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 그림이야기책에 기초한 이야기회상 및 이야기꾸미기 활동에 관한 연구

        김숙이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학논집 Vol.15 No.1

        This study explored and demonstrated the effects of children's narration and schooling effects in story recall and story production with the sequence of development of children's concepts of a story in picture-elicited productions. Story productions and story recall of 32 children from 4 through 5 years of age were analyzed using caldecott-awarded books with Bloom's taxonomy (knowledge, comprehension, application, analysis, synthesis, evaluation) and convergent, divergent questions, on Times 1, 2 and 3.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ctivity of study production engaged in more divergent thinking skills and creative narration with the questions, and goal-directed sentences and creative expression skills were greater. However, significant story-related quantitative effects as well as schooling-related qualitative effects were obtained with the story recall task. Furthermore, the children may enhance the deployment of the child's mental representation of the causal structure of stories and the children in Time 1 condition did significantly better than at Time 2 and Time 3. Also, gender-related effects are attributed to general development in memory capacity and deployment of cognitive resources, which girls more attributed the increase in recall to story event, mature memory strategies, casual relations and goal-based productions. Consequently, this study implies children's cognitive ability, convergent and divergent thinking skills which practice with detailed story representation and recall in the classroom may have transferred creative questions. 본 연구는 그림이야기책을 선정하여 이야기회상 및 이야기꾸미기를 실험처치로 구축하고 시간대별로(1, 2, 3) 나타나는 유아의 질문의 질과 문장구성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유아 32명으로 평균 연령은 만 4세와 5세의 유아들이었다. 실험절차는 먼저 그림이야기책의 표지와 내용을 읽어주고 내용에 적합한 발문을 통해 회상해보도록 한 다음 그림이야기책 내용을 재구성하도록 하였다. 발문은 Bloom의 질문단계에 근거가 되는 ‘지식, 이해, 적용, 분석, 종합‘에 따라 수행하였고 이에 따라 나타나는 유아의 질문의 질과 문장구성력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는 시간대에 따라 나타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ANOVA 및 MANOVA를 실시하였으며 추후분석으로 RISREL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시간대3인 일주일정도 지난 후 보다는 처음 제시한 시간대1에서 적절한 발문을 하였을때 보다 확산적인 사고 및 창의적인 문장기교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을 뿐 아니라 문장의 구성이나 이야기 다시 쓰기에서도 시간대3보다는 시간대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로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문장의 구조면에서도 목표지향적이고 인과관계를 수반한 다양한 문장 구성이 나타나 이야기를 회상하게 한 후 이야기꾸미기를 반복적으로 시도하여 활동을 전개했을때 학습효과가 두드러졌음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남아보다는 여아가 이야기회상 분량 및 특정사건 진행의 흐름, 그리고 인과관계의 흐름에 있어서 더 유연한 기교가 나타난 것으로 엿볼 수 있었다. 이는 그림이야기책의 반복적이고 소리내어 읽기를 실시한 후 유아들의 기억을 전제로 이야기를 꾸며보거나 재구성해보는 활동을 전개해 봄으로써 유아들의 인지능력 혹은 수렴적이고 확산적인 질문유형에 영향을 주고 있음이 시사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 KCI등재후보

        일본의 방과 후 활동 정책과 대학과의 연계 사례

        김숙이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22 방과후학교연구 Vol.9 No.3

        우리나라에서는 대학교육에서 정규 교육과정만큼 다른 다양한 활동을 중시하고 있다. 그 중 방과 후 활동은 대학과 지역사회와의 연계가 체계적으로 도입되어야 할 필요성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일본의 방과 후 활동 정책과 대학에서의 방과 후 운영 사례를 고찰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대학 방과 후 활동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가지고 방과 후 활동과 교과 외 활동의 개념을 고찰하고, 일본 방과 후 활동 정책 현황을 파악하였고, 대학과 연계한 방과 후 운영되는 사례로는 니시큐시대학, 시즈오카산업대학, 세이센여대, 릿쇼대학 등을 분석하였다.

      • KCI등재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과융합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사례 연구

        김숙이,김일혁,남궁정,신임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0 敎員敎育 Vol.26 No.2

        Current classrooms in Korea could be characterized as classroom for college entrance test, single-subject oriented classroom where intercommunication with other subjects does not occur, and teacher-oriented one-sided classroom where the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does not occur frequently. There are some difficulties to expect students' creativity increase in current type of classroom. Students' creativity is expected to increase through the 'amalgamative-subject' classroom. The study aims to increase students' creativity through developing amalgamative-subject program and practicing the program in classrooms. The study developed amalgamative-subject program and practiced the program to the whole students at Hongik university girl's middle school in 2009. Some evaluation specialist evaluated the program practicing results using evaluation indicators which were developed by the evaluation specialists. Amalgamative-subject program which enables 10 subjects to intercommunicate each other with the topic of 'space' and 'person' was developed. The study found that the amalgamative-subject program could produce students' creative learning outcomes. 현재의 교실 수업은 입시중심 교실 수업, 교과 간 단절 상태의 단일 교과 중심 교실 수업, 학생과의 소통이 대체로 적은 교사 측의 일 방향 진행 수업의 형태로 특징지을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의 수업으로는 학생들의 창의성 신장을 기대하는 데에 많은 한계가 있다. 창의성은 교과 간의 융합적 수업을 통해서도 신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사례 연구의 목적은 교과융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함으로써 학생들의 창의성 신장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이 연구에서는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과융합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홍익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여자중학교 전교생을 대상으로 2009학년도 1년 동안 교과융합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프로그램 실행 결과에 대해서는 외부 평가위원들이 개발한 평가 지표를 이용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공간’과 ‘인물’이라는 공통 주제를 가지고 10개 교과의 교과융합이 가능하도록 교과융합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개발된 교과융합 프로그램 실시 결과 학생들의 창의적인 교육 성과물이 산출되어 교과융합 프로그램을 통하여 창의적인 학습 성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