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16~1917년 「함경남도 안변군 지지조서」 지명 유산 자료에 관한 시론적 연구

        김순배 한국지명학회 2023 지명학 Vol.39 No.-

        This article aims to preliminarily analyze the bibliographic items and the toponymic heritage written on Anbyeon-gun JiJijoseo (安邊郡 地誌調書) (1916-1917), on which it is suggested what are the historio-geographical location of Anbyeon-gun, Hamgyeongnam-do Province, the component contents, and the notation characteristic of toponymic data in this official document. It has various types of Korean toponyms in the administrative district, while they have been coexisting with Chinese toponyms which naming and renaming by the external political forces since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 Accordingly, some of these toponymic data include political influence, reflecting the times and circumstances when the document was created by Japanese clerks worked at Meon (面) office in the early Japanese colonial era. I identified that they have formed a detailed spatial information, such as toponym’s site and location for the specific purpose of drawing the 3rd Topographic Map (1918-1921) by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In particular, it is examined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notation on the village and hamlet names, the street, mountain and river, scenic spot names written in Chinese and Korean characters. After analyzing the anterior and posterior morpheme of a toponym, not only various notation types, for example, transcription by meaning and sound, suffix addition of semantic reading are discovered in it, but also I identify some tendencies of the sound-reading rather than meaning-reading of toponym, and the standardization of the posterior morpheme of a toponym by the given Chines character. Particularly, I also raise the potential which some of current-familiar geographical terminology had been originating from the Japanese terms recorded on this document.

      • KCI등재

        한국 도로명의 명명 유연성 연구 - 구심적 도로명과 인명 도로명을 중심으로 -

        김순배 한국지명학회 2016 지명학 Vol.25 No.-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governmentality of the named source and the types and features of the centripetal, anthroponym street names intrinsic to new street names which were named under the implementation of the Korean street name address system in 2014. In order to realize the research purpose, I have investigated the official data of over 16,000 street names that have obtained from the Address Policy Section in Ministry of the Interior. As a result, I could arrange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its context of Korean address system and street naming around the concept of governmentality. Moreover, the types and features of the centripetal street names has been analyzed targeting not only numerical street names, alphabetical street names, cardinal points street names, identity and ideological street names, historical street names, and compound street names according to the governmentality, but also pure Korean street names, English street names, and economical street names related to the identification. And finally, I explained the distribution and trait of the 416 anthroponym street names by designation, region, and gender, which are representing the national and regional identity, nationalism, and ruling ideology. The anthroponym street names form 0.26% of total street names, hence, I identified that traditional naming taboo still subsists in the Korean society. Also, there are the about 3 anthroponym street names commemorating the living figures. Meanwhile, I found out that the around 142 real-name street names and around 274 posthumous-epithet and pen-name street names by designation, that the number of anthroponym street names is higher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llanam-do Province by region. As well, I confirmed that the about 23 female anthroponym street names capture only about 6% of total antroponym street names by gender. Through this fact, I could identify that severe gender discrimination still continues to exist in Korean place-naming until now. 본 논문의 목적은 2014년 시행된 한국의 새 도로명주소 제도와 그 결과 전국적으로 명명된 도로명을 사례로 명명 유연성의 통치성적 특성과 구심적 도로명의 유형을 살펴보고, 나아가 인명 도로명의 젠더적 명명 특성과 유형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행정자치부 주소정책과에서 입수한 공적 자료들에 수록된 약 16만 여건의 도로명 자료를 중심으로 통치성 강화를 위한 구심적 도로명과 인명 도로명의 명명 특성 및 유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 주소 제도 및 도로명 명명의 역사적 전개와 그 맥락을 통치성 개념을 중심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이어 구심적 도로명을 통치성 개념(숫자 도로명, 가나다 도로명, 방위 도로명, 정체성 및 이념적 도로명, 역사 도로명, 합성 도로명)과 동일시 개념(고유어 도로명, 영어 도로명, 경제 도로명)으로 나누어 그 유형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국가(지역) 정체성과 민족주의, 지배 이데올로기를 재현하고 있는 약 416건의 인명 도로명을 추출하여 이들의 칭호별, 지역별, 젠더별 분포와 특성을 분석하였다. 인명 도로명은 전체 도로명 중 0.26%만이 해당되어 피휘 사상이 현재까지 존속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생존 인물을 기념하는 인명 도로명도 약 3건 발견되었다. 칭호별로는 본명 도로명이 약 142건, 시호 도로명이 약 274건이 분포하였고, 지역별로는 광주광역시와 전남에서 인명 도로명이 높게 나타났다. 젠더별로는 여성 인명 도로명이 약 23건으로 전체 인명 도로명 중 약 6%만을 차지하고 있어 심각한 남녀 차별을 보이고 있다. [핵심어] 도로명, 명명 유연성, 통치성, 동일시, 구심적 도로명, 인명 도로명.

      • KCI등재후보

        충청 지역의 지명 연구 동향과 과제

        김순배 한국지명학회 2010 지명학 Vol.16 No.-

        Place name is not only a kind of proper noun constituted as spoken or written language, but also a geographical thing that indicates the natural and human environment experienced and perceived by human being in their place. While these place names have endowed the shape of place with the concrete boundary, territory and meaning, they have continuously worked on daily lives. Particularly, linguistic, cultural and geographical features included in a place name are indeed the basic characteristics demanding the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its. For examining the present status and trends of the study on place names in Chungcheong Province, the necessity for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in place names is calling for both the certain results and the problems. The study on place names in Chungcheong Province has been actively performing, so that it has accomplished many significant results than the other regions.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reflect on the methodology of the study on place names, and to inspect the problems and limits of the study on place names performed sinc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Chungcheong Province. For taking concrete form of the aim, I investigated the periodical and regional conditions and features related to the study on place names in Chungcheong Province, furthermore, and identified the concrete trends and the future tasks in the field of geography and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지명이란 인간이 거주하는 장소에서 그들이 경험하고 인식한 자연 및 인문 환경을 지칭하는 음성과 문자 언어 형태로 이루어진 고유 명사를 말한다. 특히 지명 자체가 품고 있는 언어적, 문화적, 지리적 특성들은 지명 연구의 다학문적인 접근을 요구하는 기본적인 성격이다. 지명 연구에 대한 학제적 접근의 필요성은 충청 지역 지명 연구의 현황과 동향을 분석하는데 일정한 성과와 함께 풀어야 할 과제를 동시에 요구하고 있다. 충청 지역의 지명 연구는 타 지역에 비해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많은 학문적 성과를 이루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제시대 이래 진행되고 있는 충청 지역 지명 연구의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지명 연구의 방법론을 반성하고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점검하려는데 있다. 이를 위해 충청 지역 지명 연구의 동향을 시대별, 시군별로 구분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고, 지리학계와 국어학계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지명 연구의 구체적인 동향과 앞으로의 과제들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후보

        하천 지명의 영역과 영역화

        김순배 한국지명학회 2009 지명학 Vol.15 No.-

        Place names necessarily have the territories in which the certain place names are indicated or commonly used, so that a study on place names needs the geographical and cultural- political approach. This feature of place names is related to the cultural politics that is concerned with the conflict and contestation among different social subjects over the meaning and meaning production of place names. The cultural politics over the place names in Korea has developed the diverse paths and aspects which have been forming and differentiating the place names' territories. Particularly, the social subjects have not only constructed and strengthened their territoriality and territorial identity, but also generated the diverse aspects of territorialization through which the territories of place names could enlarge, shrink, or fight against the other territories by the power relations. In order to analyze the formation, transformation, and territorialization of place names' territories, this article empirically examined both the formation and territorialization of river place names' territories. For investigating th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river place names, ‘Miho Stream(美湖川)’ originated from the native place name, Mikkuji, was analyzed. Also, the case that the territories of river place names have been enlarged, struggled, and transformed, so called the territorialization was analyzed centering around the ‘Geum River(錦江)’ and tributaries. 지명은 배타적으로 통용되거나 지칭되는 일정한 공간적 범위, 즉 영역을 반드시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지리적이고 문화정치적인 분석을 요한다. 다양한 사회적 주체들이 지명을 둘러싸고 벌이는 문화정치는 지명 영역이 형성, 경합, 분화되는 다양한 경로와 양상을 전개시켰다. 사회적 주체들은 특정한 이데올로기적인 지명을 부여하고 영역적 아이덴티티를 재현하는 지명을 생산하면서 자신들의 영역성을 구축하거나 강화해 나갔다. 이러한 과정은 다른 사회적 주체와 지명 영역 사이에 작용하는 권력관계에 의해 지명 영역이 확장, 축소, 쟁탈되는 영역화 양상으로 확대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지명의 영역 형성과 변동, 그리고 영역화 논의를 하천 지명을 사례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사회적 주체가 지닌 영역적 아이덴티티가 하천 지명의 영역 형성과 영역화에 연동되면서 재현되고 구축되는 다양한 양상을 살펴보았다. 특히 하천 지명의 영역 형성 및 변동과 관련하여 연기군 동면 예양리 ‘미꾸지’에서 유래한 ‘美湖川’ 사례를 분석하였고, 하천 지명 영역의 확대, 축소, 쟁탈과 관련된 다양한 영역화 양상에 대해서는 충청도 ‘錦江’ 유역에 분포하는 하천 지명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 KCI등재후보

        설악산권 자연지명의 의미와 지명 영역의 변화 -‘설악’과 ‘한계’를 중심으로

        김순배 한국지명학회 2014 지명학 Vol.21 No.-

        All toponyms(geographical names, place names) have necessarily their own meaning and territory which have been dissimilarly perceived and changed by social subjects using them. On the basis of these perceptions, this article aims to analyse the change of toponymic meanings and territories on 'Seorak Mountain' (雪岳山) and 'Hangye Mountain (Hangye Mountain path)' (寒溪山) in the present Seorak Mountain Area. There are four named sources as the toponymic meanings of 'Seorak Mountain', that is, snow-covered mountain, white rocky mountain, bluish-colored mountatin, and holy mountain.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1392-1910), the toponymic territory named 'Seorak Mountain' corresponed roughly to current 'Outer Seorak' (外雪岳), and 'Hangye Mountain' to 'Inner Seorak' (內雪岳). From the early 20th century to the present, 'Seorak Mountain' has been mostly named in the entire Seorak Mountain Area because of the expansion of Seorak Mountain's territory and the extinction of Hangye Mountain's one. Meanwhile, 'Hangye' written from 13th century, attacked by the powerful contested toponym, 'Seorak', remains in existence such as 'Hangye Mountain path', 'Hangye Stream', and 'Hangye Village'. Particulrarly, 'Hangye Mountain path' and 'Osaek Mountain path' have been contested each other for a long time. From the late 16th century to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Osaek Mountain path' had mainly used to indicate the mountain path, and then 'Hangye Mountain path' has eventually outstriped 'Osaek Mountain path' in the toponymic using since it was standardized and formalized by a government agency in 1961. And Korean native toponym, '*Bakdalra-jae~*Badrat-jae' (所等羅嶺) which was called in this area, have been divided into significantly different ‘必禮嶺’ (Pire-yeong) and ‘檀木嶺’ (Bakdal-ryeong) through the process of transcribing Korean with Chinese characters. 지리적 대상을 언어적으로 표현한 지명은 반드시 지명 의미와 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지명을 사용하는 사회적 주체들에 의해 시대에 따라 그 의미와 영역이 다르게 인식되어 변화해 왔다. 이같은 인식을 토대로 본 연구는 설악산권에 분포하는 ‘설악산’과 ‘한계산(한계령)’ 지명의 의미와 그것이 지칭하는 공간적 범위인 지명 영역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설악산(雪岳山)’ 지명은 크게 네 가지의 명명 유연성, 즉 ‘눈이 오래 쌓여 있는 산(雪嶽)’, 화강암 산지 환경을 반영하여 ‘눈처럼 하얀 돌산(石山)’, 멀리서 보면 ‘푸르게 보이는 산(靑峰)’, 그리고 ‘신성하고 영험한 산(뫼)’이라는 지명 유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설악산이 지칭하는 지명 영역은 조선 시대에 현재의 ‘외설악’은 ‘설악산’, ‘내설악’은 ‘한계산’으로 구별되어 불리어 오다가 20세기 초반을 지나 현재에 이르면서 ‘설악산’ 지명의 영역 확대와 ‘한계산’ 지명의 소멸로 인하여 설악산권 모두를 ‘설악산’으로 통칭하고 있다. 한편 13세기 문헌에 등재되기 시작한 ‘한계(寒溪)’라는 지명은 19세기 후반이래 ‘설악’이라는 강력한 경합 지명의 영역에 밀려 현재는 ‘한계령’, ‘한계천’, ‘한계리’ 등과 같이 ‘한계’를 전부 지명소로 하는 일부 지명만이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경합하는 고개 지명인 ‘한계령’과 ‘오색령’의 경우, 16세기 후반이래 일제강점기까지 ‘오색령’이 주로 사용되다가, 1961년 ‘한계령’으로의 표준 지명화 이후 ‘한계령’이 우세하게 사용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그리고 이 일대를 지칭하던 순수 고유지명인 ‘*박달라재~*바드랏재’(所等羅嶺, 所東羅嶺)를 한자로 차자 표기하는 과정에서 ‘必禮嶺’(피레영)과 ‘檀木嶺’(박달령)이라는 고개 지명이 생성되어 각기 다른 지명 영역으로 분화되었다.

      • KCI등재

        오스카 와일드와 빅토리아 시대의 남성성

        김순배 영미문학연구회 2019 영미문학연구 Vol.37 No.-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cope and sphere of the Victorian masculinity in terms of Oscar Wilde and his sexual identity as a man. When Wilde was convicted and sentenced to two years in jail with hard labor for committing the act of ‘gross indecency’ in 1895, the legal court of Old Baily shrewdly designed its narrative strategy of making a seemingly viable connection between the inappropriate act and Wilde’s sexual identity. As a result of the trial, most of the literary discourse with regard to Wilde and his literature has channeled onto the notion of homosexuality since then. In other words, the ‘legal’ or ‘lawful’ narrative has been dominating and delimiting the Wildean study even though it retains a certain logical fallacy in and of itself just as Laura Appleman argues in her judicial analysis. With my cultural and critical study of the Victorian masculinity, I hereby try to uncover the genuine spectrum of Wilde’s sexuality as a man. In so doing, I analyze how Wilde was eager to establish the notion of ‘new man’ and thereby counterculture in the Victorian fin de sièc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