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자본론의 관점에서 탐색한 한국 중년층의 문해력 격차 연구: 독서활동 및 비형식 학습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수혜(Suehye Kim) 한국교육사회학회 2019 교육사회학연구 Vol.29 No.3

        본 연구는 Bourdieu의 문화자본론을 바탕으로 한국 중년층(50-65세) 베이비부머 세대 문해력 격차의 실태와 불평등의 원인을 구조적으로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OECD 국제성인역량 조사(Programme for the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dult Competencies, PIAAC)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먼저 본인의 교육수준과 직업지위가 높을수록 소설이나 교양서적 등의 독서활동을 더욱 빈번하게 영위하며 비형식 학습참여 가능성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출신배경(부모 학력, 청소년기 가정 내 장서)과 독서활동 및 비형식 학습참여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객체화된 문화자본인 청소년기 가정 내 책 보유정도만이 한국 중년층의 독서활동과 유의미한 관련성을 맺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한국 중년층의 빈번한 독서활동은 문해력 향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지만 비형식 학습참여의 효과는 뚜렷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인들의 관계를 보다 세밀하게 파악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수행한 결과, 출신배경이 본인의 사회적 지위를 통해 중년층의 독서활동과 비형식 학습참여에 발휘하는 간접효과가 상당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더불어 출신배경과 본인의 사회적 지위는 독서활동과 비형식 학습참여를 매개로 중년층의 문해력에 유의미한 간접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기대어 본 연구의 결론에서는 중년층의 독서활동, 비형식 학습참여, 문해력 불평등 관련 이론적 논의를 심도 있게 개진하였다. This study is to examine variations of reading habit, non-formal learning participation and literacy skills among the middle-aged(50-65 years old) population in South Korea adopting the Bourdieu’s cultural capital and reproduction theory. Empirical results from PIAAC(Programme for the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dult Competencies) data analyses demonstrate that those with more education and high skilled jobs tend to enjoy reading more frequently and to participate in non-formal learning in South Korea. In terms of home advantage, reading habitus is not closely associated with parents’ education but the number of books at home in adolescence matters for reading habit in the Korean middle-aged population. Indeed, the daily reading habit is related to an increase score in the PIAAC literacy assessment for the Korean middle-aged adults taking account of other key variables(gender, intergenerational SES, having a paid-job) associated with adult literacy skills. To illuminate a detailed pathway from social origin to literacy skills, I appl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is. The SEM finds strong indirect effects of social origin on reading habit and the non-formal learning participation via the middle-aged’s social status (education and occupation). It is also discovered that the reading habit and non-formal learning participation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generational attainment and literacy skills of the Korean middle-aged adults. In closing, I further discuss the inequality issue on reading, non-formal learning participation and literacy skills of the Korean middle-aged population from the intertwined theoretical perspectives in the sociology of education.

      • KCI등재

        한국과 영국 니트족 유입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적 비교연구

        김수혜(Kim, Suehy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한국청소년연구 Vol.30 No.1

        2008년 국제금융위기 이후 청년 실업 문제와 관련 OECD국가들은 정규교육이나 직업훈련을 받지 않으며 비고용상태에 있는 청년 니트족(NEET: Not in Employment, Education or Training) 감소를 주요한 도전과제로 삼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국과의 비교를 통해 한국 니트족 유입의 영향요인과 제 요인 간 구조적 관계의 특징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제성인역량 성취도 평가인 PIAAC 데이터를 활용하여 니트족 유입 여부에 대한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수행하였고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과 영국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된 니트족 유입의 유의미한 경로는 ‘성별/본인 교육수준 -> 근로경험-> 니트’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과 영국에서 니트족 유입은 노동시장 양극화에 따라 취업 취약계층으로 전락한 청년층이 직면하는 구조적 문제임을 암시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영국 청년층의 니트족 유입 가능성은 인지적 역량 및 본인의 교육수준과 직접적인 관련성을 맺고 있었으며 부모 교육수준의 간접적인 영향력 또한 지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과 다르게 한국 청년층의 인지적 역량 및 본인 교육수준과 니트족 유입은 직접적인 관련성이 포착되지 않았으나 평생학습 준비도가 긍정적인 영향을 발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청년층의 니트족 유입 위험을 줄이는 데 평생학습 준비도의 중요성을 새롭게 부각시키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다만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결과, 한국 청년층의 평생학습 준비도가 본인의 교육수준을 매개하는 효과 또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력에 따라 평생학습 역량 격차의 가능성에 주목하며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Since the global economic crisis of 2008, OECD countries have faced the challenge of how to reduce the number of young people 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 hereafter referred to as NEETs.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ich factors are related to the differences which exist between NEETs in both Korea and the UK. Using the Programme for the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dult Competencies (PIAAC), my research elucidated comparative evidence on the empirical association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with a probability of becoming a NEET. A common finding is that female or low educated young people are likely not to have had a paid job for 5 years, which leads to NEET status for both Korean and British young people. However, educational attainment and numeracy skills are not risk factors of NEETs in South Korea; in stark contrast to the U.K. British young people from disadvantaged social backgrounds are at risk of falling into NEET status, whereas this tendency is not observed among Korean NEETs.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shows that the readiness to learn amongst Korean young people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educational attainment and NEET status, implying a gap of readiness to learn within conventional schooling in South Korea.

      • KCI등재

        중학생의 컴퓨터·정보 소양 영향요인 간 구조적 관계 분석: ICT 활용 관련 학습자 및 학교 요인을 중심으로

        신형석 ( Hyoung Seok Shin ),김수혜 ( Suehye Ki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6

        COVID-19의 팬데믹 시대를 맞이하여 미래역량 개발의 일환으로 ICT 학습 및 ICT 리터러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제 교육성취도 평가협회(IEA) ICILS 2018 자료분석을 바탕으로 컴퓨터·정보 소양(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skills)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ICT 활용 관련 학습자 및 학교 요인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였다. 특히 ICT 기기 사용기간에 따른 ICT 활용 및 학습 양상의 차이를 파악하고, 이러한 차이가 컴퓨터·정보 소양에 영향을 발휘하는지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ICT 기기 사용기간이 길수록 ICT를 활용한 의사소통에 적극적이며 학교 내 ICT 학습과 수업시간 내 ICT 활용에도 더 활발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이러한 ICT 활용 및 학습이 중학생의 컴퓨터·정보 소양에 미치는 영향력은 서로 다르게 파악되었다. 먼저 수업시간에 ICT를 활용하는 빈도가 높을수록 컴퓨터·정보 소양 평가점수는 유의미하게 낮았다. 이와 다르게 학교 내 ICT 학습이 빈번할수록 컴퓨터·정보 소양 평가점수는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의사소통 관련 ICT 활용은 컴퓨터·정보 소양과 별다른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ICT 기기 사용기간은 중학생의 컴퓨터·정보 소양에 유의미한 간접효과를 발휘하였으며, 나아가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ICT 사용기간과 컴퓨터·정보 소양에도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론에서는 ICT 활용환경, 학교의 ICT 학습 등의 교육적 측면에서 컴퓨터·정보 소양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언하였다. In the middle of COVID-19 era, ICT learning and digital literacy importantly matters within the skill for future paradigm.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key factors related to ICT use of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CIL) using the IEA ICILS 2018 data of 8th graders in South Korea.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applied to identifying to what extents ICT use and ICT learning affect CIL as well as analyzing indirect effects of the period of ICT use on CIL. Ou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period of ICT use was positively related to ICT use and ICT learning at school, 2) the frequency of ICT use in class was negatively related to CIL, 3) ICT learning at school was positvely related to CIL, 4) the period of ICT use had indirect effects on CIL, and 5) family SES made a difference in the period of ICT use and CIL. Key results are further discussed for implications on how the ICT learning environment and ICT learning can be improved for better quality of education.

      • KCI등재

        서울시 고3학생들의 수학성취에 대한 개인 및 중·고등학교수준 영향요인 검증 : 교차분류무선효과 모형의 적용

        노언경 ( No Unkyung ),임혜정 ( Lim Hyejung ),손수경 ( Son Soo Kyoung ),김수혜 ( Kim Suehye ) 안암교육학회 2020 한국교육학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서울시 학생들의 학업성취 영향요인을 개인 및 학교수준에서 보다 면밀히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 초등학교 4학년 패널 4∼9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중학교와 고등학교 학교급을 동시에 고려한 교차분류무선효과모형(CCREM: Cross-Classified Random Effect Model)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중등교육의 최종 성취도인 고등학교 3학년 수학성취도에 대해 개인수준 및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학교수준 요인의 영향력을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먼저, 고등학교 3학년 수학성취에 고등학교 시기의 사교육 시간과 자기주도학습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중학교 시기의 교우관계와는 부적인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등학교 시기에 교사의 학생성취에 대한 기대 및 학교수준의 학생들의 학습태도 및 분위기가 고등학교 3학년 수학성취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서울시 학생들의 학업성취 격차 관련 학술적·정책적 시사점을 심도 있게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individual and school related factors associ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in Seoul city using data from 4th wave to 9th wave of the 4<sup>th</sup>-grade panel in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of 2010(SELS: 2010). In particular, we apply the Cross-Classified Random Effect Model(CCREM) into unpacking the black box of achievement gap from a detailed perspective of the input- Process-output model in which various factors affect the academic achievement at both individual and school levels. Because the SELS 2010 cohort students were cross-classified by the middle school as well as by the high school, the CCREM approach properly accounts for the cross-classified data structure. Drawing on a methodological rigor of the CCREM, our study analyzes multiple membership random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in Seoul city. Key findings of our study demonstrate that mathematics achievement of 12th graders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o what extent students have spent in private tutoring during their high school years. Also, self -directed learning ability is closely related to the high achievement of the mathematics assessment in the SELS 2010. Meanwhile, those with a strong peer attachment in the middle school years are likely to show a low achievement of the mathematics assessment. In terms of school effect, we find that teacher’s expectations and school climate seriously matter for mathematics achievement. Based on these results, we further discuss the implications for reducing achievement gap in Seoul 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