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日本語の認識的モダリティに関する研究―真性・疑似形式の意味的連続性を中心に―

        김세리 대한일어일문학회 2022 일어일문학 Vol.95 No.-

        본고는 일본어의 인식모달리티(認識的モダリティ)에 관한 연구로 다음의 5가지 문말형식을 분석 대상으로 한다. 仁田(2000)는 인식모달리티가 형식 자체에 화자의 주관성을 전달할 수 있는 의미 기능을 갖고 있느냐의 여부에 따라 다음과 같이 두 부류로 구별했다. 진성(真性)형식의 ‘だろう’와 유사(疑似)형식의 ‘ようだ, らしい, はずだ, (し)そうだ’이다. 전자와 달리 후자는 형식 자체 내에 주관성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어 떤 사태에 대한 화자의 입장을 정당화시키기 위해 시각, 청각, 촉각 등의 감각 정보를 이용한다. 따라서 진성형 식은 대개 주관의 의미영역에, 유사형식은 객관의 의미영역에 가깝다고 평가한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화자의 주관이 개입됨에 따라 문장의 의미가 바뀔 수 있다고 가정하고 있다. 즉 주관에서 객관으로 또는 객관에서 주 관으로의 방향성을 의미한다. 분석방법에는 김세리(2022)에서 제시한 ‘인식모달리티의 추론과정’이라는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화 자의 주관성이란 추론의 종류(연역, 귀납, 가추 등)에 구애받지 않고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진성형식 은 유사화되기도 하고 유사형식은 진성화되기도 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하나의 동일한 형식 이 객관에서 주관으로 또는 주관에서 객관으로 전환되는 현상을 일컬어 의미적 연속성을 띤다고 기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의 인식모달리티 분류 기준을 검토하고 체계 전반을 재정비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 이를 위해 향후에는 구문론 및 화용론의 관점까지 포괄하여 균형 있는 분석을 이어나가고자 한다.

      • KCI등재

        당질미(Sugary Rice)의 이화학적 특성

        김세리,송유천,신말식,이석영,조준현,이지윤,하운구,영두,구연충,호영 韓國作物學會 2006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51 No.1S

        연구는 쌀의 다양한 용도개발을 위하여 당질미 계통들의 작물학적 및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당질미 계통들의 간장은 평균 90 cm로 남평벼에 비하여 6 cm정도 컸으며 현미 천립중은 10.2~22.2g 으로 남평벼보다 가벼웠다. 또한 현미 평균 수량은 159~473kg/10a 로서 큰 변이를 보였다. 2. 당질미들의 아밀로스를 제외한 일반성분 및 무기성분의 함량은 대부분의 경우 남평벼보다 많았으며 당함량은 남평벼에 비하여 최저 2.4에서 최고 6.1배 가량의 높은 당함량을 보였다. 특히 다른 당에 비하여 sucrose 함량이 높았다. 3. 아밀로펙틴사슬분포에서 당질미 계통들은 DP12 의 비율이 높고 12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gronomical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ive newly bred sugary lines in YARI (Yeong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that developed from the cross of sugary and Hwayeongbyeo, Hwasambyeo and Seomjinbyeo. Culmlength of newly bred sugary lines were longer than that of Nampyeongbyeo as 84.2~99.3cm . However the weight of 1,000 grains and yield were lower than that of Nampyeongbyeo by two to three times. According to physicochemical properties, most of the new bred sugary lines showed low contents of amylose and mineral compare to normal varieties. And all sugary lines showed much higher amount of the sucrose and glucose contents compare to Nampyeongbyeo. Especially the sucrose content of newly bred sugary line, 55413, was 5 times higher than that of Nampyeongbyeo nevertheless, fructooligosaccharide and isomaltooligsac charide were not detected. The amylopectin constitution of sugary lines showed more chairs of DP (Degree of Polymerization)<12 but fewer chains of DP 13~24 compare to Nampyeongbyeo. Newly bred sugary lines were lower viscosity in RVA (Rapid Viscosity Analysis).

      • KCI등재

        위계선형모형(HLM)을 통한 영유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변화 추정

        김세리,조혜림,이강이 열린부모교육학회 2017 열린부모교육연구 Vol.9 No.4

        이 연구에서는 자녀가 0세부터 3세가 될 때까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변화를 살펴보고, 이에 어머니의 취업여부, 자녀가치(정서적, 도구적), 남편의 양육참여, 사회적 지원이 미치는 영향을 위계선형모형 분석(Hierarchical Linear Models, HLM)을 사용하여 시간차원에 따라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육아정책연구소에서 실시한 한국아동패널(PSKC)의 2008년부터 2011년도까지의 총 4개년도의 자료의 어머니 1754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개인의 양육스트레스 초기치와 변화율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에 대한 정서적 가치, 도구적 가치, 남편의 양육참여, 사회적 지원, 어머니의 취업여부를 투입한 결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의 초기치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적 가치, 남편의 양육참여, 사회적 지원이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변화량을 나타내는 기울기를 함께 살펴보면 정서적 가치만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무선효과의 초기값과 변화율이 유의하게 나타나 이는 정서적 가치가 개인 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변화율을 잘 설명해주는 변수이며, 정서적 가치가 높을수록 양육스트레스의 증가속도가 낮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양육에 대한 어려움이 증가하고 새로운 부모역할을 경험하는 영유아기 어머니를 중심으로 양육스트레스 변화 추정에 핵심이 되는 요인을 밝힘으로써 양육스트레스 대처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그래픽 네그리튀드(Graphic Négritude)’ : ‘콩고스트립스(Congostrips)’에서 ‘아프로-뷜(Afro-bulles)’까지

        김세리 서울대학교 불어문화권연구소 2015 불어문화권연구 Vol.25 No.-

        Cet article se propose d'examiner le regard colonisé, et sa décolonisation, dans la BD africaine au moyen du concept de "Négritude graphique", et ainsi, de dégager une identité culturelle de l'Afrique après son indépendance politique. Pour illustrer cet examen, nous prenons comme exemple le cas du Congo. Comme on le sait, de la période coloniale à nos jours, la BD congolaise a été inévitablement influencée par la BD franco-belge puisqu'un nombre important de dessinateurs congolais ont étudié en Belgique. Alors on est en droit de se poser la question : est-ce qu'il y a une différence entre les mondes présentés par ces dessinateurs, celui d'avant l'indépendance et celui d'après ? Existe-t-il une BD purement africaine? Pour répondre à ces questions, nous avons suivi le processus de formation de la BD congolaise originale à travers son histoire. La bande dessinée africaine émerge depuis 2010, cinquantième anniversaire de l'indépendance de l'Afrique. En effet, après la naissance de "Congostrips", un dessinateur congolais, Alix Fuilu a créé "Afro-bulles" en 2002, une association spécialisée dans l'édition et la promotion de la BD africaine. Le mouvement actuel pourrait s'appeler "Négritude visualisée", autrement dit, "Négritude graphique". Quelle est alors la différence entre la Négritude littéraire des années 30 et la "Négritude graphique" de nos jours? Enfin ce mouvement peut-il présenter une nouvelle alternative pour surmonter la limite de la Négritude littéraire? Inévitablement la "Négritude graphique" partage la même sorte de limite que la Négritude classique. Celle-ci a utilisé la langue française comme outil pour exprimer l'originalité de la culture africaine, même si la plupart des Africains n'avaient pas la culture de l'écriture mais celle de l'oral. De même, la Négritude graphique utilise une langue graphique influencée par l'Europe et, de plus, les dessinateurs africains sont obligés d'accepter la logique commerciale du monde de l'édition européenne pour mettre en oeuvre leur mouvement. Mais, ces jeunes dessinateurs connaissent bien cette limite; ils essaient même de représenter la trace historique de la période coloniale dans leurs BD. Peut-être l'acceptation de cette grammaire graphique universelle fonctionne-t-elle comme un bon instrument pour présenter au monde leur "vraie" histoire, en mettant en scène des réalités contemporaines africaines. Alors que la Négritude littéraire d'auparavant a aidé à réaliser l'indépendance politique en suscitant un regard critique sur la culture africaine, la Négritude graphique contemporaine aiderait à réaliser l'indépendance culturelle après celle de la politique africaine. Par ailleurs, la Négritude graphique comme nouvel essai de surmonter le colonialisme classique, est aussi un effort pour surmonter la limite de la Négritude littéraire des années 30. Cependant, il est encore trop tôt pour juger de la réussite de ce mouvement en plein développement.

      • KCI등재

        튀니지에 도래한 '만화의 봄' : <이르판>(1965)에서 <랩 619>(2013)까지

        김세리 서울대학교 불어문화권연구소 2017 불어문화권연구 Vol.27 No.-

        Ces dernières années, s’appuyant sur une longue et riche histoire, la bande dessinée africaine a rapidement émergé avec l’apparition de plusieurs festivals et de nouvelles revues consacrés au 9eart. La BD adulte s’est développée comme moyen d’expression, de critique, de satire et de contestation politique. Au sein de ce courant, la BD tunisienne occupe une place centrale. Notre article entend éclairer l’identité de la BD tunisienne en réfléchissant sur son histoire après l’indépendance survenue en 1956. En 1965 paraît le numéro 1 d’<Irfane>, première revue tunisienne pour enfants. On trouve Bouhaoual en 1979 dans les pages de l’hebdomadaire <Réalités> et dans <Le Poulet au pied>, avec une BD à caractèrepolitique, considérée comme la première du genre publiée en Tunisie. Cette tendance s’est poursuivie avec la nouvelle génération de la ‘Révolution de jasmin’, fer de lance du ‘Printemps Arabe‘ en 2011. Depuis la chute de Ben Ali, une nouvelle accessibilité via l’internet, les médias sociaux et les portables a joué un grand rôle dans l’essor de la BD, permettant ainsi d’améliorer sa diffusion mais aussi d’échapper à la censure. Les revues <Koumik> et <Lab 619> sont nées dans ce contexte, et une dessinatrice tunisienne, Nadia Khiari, auteure de <Willis de Tunis>, a reçu le prix ‘Couilles-au-cul’ au festival d’Angoulême en 2016, prix récompensant “le courage artistique d’un auteur”. Les jeunes dessinateurs tunisiens se sont lancés dans le ‘Comics Journalism’ (dont Joe Sacco a été un des pionniers avec son ouvrage <Palestine>) à leur manière propre. Malgré une réalité difficile, sur les plans politique et religieux notamment, nous espérons l’avènement d’un ‘Printemps de la BD’ suivant les brisées du ‘Printemps Arabe’ en Tunisie.

      • KCI등재

        Escherichia coli와 Bacillus cereus에 오염된 상토, 토양 및 관개용수가 상추의 미생물 안전에 미치는 영향

        김세리,이서현,원일,병석,준환,정덕화,윤종철,류경열 한국원예학회 2012 원예과학기술지 Vol.30 No.4

        최근 상추와 같은 농산물에 의한 식중독사고가 발생하고 있으며 그 원인으로 병원성 미생물에 오염된 퇴비, 관개용수의 사용이라고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육묘단계의 상토, 재배과정의 토양, 관개용수의 Escherichia coli와 Bacillus cereus 오염이 상추의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상토는 두 균주로 7.5log CFU/g 수준으로 오염시킨 후 상추종자를 파종하고 28일간 생육시켰고, 오염되지 않은 토양과 6.0log CFU/g 수준으로 오염시킨 토양에 오염된 상토에서 21일간 자란 묘를 이식하고 49일간 인공기상동 (25℃, 상대습도 70-80%)에서 생육시켰다. 또한 8.0log CFU/mL로 오염된 관개용수로 지표면 관수법과 살수관수법으로 상추에 관수하고 40일간 병원성 미생물의 오염 및 생존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육묘기의 상토와 상추 중 E. coli와 B. cereus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지만 육묘기 내내 생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토양에서는 42일간 E. coli와 B. cereus가 6.0log CFU/g 내외로 유의적인 감소 없이 유지되고 있었다. 오염된 토양에 이식된 상추는 21일째까지 E. coli와 B. cereus의 농도가 4.0log CFU/g 이상 유지되었고 이식 후 42일까지도 검출되었다. 또한 살수관수법으로 처리한 구에서 지표면관수법으로 처리한 구보다 상추의 오염수준이 5.0log CFU/g 정도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병원성미생물에 오염된 상토, 토양, 관개용수는 농산물의 병원성미생물 오염에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Many outbreaks of food-borne illnesses have been associated with the consumption of fresh vegetables and fruits contaminated with food-borne pathogens. Contaminated medium, manure and irrigation water are probable vehicles for the pathogen in many outbreak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otential transfer of Escherichia coli and Bacillus cereus from medium and soil fertilized with contaminated compost or irrigation with contaminated water to the edible parts of lettuce. Moreover, survivals of the two pathogens on lettuce contaminated medium, soil and irrigation water were estimated. Lettuce seeds were planted in medium contaminated with 7.5 log colony forming unit (CFU)/g of E. coli and B. cereus. Seedlings grown in the contaminated medium were transplanted in soil fertilized with contaminated pig manure compost or uncontaminated soil. Contaminated irrigation water with E. coli and B. cereus at 8.0 log CFU/mL was applied only once on the plant by sprinkle irrigation and surface irrigation. Although E. coli and B. cereus in medium and sprouted lettuce after planting seeds were reduced as time passed, these pathogens survived in seedling raising stage for extended periods. The numbers of E. coli and B. cereus in lettuce grown on contaminated soil were detected over 4.0 log CFU/g for 21 days. The numbers of E. coli and B. cereus in lettuce applied by sprinkle irrigation were higher than those of surface irrigation by 5.0 log CFU/g. Our results indicated that contaminated medium, soil and irrigation water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resence of food-borne pathogens on vegetables.

      • KCI등재후보

        외식산업의 리더십, 임파워먼트, 조직유효성에 관한 구조모형 분석

        김세리 한국콘텐츠학회 200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6 No.12

        This study aims to increase effectiveness of human resources management of food service industry by identifying relationships if influence among leadership of managersupervisor, employee'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food service industry.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documentary study and empirical study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Based upon the relationships among leadership,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food service industry, comprehensive methods for human resources management can be presented. 본 연구는 외식산업 경영관리자의 리더십과 종사원의 임파워먼트, 그리고 조직유효성 간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여 외식산업의 인적자원 관리의 효율성을 제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적 연구와 구조모형분석을 이용한 실증적 연구를 함께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외식산업의 인적자원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농산물 접촉 표면 재질에 따른 Escherichia coli O157:H7의 생존 및 상추로의 교차오염도 조사

        김세리,병석,최송이,서민경,원일,정덕화,류경열,윤종철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13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28 No.3

        To evaluate the effect of surface contaminated with Escherichia coli O157:H7 (E. coli O157:H7)on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lettuc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ttachment, biofilm producing,survival, and cross-contamination of E. coli O157:H7 on stainless steel and polyvinyl chloride (PVC). The attachment rate of E. coli O157:H7 on PVC was 10 times higher than that on stainless steel after exposure 1 h in cell suspension. However, there was not a difference between two types of surface after exposure for 6 h and 24h. The biofilm producing of E. coli O157:H7 was TSB > 10% lettuce extracts > 1% lettuce extracts > phosphate buffer. When two kinds of materials were stored at various conditions (20oC and 30oC, relative humidity (RH) 43%, 69%, and 100%), the numbers of E. coli O157:H7 at 30oC, RH 43% or RH 69% were reduced by 5.0 log CFU/coupon within 12 h regardless of material type. Conversely, the survival of E. coli O157:H7 at RH 100% was lasted more than 5 days. In addition, the reduction rate of E. coli O157:H7 was decreased in the presence of organic matter. The transfer efficiency of E. coli O157:H7 from the contaminated surface to lettuce was dependent upon the water amount of the surface of lettuce. Especially, the transfer rate of E. coli O157:H7 was increased by 10 times in the presence of water on the lettuce surface. From this study, the retention of E. coli O157:H7 on produce contact surfaces increase the risk cross-contamination of this pathogen to produce. Thus, it is important that the surface in post harvest facility is properly washed and sanitized after working for prevention of cross-contamination from surface. 본 연구는 polyvinyl chroride (PVC)와 stainless steel 표면에서 E. coli O157:H7의 부착, 바이오필름형성, 온·습도에 따른 생존율을 조사하고, E. coli O157:H7이 오염된 작업대 표면에서상추로의 교차오염도 조사를 통하여 E. coli O157:H7에 오염된작업대가 상추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작업대 표면 재질인 PVC와 stainless steel에E. coli O157:H7 배양액을 1시간 노출시켰을 때, PVC의 경우,stainless steel 보다 10배 정도 부착력이 높았으나, 6시간째는두 재질간의 차이가 없었다. 또한, E. coli O157:H7의 바이오필름 형성은 TSB > 10% 상추추출액 > 1% 상추추출액 > phosphatebuffer 순이었으며, 재질별로는 PVC에서 바이오필름형성능이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온도 20oC, 30oC, 습도 43%, 69%, 100%에서 각각 노출 시켰을 때, E. coli O157:H7은 온도 30oC, 습도 43%, 69% 조건에서 12시간 내에 약 5.0 log CFU/coupon이감소한데 반해, 상대습도 100%에서는 농도의 큰 변화 없이 5일 이상 생존이 지속되었다. 또한, 유기물이 작업대 표면에 존재 시, E. coli O157:H7의 감소 속도가 느렸다. E. coli O157:H7에 오염된 작업대에 상추를 접촉시키고 상추의 오염도를 조사한결과, 상추 표면에 수분이 존재할 때 오염된 작업대 표면에서E. coli O157:H7의 이동수준이 상추에 수분이 없을 때 보다 10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E. coli O157:H7에오염된 작업대는 상추의 안전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작업 후에 세척, 소독을 통하여 위생적으로 관리하는 것이필요하다.

      • KCI등재

        유통 중인 어린잎채소의 미생물 오염도 조사

        김세리,추현진,이승원,장윤정,심원보,웅웬바오훙,원일,현주,류경열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19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4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azardous microorganisms in mixed baby leafy vegetables and various baby leafy vegetables used as raw materials for fresh-cut produce in spring and summer. To estimate microbial loads, a total of 298 samples including 181 samples of mixed baby leafy vegetables purchased in a Korean market and 117 samples of various baby leafy vegetables from distribution companies were collected. Fecal indicators (coliform and Escherichia coli) as well as food-borne pathogens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were enumerated. As a result, the mixed baby leafy vegetable sampl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0.05) coliform bacteria numbers in summer (5.59±1.18 log CFU/g) compared to spring (3.60±2.53 log CFU/g). E.coli was detected in 1.3% (1/79) and 42.2% (43/102) of samples collected in spring and summer, respectively. Only one sample collected from a market in spring was contaminated with S. aureus. In the experiment with baby leafy vegetables, the number of coliforms detected in baby leafy vegetables cultivated in soil in spring was 1.15±1.95 log CFU/g, and that in summer was 4.09±2.52 log CFU/g. However, the number of coliforms recovered from baby leafy vegetables cultivated in media was above 5.0 log CFU/g regardless of season. Occurrences of E. coli were 44.4% (12/ 27) and 19.0% (4/21) for baby leafy vegetables cultivated in soil and media, respectively. However, E. coli O157:H7 and Salmonella spp. were not detected. These results are in relation to microbial loads on mixed baby leafy vegetables associated with raw material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hygienic practices at baby leafy vegetable farms to enhance the safety of fresh produce.

      • KCI등재

        당질미(Sugary Rice)의 이화학적 특성

        김세리,송유천,신말식,이석영,조준현,이지윤,하운구,영두,구연충,호영,Kim, Se-Ri,Song, You-Cheon,Shin, Mal-Shick,Lee, Seock-Young,Cho, Jun-Hyeon,Lee, Ji-Yoon,Ha, Woon-Goo,Kim, Young-Doo,Ku, Yeon-Chung,Kim, Ho-Yeong 한국작물학회 2006 한국작물학회지 Vol.51 No.suppl1

        본 연구는 쌀의 다양한 용도개발을 위하여 당질미 계통들의 작물학적 및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당질미 계통들의 간장은 평균 90 cm로 남평벼에 비하여 6 cm정도 컸으며 현미 천립중은 $10.2{\sim}22.2g$으로 남평벼보다 가벼웠다. 또한 현미 평균 수량은 $159{\sim}473kg/10a$로서 큰 변이를 보였다. 2. 당질미들의 아밀로스를 제외한 일반성분 및 무기성분의 함량은 대부분의 경우 남평벼보다 많았으며 당함량은 남평벼에 비하여 최저 2.4에서 최고 6.1배 가량의 높은 당함량을 보였다. 특히 다른 당에 비하여 sucrose 함량이 높았다. 3. 아밀로펙틴사슬분포에서 당질미 계통들은 $DP{\leq}12$의 비율이 높고 $12<DP{\leq}24$의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phytoglycogen 합성이 많아진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호화특성은 대부분의 당질미 계통들은 매우 낮은 점도 특성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gronomical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ive newly bred sugary lines in YARI (Yeong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that developed from the cross of sugary and Hwayeongbyeo, Hwasambyeo and Seomjinbyeo. Culmlength of newly bred sugary lines were longer than that of Nampyeongbyeo as $84.2{\sim}99.3cm$. However the weight of 1,000 grains and yield were lower than that of Nampyeongbyeo by two to three times. According to physicochemical properties, most of the new bred sugary lines showed low contents of amylose and mineral compare to normal varieties. And all sugary lines showed much higher amount of the sucrose and glucose contents compare to Nampyeongbyeo. Especially the sucrose content of newly bred sugary line, 55413, was 5 times higher than that of Nampyeongbyeo nevertheless, fructooligosaccharide and isomaltooligsac charide were not detected. The amylopectin constitution of sugary lines showed more chairs of DP (Degree of Polymerization)<12 but fewer chains of DP $13{\sim}24$ compare to Nampyeongbyeo. Newly bred sugary lines were lower viscosity in RVA (Rapid Viscosity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