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로코 만화의 형성과 전개: ‘베데 앙가주망(BD engagement)’으로부터 ‘누벨 제네라시옹(Nouvelle génération)’으로

        김세리 ( Kim Se-ri )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20 프랑스문화연구 Vol.47 No.1

        L’objet de cette étude est d’examiner d’une part comment l’esprit de résistance, qui existe depuis longtemps dans l’histoire de la bande dessinée marocaine, s’exprime sous forme de ‘BD engagement’, c’est-à-dire, ‘Bande dessinée politique’, d’autre part comment la tendance conduit les jeunes dessinateurs arabes de notre temps. Depuis le ‘printemps arabe’, l’intérêt pour les pays arabes, notamment le Maroc, a été mené dans une certaine mesure, mais malheureusement des études sur la BD dans la culture marocaine ne sont pas encore examinées en Corée. Par conséquent, nous avons examiné le processus historique de la BD marocaine qui a commencé après son indépendance de la France, et aussi ce processus à la lumière de la situation sociale des pays arabes actuels au sein de la société internationale afin d’explorer une autre possibilité de la BD. Ce n’est certainement pas sans rapport avec le printemps arabe qui a commencé avec la ‘révolution du jasmin’ dans la Tunisie, et cela fait sentir vraiment la nouvelle tendance des dessinateurs arabes de notre temps qui participent à des mouvements politiques à travers divers médias. De plus, le Maroc est un pays qui a utilisé la BD comme un outil de résistance et de lutte dans une longue histoire avant la Tunisie. En particulier, Abdelaziz Mouride, qui a été emprisonné comme prisonnier politique aux années de plomb, a construit une nouvelle tendance de la BD à travers son oeuvre On affame bien les rats!, avant Maus et Palestine. Autrement dit, son oeuvre était l’origine de la ‘BD reportage’ ou du ‘Journalisme comique’. D’ailleurs, en rappelant que l’esprit qui a donné naissance aux premiers bandes dessinées venait de la satire et la critique, on peut dire que la BD comme médias peut être à l’avant-garde de la transformation sociale, pas seulement du divertissement. En outre, les dessinateurs marocaines d’une nouvelle génération éssaient les activités expérimentales pour créer les caractères uniques. La balance entre la tradition arabe et la nouvelle tentative sera un autre devoir à faire dans l’histoire de la BD marocaine.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서비스산업 종사원의 사회적 교환관계 인식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

        김세리(Se-Ri Kim),권문호(Mun-Ho Kwon) 한국콘텐츠학회 200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8

        본 연구의 목적은 외식산업을 중심으로 한 서비스산업 종사원의 인식된 사회적 교환관계와 조직시민행동 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서비스산업의 인적자원관리의 효율성을 제고하는데 있으며,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적 연구와 구조모형분석을 이용한 실증적 연구를 함께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회적 교환관계는 인식된 상사지원, 인식된 동료지원, 인식된 조직지원으로 구성하였고, 조직시민행동은 개인에 대한 조직시민행동과 조직에 대한 조직시민행동으로 구성하여 각 변수들 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였으며,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서비스산업의 인적자원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relation between the perceived social exchange of employees in service industry, which is focused on food service industry, and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o consider the efficiency of human resources management in service industr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documentary study and an empirical study based on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carried out. In this study, the social exchange consist of perceived leader support, perceived coworker support, and perceived organization support. Also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consist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r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r organization. And then, the 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was found out. Finally, based upon the results of analysis, this study was suggested for human resources management in service industry.

      • KCI등재

        朝鮮 前期 名門家의 茶文化觀 硏究

        김세리(Se-Ri Kim),조희선(Hee-Sun Cho) 한국차학회 2012 한국차학회지 Vol.18 No.2

        People in contemporary times have shown increased interest in tea and there are more opportunities to drink tea. However, research into fundamental reasons and philosophies regarding tea has not been sufficient. This dissertation is aimed at research on the view point of drinking tea. This study utilized 668 poems of 119 scholars' from the beginning of the Chosun dynasty until western invasion as basic material for research.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etails on families who enjoyed tea cultur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tea culture was regarded externally as a part of a luxurious life style, and internally as a way of fostering moral character. However, it was, of course, a medium of social cohesion.

      • KCI등재
      • KCI등재

        미적 경험으로서의 부조리

        김세리 ( Se Ri Kim ) 한국미학예술학회 2005 美學·藝術學硏究 Vol.22 No.-

        Quand on parle de ``l`experience esthetique`` en general, on pense aux sentiments eprouves au contact des oeuvres d`art. Mais si l`on se souvient que les discours sur la beaute depuis l`Antiquite, ont souligne la relation entre l`etre humain et le monde exterieur, c`est-a-dire, la Nature, il faut admettre que l`experience esthetique ne soit pas limitee aux sentiments ressentis devant les creations artificielles des hommes. Dans cette perspective, nous avons un bon exemple de l`absurde pour etendre la categorie de l`experience. Alors, pour placer l`absurde dans le domaine de l`experience esthetique, notre argument suit ce processus: Premierement, l`absurde touche comme ``sentiment``, donc on peut le traiter dans le domaine esthetique. Deuxiemement, c`est le sentiment du deplaisir qui cause le sentiment tragique de l`existence. Troisiemement, de meme que le sublime est considere comme experience esthetique en tant que ``plaisir deplaisant``, l`absurde aussi peut etre traite comme experience esthetique. Quatriemement, l`absurde devient le plaisir dans la mesure ou il concerne la creation de l`art; C`est-a-dire qu`a la differece du sublime, l`absurde venu du sentiment existentiel est le deplaisir, mais l`art absurde peut provoquer le plaisir. D`ou vient le resultat que l`on pourra en tirer: 1. L`absurde est une sorte d`experience esthetique comme le sublime. 2. Quand l`absurde se manifeste a travers l`oeuvre d`art, ce sentiment du d`plaisir peut devenir aussi le plaisir dans le domaine artistique. Il nous semble donc que les probleme souleves dans l`introduction peuvent se resoudre. L`absurde fonctionne en tant qu`experience esthetique elargie en passant du domaine de l`experience du monde au domaine de l`experience artistique. Desormais nous sommes face a une autre possibilite qui est que l`absurde peut etre edifie comme experience esthetique susceptible d`etre en usage non seulement dans le domaine litteraire mais aussi dans tous les arts, de meme que l`esthetique du sublime peut etre appliquee a la fois a la litterature et aux autres arts.

      • SCOPUSKCI등재

        들깻잎과 생산환경에서 분리한 Bacillus cereus의 독소 유전자와 항생제 감수성 분석

        김세리(Se-Ri Kim),이지영(Ji-Young Lee),이서현(Seo-Hyun Lee),류경열(Kyoung-Yul Ryu),박경훈(Kyeong-Hun Park),병석(Byung-Seok Kim),윤요한(Yo-Han Yoon),심원보(Won-Bo Shim),경열(Kyoung-Yul Kim),하상도(Sang-Do Ha),윤종철(Jong-Chul Yun) 한국식품과학회 2011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3 No.2

        본 연구는 들깻잎과 들깻잎 생산환경을 대상으로 276개의 시료를 채취하여 B. cereus를 분리 하였다. 분리된 B. cereus 200주의 toxicity를 평가하고자 독소유전자와 항생제내성을 검색하였다. 그 결과 분리된 균주에서 11개의 서로 다른 독소유전자 패턴은 확인하였으며 5개의 설사형독소와 구토형 독소를 모두 생성할 수 있는 균주는 21%였다. 가장 빈번하게 검출되는 독소유전자는 nheA(100%), enFM(100%), hblA, C, D(66.5%)였으며 EM은 가장 낮은 빈도(21.0%)로 검출되었다. 항생제 내성평가결과 분리된 대부분의 B. cereus는 18종의 항생제 중 10개의 항생제에 대해서는 감수성이었으나 β-lactam계 항생제인 penicillin(100%), ampicillin(100%), oxacillin(94.9%), amoxicillin-clavulanic acid(95.6%), cefazolin(78.2%)과 비β-lactam계 항생제 rifampicin(58.0%)에 대해서 저항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들깻잎과 들깻잎 생산환경에서 분리된 B. cereus의 독소유전자와 항생제내성 패턴은 서로 유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들깻잎에 오염된 B. cereus에 의하여 설사형 뿐만 아니라 구토형 식중독이 발생할 가능성을 시사하며 들깻잎과 생산환경에서 항생제 저항성 B. cereus가 검출되어 의약계뿐만 아니라 농업현장에서도 항생제내성균주 출현을 예방하는 대책이 요구된다. Two-hundred Bacillus cereus isolated from perilla leaf cultivation areas in Miryang, Korea were investigated for toxin genes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Toxigenic patterns of isolates were identified to be 11 groups through toxin gene profiles. 21% of strains isolated from the perilla leaves had both enterotoxin and emetic toxin. Toxin genes entFM (100%), nheA (100%) and hblA, C, D (65.5%) were frequently found in the perilla leaves, whereas EM (21.0%) was less common. Most isolates were susceptible to 10 antibiotics, but they were highly resistant to penicillin (100%), ampicillin (100%), oxacillin (94.9%), amoxicillin-clavulanic acid (95.6%), cefazolin (78.2%), and rifampicin (58.0%).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ood-borne outbreak caused by B. cereus might lead to diarrhea and emetic syndromes.

      • KCI등재
      • KCI등재

        외국대학 이러닝 수업 운영에 관한 사례 연구

        김세리 ( Se Ri Kim ),정영숙 ( Young Sook Jung ),정영란 ( Young Ran Jou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 원격대학의 이러닝 수업 운영 사례를 학습자의 입장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국내 이러닝 수업 운영 전략 개발에 구체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2004년부터 2005년까지 2년에 걸쳐 미국의 피닉스 대학(University of Phoenix), 캐나다 UBC(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영국 OU(Open University), 호주 OUA(Open Universities Australia)에서 제공하는 이러닝 강좌 한 개씩을 연구자들이 직접 수강하였다. 주요 자료 수집 방법은 수강자의 수업 구성 요소 추출을 위한 학습일지 작성, 수강과정에서 접한 각종 온라인 상호작용 메시지 분석, 교재·콘텐츠·시스템 등에 관한 관찰이었다. 자료 분석을 위한 틀은 이러닝 수업 모형, 구성요소, 질 평가 준거 관련 선행연구에서 이러닝 수업과 연관성이 깊다고 판단되는 영역들, 즉 1) 콘텐츠, 2) 교수-학습 활동, 3) 학습관리시스템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토론 등 상호작용 내용 분석 도구로는 Bonk(2003)의 상호작용 내용 분석 도구를 수정하여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제시된 이러닝 수업 운영 전략과 관련된 시사점들은, 우선 콘텐츠 측면에서는 학습자 활동중심 전략의 활용과 학습설계로의 관점이동, 수준별학습 및 교재와의 상보적 관계를 위한 콘텐츠 활용, 교수-학습 목표에 적합한 멀티미디어 활용 등이 제안되었다. 또한, 교수-학습 활동 측면에서는 학습자간 상호작용 활성화, 활동 중심의 수업 운영 전략 도입, 과정중심의 수행평가 개념의 도입 등을 제안했다. 이러한 시사점에 근거하여 향후 우리나라 대학에서의 이러닝 수업 운영에 대한 주요 개선 방안 및 발전 과제와 후속 연구들이 제안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to analyse cases on e-learning teaching in oversea universities; and (2) to specify strategies for e-learning teaching derived from the case analyses. In order to achieve the puposes of the study, data collection was implemented by taking the e-learning courses, from 2004 to 2005, offered by the following universities: University of Phoenix in the United States;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in Canada; the Open University in the United Kingdom; and Open Universities Australia in Australia. The major framework used to compare the cases of e-learning teaching is composed of contents, learning-teaching activities, and learning management system.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online discussion forums of the courses as well as learning journals recorded by researchers while taking the courses. The tool analyzing interaction contents developed by Bonk (2003) was used to analyze the discussion forum contents. The following strategies for e-learning teaching were suggested. First, in the aspect of contents, the design of the contents should be learning-centered rather than teaching-centered; and the use of multimedia should be strategically used based on learning-teaching models. Second, cooperative learning and activity-centered learning should be integrated into e-learning teaching processes. Finally,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 should support e-learning interaction tools to be more elaborated for the usability and increase of participation.

      • KCI등재

        고등학교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영향을 주는 교수매체 활용 관련 변인 탐색

        김세리 ( Se Ri Kim ),장선영 ( Seon Young Jang ),남창우 ( Chang Woo Na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2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8 No.3

        매체의 교육적 활용은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므로, 매체활용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변인들을 찾고 이들이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조망해볼 필요가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매체활용과 관련된 변인들이 전문계/인문계 고등학교 학습자의 자기주도적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매체활용교육과 관련된 변인 중 학습자 및 교사와 관련된 변인들을 포함시킨 후, 서울시에 소재한 전문계 고등학교와 일반계 고등학교 학습자와 교사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2수준 다층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전문계 고등학교 학습자 변인 중 EBS 주당 시청시간, EBS 이용여부, 그리고 컴퓨터 활용 능력 변인이, 교사 변인 중 온라인 교수-학습지원체제 활용도와 컴퓨터와 인터넷 활용도 변인이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계 고등학교 학습자 변인 중 EBS 도움여부, 컴퓨터 활용 능력 변인과 학부모의 학교 홈페이지 이용 빈도 변인이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학생의 올바른 매체활용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및 교사의 매체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커뮤니티 구축 및 교사의 효과적인 매체활용을 지원하는 방안 등이 모색되어야 한다는 결론 등이 도출되었다. 이밖에도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연구가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variables of the use of media in education affect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vocational and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dataset collected from students and teachers of vocational and academic high school were used, and two-level (level-1: student, level-2: school(teacher)) hierarchical linear models was used for the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as followed: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for vocational school students indicated that ``students`` watching time of EBS program per week`, ``students`` perceived support of EBS program`, and ``students` ability of using computer`` effects on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y also showed that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frequencies of instructional support system use``, and ``frequencies of internet`` and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econd, the results of this study for academic school students indicated that ``students` perceived support of EBS program``, ``students` ability of using computer``, and ``frequencies of parents`` visiting website of their child`s school` effects on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y also indicated that at the level-2(school(teacher)),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all variables in the use of media in Education and students` self directed learning 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