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서해안 지역의 환경 오염에 의한 수산식품 오염실태 및 예방에 관한 연구(Ⅰ. 어류)

        김순경(Soon-Kyung Kim),이종화(Jong-Wha Lee),애정(Ae-Jung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6 No.5

        본 연구는 최근 수년 동안 공업단지가 조성되어 오염이 예측되는 서해안 일부지역을 대상으로, 이 지역에서 생산된 15종의 어류에 함유된 중금속(납, 수은, 카드뮴) 및 미량무기질 (구리, 아연, 철분)을 측정하여 실제 섭취량에서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수산식품의 오염정도와 식품내의 함유된 미량무기질을 이용한 예방책을 강구하고져 계획하였다. 어류에 함유된 납, 수은과 카드뮴의 평균 함량은 우리나라 규제치에 비하여 낮은 수준이었으나 일부 어류에서 기준치 이상의 결과도 보였다. 또한 납과 수은의 경우는 과거 같은 분야의 연구결과에 비하여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어류에 함유된 철분의 평균 함량은 돼지고기나 닭고기에 함유된 철분 함량과 유사한 수준이었으며 구리, 아연의 함량도 육류 함유량에 비하여 부족되지 않아 적절한 어류의 섭취는 철분, 구리, 아연 등의 좋은 급원으로 중금속 축적 예방에도 도움이 되는 식품이라하겠다. 실제 1일 어류섭취량을 기준으로 중금속 및 미량무기질의 실제 섭취량을 추정한 바, 허용 기준치 범위내에 있어 아직까지 오염의 염려는 없으나 과거의 연구결과에 비하여 다소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어류 중 중금속 및 미량무기질 상호간에는 납과 수은(p<0.0001), 카드뮴과 구리(p<0.0001), 카드뮴과 아연(p<0.05), 구리와 아연(p<0.05) 간의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서해안 수산식품 중 어류 중의 일부 중금속 함량은 다소 증가되고 있어 이에 대한 조속한 환경적인 예방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들 중금속의 인체내 축적을 방지하는데 어류의 적절한 섭취는 중금속 축적을 예방하는 방안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ntamination level of harmful heavy metals and the level of trace elements in 15 kinds of fish collected at the western coast in Korea from July to December in 1996. The levels of total lead, cadmium, mercury, iron, copper and zinc were determined an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inimum and maximum values(ppm) of fish, mean value bracketed, were; Pb: 0.02~4.80(2.26), Cd: 0.001~0.54(0.04), Hg: 0.007~1.08(0.52), Fe: 7.76~66.39(25.70), Cu; 0.37~121.6(10.90), Zn: 12.01~112.10(54.78). The results show that mean contents of Pb, Cd and Hg in 15 species fish were not yet dangerous levels enough to cause a health problem. But the contents of Ph and Hg tend to increase.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뽕잎추출물이 Zucker Rat의 체지방 축적에 미치는 효과

        김순경(Soon-Kyung Kim),선여(Sun-Yeou Kim),휘준(Hwi-Jun Kim),애정(Ae-Jung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0 No.3

        뽕잎의 체지방 축적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유전적으로 비만이 유도된 obese fa/fa male Zucker rat에 뽕잎 추출물을 경구투여하였다. 그 후 체중의 변화, 사료섭취량, 혈장 중 leptin, insulin, 중성지질과 콜레스테롤 함량과 간, brown adipose tissue 등의 중량을 측정하였다. 3주 동안 뽕잎추출물을 250 mg/kg of body weight의 농도로 처리한 뽕잎투여군의 경우 141%의 체중증가를 보였고, 대조군은 148%의 체중증가를 보여 뽕잎투여군의 체중증가가 7%정도 낮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1일당 체중증가량은 대조군 5.18 g, 뽕잎투여군은 4.15 g으로 뽕잎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1일 사료섭취량은 각각 25.69 g, 25.61 g으로 두군간의 사료섭취량에 차이는 없었다. 사료이용효율은 대조군과 뽕잎투여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대조군 0.205, 뽕잎투여군 0.185로 시료를 투여함에 따라 사료이용효율이 저하되는 경향이었다. Leptin과 insulin 함량은 대조군과 뽕잎투여군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leptin과 insulin 함량은 뽕잎투여군에서 각각 18%, 0.5% 높게 나타났다.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함량은 뽕잎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p<0.01) 낮게 나타났다. 총 콜레스테롤 중 HDL-콜레스테롤이 차지하는 비율은 뽕잎투여군(대조군의 158%)이 유의적으로(p<0.05) 더 높게 나타났다. 대조군과 뽕잎투여군간의 전체 체중당 간, brown adipose tissue 중량의 비율은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뽕잎 추출물을 obese fa/fa male Zucker rat에 체중당 250 mg의 용량으로 3주간 경구투여함으로써 대조군에 비하여 10% 정도의 체중감소를 보였고 사료섭취효율의 저하 효과도 관찰되었다. 또한 leptin의 함량은 증가되었고, 중성지질과 총 콜레스테롤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고, 총 콜레스테롤 중 HDL-콜레스테롤이 차지하는 비가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obesity of obese fa/fa male Zucker rats can be ameliorated by mulberry leav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ulberry treatment group and control group in body weight gain and food efficiency ratio. It also showed decreases of plasma triglyceride and totalcholesterol concentra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change in plasma leptin concentration between the control and mulberry treatment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ulberry leaves reduce serum lipid levels, but do not effect the plasma leptin concentration.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제라르 드 네르발과 부재의 원본

        김순경 ( Soon Kyung Kim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人文科學 Vol.105 No.-

        This study addresses Nerval’s obsession with resemblance, which continuously haunted hid mind. Many critics have revealed the importance of Nerval’s mental illness in his creative life. Through his writing, Nerval wanted to place a certain distance from his own self, abolish time, and distinguish between appearance and essence; he attempted to access the spiritual universe through reverie and “l’epanchement du songe dans la vie reelle (the outpouring of dreams in real life).” By doing so, he tried to cross the “portes d’ivoire (ivory doors)” and consciously externalize the hallucinatory delirium that overtook him during periods of manic excitement, as he did not believe in his insanity. The obsession with the image of a mother who disappeared precociously takes on considerable importance in Nerval’s life. The attempt to resuscitate this love deja perdu (already lost) through figures, both imaginary and real, bears witness to the solitude of his narcissistic world; the Nervalian object of desire is reduced to an ideal, life-saving image. Nerval’s various feminine figures are inseparable and repeat a supreme mode, ‘l’Unique (the one and only)’. The quest for l’Unique comes from the feeling of abandonment connected to the premature disappearance of his mother as well as the unfortunate love Nerval carried for the singer Jenny Colon, whom he excessively idealized. Nerval never stops looking for this mother, who was never present except in these substitutive representations, the resemblances of resemblances of appearances. The Nervalian desire is linked in essence to an image, not to the real object of his love. The more the image of the female is reduced to a sublime idea, and the more its absence is represented, the better it coincides with “l’amour des formes vagues, (...) des fantomes metaphysiques (the love of vagus forms, (...) metaphysical phantoms) so dear to Nerval. Nerval attempts to assemble all his feminine figures in the hope of finding ‘l’Unique’: his work is a true syncretism studded with the diverse incarnations of ‘l’Unique’. He creates a real woman in the form of a mythological and deified figure; Adrienne crowned with laurels comparable to Dante’s Beatrice “qui sourit au poete errant sur la lisiere des saintes demeures (who smiles at the poet wandering on the border of holy dwellings),” makes her appearance again in an allegorical representation of the Abbey of Chaalis. Adriennce bathed in angelic light is a spiritualized image and a mediator. With the death of Adriennce at the end, “l’original eblouissant (the splendid original)” becomes nothing more than a copy of copies: love for his, thus, is always “deja perdu”. He glides from one image to another in his successive metamorphoses to find l’Unique, but each image, always on the run, is only a copy of “l’original de l’absence(the original of the absence)”, of his entirely sacred mother; the repetition does nothing but emphasize “la non-existence(the non-existence)”. The feminine phantoms torment Nerval as much as they appeal to him; “C’est la mort-ou la Morte,,, O delice! o tourment! (It is death-or the dead... Oh delight! Oh torment!)”

      • Inmold 사출 장치의 개발을 위한 사출품의 성형해석에 관한 연구

        김순경(Soon-Kyung Kim),박정호(Jeong-Ho Park),태호(Tae-Ho Kim) 한국기계가공학회 2008 한국기계가공학회 춘추계학술대회 논문집 Vol.2008 No.-

        In the case of Inmold injection, It is a device which conducts injection and painting. In order to design it is important composition of devices to accurate feed of film and process of analysis which is a flow aspect of resin occurred in mold. it used program of plastic injection flow analysis in order to a flow aspect of resin. It might be used shape crystallization of products, design of mold and process of feed device.

      • KCI등재
      • SCOPUSKCI등재

        한국 성인 여자의 구리 섭취 상태 및 단백질에 의한 구리 대사에 관한 연구

        김순경(Soon Kyung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8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18 No.4

        건강한 여대생을 대상으로 하여 1일 총 열량은 체중 l㎏당 40kcal, 단백질은 체중 1㎏당 0.45g(Ⅰ단계식이), 0.60g(Ⅲ단계식이), 0.75g(Ⅱ단계식이), 0.90g(Ⅳ단계식이)의 4가지 수준으로 조정한 식이를 각각 5일간씩 20일간 섭취시키고 구리의 섭취량, 배설량및 대사를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br/> 1. Ⅰ, Ⅲ, Ⅱ와 Ⅳ단계 식이내의 구리함유량은 각각 0.86㎎, 0.70㎎, 1.86㎎과 2.34㎎이었다.<br/> 2. 소변중의 평균구리배설량은 Ⅰ, Ⅲ, Ⅱ과 Ⅳ단계 식이섭취 기간 동안 각각 0.12±0.03㎎, 0.16±0.02㎎, 0.35±0.08㎎과 0.11±0.02㎎으로 단백질 섭취량에 따른 유의적인 변화는 없었다.<br/> 3. 대변중의 평균 구리배설량은 Ⅰ, Ⅲ, Ⅱ와 Ⅳ단계 식이섭취 기간 동안 각각 1.23±0.16㎎, 1.28±0.25㎎, 0.99±0.01㎎과 1.85±0.19±㎎으로 4단계별 단백질 섭취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Ⅰ단계와 Ⅳ단계 식이섭취 기간 동안 대변중 평균 구리배설량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br/> 4, 평균 구리 balance 는 Ⅰ, Ⅲ, Ⅱ와 Ⅳ단계 식이섭취 기간 동안 각각 -0.48±14㎎, -0.74±0.26㎎, 0.52±0.12㎎과 0.38±0.20㎎으로 4단계별 단백질 섭취량에 따른 유의적인 변화는 있었으나 Ⅰ단계와 Ⅳ단계 식이 섭취시의 평균 구리 balance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p<0.05), 대변중의 구리배설량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5) The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level of protein intake on Cu metabolism in 6 healthy young adult women. The subjects were given 4 levels of protein diet, 0.45g (period Ⅰ), 0.60g (period Ⅲ), 0.75g (period Ⅱ) and 0.90g (period Ⅳ) of protein per Kg of body weight and 0.86㎎ 0.70㎎, 1.86㎎ and 2.34㎎ of Cu per day for 5 days respectively.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urine sample were collected everyday and fecal sample were collected for last 2 days of each dietary period. The samples were analyzed for Cu contents.<br/> Mean daily urinary Cu excretion were 0.12±0.03㎎ for period Ⅰ, 0.16±0.02㎎ for period Ⅲ, 0.35±0.08㎎ for period Ⅱ and 0.11±0.02㎎ for period Ⅳ, and the mean daily urinary excretion of Cu was not affected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level of protein intake.<br/> Mean daily fecal Cu excretion were 0.12±0.03㎎ for period Ⅰ, 0.16±0.02㎎ for period Ⅲ, 0.35±0.08㎎ for period Ⅱ and 0.11±0.02㎎ for period Ⅳ, and the mean daily urinary excretion of Cu was not affected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level of protein intake.<br/> Mean daily fecal Cu excretion were 1.23±0.16㎎ for period Ⅰ, 1.28±0.25㎎ for period Ⅲ, 0.99±0.01㎎ for period Ⅱ and 1.85±0.19㎎ for period Ⅳ, and the difference of the 2 periods Ⅰ vs Ⅳ was significant(p<0.05).<br/> Mean daily Cu balance were 0.48±0.14㎎ for period Ⅰ, 0.74±0.26㎎ for period Ⅲ, 0.52±0.12㎎ for period Ⅱ and 0.38±0.20㎎ for period N, and the difference of the 2 period of I vs N was significants (p<0.0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