 계산 시간 단축을 위한 jump-in-cycles 과정과 임계 손상 값 조정 및 피로 예비 균열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고 이들 과정을 개발 UMAT에 탑재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개발 UMAT을 활용하여 7% 니켈강의 상온 FCGR 테스트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균열길이(a)와 주기 수(number of cycles)의 관계 및 1 cycle 당 균열성장량(da/dN)과 응력확대계수 진폭(${\Delta}K$)의 관계 등의 결과를 실험결과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In this paper, computational evaluation method for fatigue crack growth rate(FCGR) based on material viscoplastic-damage model is proposed. Viscoplastic-damage model expressing material constitutive behavior of 7% nickel steel is introduced and is implemented into commercial finite element analysis(FEA) code, ABAQUS, as a user defined material subroutine(UMAT) for application in the FEA environments. Verification of developed UMAT and material parameters of material model are carried out by uniaxial tensile test simulations of 7% nickel steel. Moreover, jump-in-cycles procedure and rearrangement of critical damage are employed and also implemented to the ABAQUS UMAT for fatigue damage analysis. Typical FCGR test results such as relationship between crack length and number of cycles and relationship between da/dN and ${\Delta}K$ could be obtained from FCGR test simulation using developed UMAT and these results are compared with experimental results in order to verify of proposed computational method.

      • 수학게임을 활용한 자유학기제 선택 프로그램 교수-학습자료 개발

        김슬기,김용구 全南大學校 師範大學 科學敎育硏究所 2015 科學敎育硏究誌 Vol.39 No.1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announced ‘Plans for Demonstration and Operation of Free Semester’ for middle school. During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one semester will be spent for activities to explore career options and student participation-centered activities such as various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and debate, experiments, practice and projects during classes. Starting 2016, all middle schools to be officially starting the Free Semester system. When the Free Semester system begins selective programs will start to operate.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is to change the negative attitudes students have about mathematics into positive attitudes by selective programs. We wish to develop a selective program with academic resources which can attract students’ interests in mathematics and grow their creativity. The development of program is for students to become in contact with math games outside of the education curriculum and to research the winning strategies of that game. We wish to obtain a positive attitude towards mathematics through this process. Based on literature or resources, I selected as my research question, the research of winning strategies in mathematic games and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 game as teacher-student resource for selective program activities during Free Semester.

      • KCI등재

        A New Record of the Genus and Species, Drepanepteryx phalaenoides (Linné) (Neuroptera:Hemerobiidae:Drepanepteryginae) from Korea

        김슬기,조수원,Kim, Seulki,Cho, Soowon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5 No.3

        그 동안 국내 Drepanepteryginae 아과(낙엽날개뱀잠자리붙이아과; 신칭)에는 오직 Neuronema albostigma만이 기록되어 있었으나, 이번 연구를 통해 국내 미기록속인 Drepanepteryx와 이 속에 포함되는 미기록종 Drepanepteryx phalaenoides (낙엽날개뱀잠자리붙이; 신칭)를 새롭게 보고한다. 이 종에 대한 간략한 기재와 속내 분류키, COI 바코드 염기서열, 그리고 성충 및 수컷 생식기의 사진을 제공한다. In the subfamily Drepanepteryginae of Hemerobiidae, Neuronema albostigma has been the only species known in Korea. Here we report that the genus Drepanepteryx Leach, 1815 and its species Drepanepteryx phalaenoides ($Linn{\acute{e}}$), 1758 are newly reported as a member of Drepanepteryginae in Korea. Together with a key for the species of Korean Drepanepteryginae, a brief description, COI barcoding sequence, and photos of adult and male genitalia for the species are prov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