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6∼19세기한글간찰에서의처격형에대한고찰(Ⅰ)

        김성옥(Kim Seong-ok) 한글학회 2018 한글 Vol.- No.320

        본 연구는 16~19세기 한글 간찰을 대상으로 각 시기별 한글 간찰에서의 처격 양상과 처격의 변화 과정을 통시적으로 분석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리하여 16~19세기 한글 간찰에서는 처격이 ‘에’로의 확산이 아닌 처격 ‘의’로의 확산 과정을 보임을 살필 수 있었다. 일테면 16세기 중반 순천김씨 한글 간찰에서는 15세기의 처격인 ‘애/에/예’와 ‘/의’가 모두 쓰인 가운데, 1세대에서는 처격이 ‘:의=52.8%:15.8%’와 ‘애:에:예=7.7%:14.6%:8.9%’의 빈도율을 보이고, 2세대에서는 ‘:의=17.7%:46.6%’와 ‘애:에:예=4.4%:20.9%:11.1%’의 빈도율을 보인다. 이로써 이 한글 간찰에서는 15세기와는 달리 ‘애/에’보다는 ‘/의’가 더 많이 쓰인 가운데 1세대에서는 ‘’와 ‘의’ 중에 ‘’가 많이 쓰인 반면 2세대에서는 ‘의’가 보다 많이 쓰였음을 알 수 있었다. 17세기 초반 현풍곽씨 한글 간찰에서는 1세대에서는 ‘:의=1:57’의 빈도를, 2세대에서는 ‘:의=6:70’의 빈도를 보이는 등, 처격 ‘’는 1세대와 2세대 모두 약화됨을 보인다. 그리고 ‘애/에’ 또한 1세대에서는 ‘애:에=13.5%:34.8%’ 등으로 보이다가 2세대에 가서는 ‘애, 에’가 전체 5%의 빈도율만 보이는 등, ‘’와 함께 ‘애/에’도 급격히 약화됨을 보이는 데 반해, 처격 ‘의’는 전체 처격의 70% 정도가 쓰일 만큼 그 쓰임이 확산됨을 알 수 있었다. 17세기 중반~18세기 중반의 송규렴가와 송준길가 한글 간찰에서는 순천김씨와 현풍곽씨 한글 간찰에서 이미 생산성의 약화를 보인 처격 ‘애/에’는 발견되지 않는다. 반면 처격 ‘의’는 전체 처격의 70~80% 이상의 빈도율을 보일 만큼 높은 생산성을 보인다. 더 나아가 18세기 후반~19세기에 가서는 김성일파 종택 한글간찰에서의 19세기 초 · 중반 김진화의 딸들과 며느리인 진성이씨 한글간찰의 경우, 처격 ‘예’의 6.3%(9회)를 제외하고는 처격이 모두 ‘의’로만 쓰이고, 추사 김정희 한글 간찰에서는 처격의 98.8%가 ‘의’로만 쓰일 만큼 이 시기에는 처격이 대부분 ‘에’가 아닌 ‘의’가 쓰였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shapes of locatives and the change process of the Korean Letters for each era during the 16<SUP>th</SUP> to 17<SUP>th</SUP> Centuries. Thus, in the Korean Letters during the 16<SUP>th</SUP> to 17<SUP>th</SUP> Centuries, it was examined that the locatives used not to be expanded to ‘에’, but to ‘의’. For example, in a Korean letter written by Mrs. ‘Kim’ from ‘Suncheon Kim Kindred’ during around the middle of Chosun Dynasty, all of the locatives of the 15<SUP>th</SUP> Century, that is, ‘: 의=52.8%:15.8% (Frequency)’ and ‘애:에:예=7.7%:14.6%:8.9% (Frequency)’ used to be used during the 1<SUP>st</SUP> generation. During the 2<SUP>nd</SUP> generation, ‘애:의= 17.7%:46.6% and 애:에:예=4.4%:20.9%:11.1%’ used to be used. Therefore, in the Korean letters, ‘애:의’ used to be used more frequently compared to ‘애:에’ unlike the 15<SUP>th</SUP> Century. During the 1st Generation, ‘’ was used more frequently than ‘의’ among ‘애:의’. On the other hand, during the 2<SUP>nd</SUP> Generation, ‘의’ was used more than ‘’. In the Korean Letters written by Mr. “Kwak” from the ‘Hyunpoong Kwak Kindred’, ‘애:의’ were used at the frequency of ‘1:57’ during the 1<SUP>st</SUP> Generation and at ‘6:70’ during the 2<SUP>nd</SUP> Generation. Thus, locative of ‘’ was less used during the 1<SUP>st</SUP> and 2<SUP>nd</SUP> Generations. And also, ‘애:에’ were used at the frequencies of 13.5%:34.8% during the 1<SUP>st</SUP> Generation, but at only 5% for both locatives during the 2<SUP>nd</SUP> Generation. So, the use frequencies of ‘애:에’ as well as ‘’ were reduced rapidly. On the other hand, the locative, ‘의’ was rapidly more used dominating around 70% of the total locatives during those eras. In the Korean Letters written by ‘The Family of Mr. Gyu-ryem Song’ and ‘The Family of Mr. Joon-gil Song’ during the period from the middle of the 17<SUP>th</SUP> Century to the 18<SUP>th</SUP> Century, ‘애:에’ which used to be less used in the Korean Letters by Mrs. Kim from ‘Suncheon Kim Kindred’ and Mr. Kwak from the ‘Hyunpoong Kwak Kindred’ were not used at all. On the other hand, the locative, ‘의’ used to be used at a frequency of 70 to 80% in their letters. Moreover, during late 18<SUP>th</SUP> Century to the 19<SUP>th</SUP> Century, in the Korean letters written by the nobles living in the head family house of the ‘Mr. Sung-il Kim Family Kindred’ and in the Korean letters written by the daughters of Mr. Jin-hwa Kim during early and middle of the 19<SUP>th</SUP> Century and by Mrs. Lee from ‘Jinsung Lee Family Kindred’ who was his daughter in law, except for the locative, ‘예’ at the frequency of 6.3%, only the locative, ‘의’ was used. And in the Korean letters written by Mr. Jung-hee Kim nicknamed by ‘Choosa’, 98.8% of the locatives was ‘의’. So, it was found that ‘의’ used to be mostly used rather than ‘에’ during that period.

      • 한국산 거미의 종 목록(2015년도 개정)

        주필(Joo Pil Kim),예성훈(Seong Hun Ye),이준기(Jun Gi Lee),이준호(Jun Ho Lee) 한국거미연구소 2015 한국거미 Vol.31 No.1

        한국산 거미 목록을 최근 분류체계와 새롭게 추가된 분류군을 총망라하여 재정리하였다. 그 결과, 한국산 거미류의 수는 총 48과 281속 795종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전 김과 김(2010)의 발표보다 2과 16속 69종이 많았다. 이전의 김과 김(2010)의 목록에서 이용된 분류체계와 비교해 크게 변동된 사항으로는 기존의 코리나거미과(Family Corinnidae)에 속하는 3개 속(Genus Cetonana 괴물거미속(개칭), Genus Paratrachelas 어리괭이거미속, Genus Trachelas 괭이거미속)과 2개 속(Genus Orthobula 십자삼지거미속, Genus Phrurolithus 도사거미속)이 각각 괭이거미과(Family Trachelidae)(신칭)와 도사거미과 (Family Phrurolithidae)(신칭)로 분리, 신설되었으며(Ramírez, 2014), 밭고랑거미과(Family Liocranidae)의 족제비거미속(Genus Itatsina)이 미투기거미과(Family Miturgidae)의 1속(Genus Prochora)에 하위 동종이명(synonymy)으로 편입됨(Bosselaers & Jocqué, 2013)에 따라 Prochora 속의 국명이 족제비거미속으로 개칭되었다. 또한 오소리거미과(Family Zoridae)가 미투기거미과(Family Miturgidae)에 하위 동종이명으로 편입되었으며(Ramírez, 2014), 기존에 미투기거미과에 속해 있던 1속(Genus Cheiracanthium 어리염낭거미속)이 미투기거미과로부터 분리, 신설된 장다리염낭거미과(Family Eutichuridae)(신칭)로 분류되었다(Ramírez, 2014). 그 밖에 속, 종의 단위에서 분류군 신설, 동종이명, 오동정 등의 분류 체계 변동 사항이 있었으며, 이를 본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근래에 추가된 2종의 무자격명(Nomen nudum) 처리된 종과, 국립공원 생물종 목록집(2012)에 기재되었으나 논문으로 정식 발표되지 않은 미기록종 22종을 별도로 기술하였다. 한국산 거미류는 접시거미과(101종), 꼬마거미과(84종), 왕거미과(79종), 깡충거미과(73종), 그리고 늑대거미과(57종) 이하 순으로 종수가 많았으며, 위의 5과가 전체 종수의 약 50%(394종)을 차지하였다. 전체 795종 중 한국산 고유종은 173종(21.8%)이었고, 일본산 거미류와 512종(64.4%), 중국산과 497종(62.5%), 러시아산과 360종(45.3%), 대만산과 103종(13.1%) 동일종이었다. 또한, 구북구산(Palearctic region)이 80종(10%), 전북구산(Holarctic region)이 37종(4.7%), 그리고 세계공통종(Cosmopolitan species)이 13종(1.6%)으로 분석되었다. A revised new-version of the check list of Korean spiders, including recent systematic systems and new taxa, is presented in this paper. According to additional references in the last 5 years, a total of 795 species of 281 genera belonging to 48 families were checked in Korean spider fauna, and there are 69 species of 16 genera belonging to 2 families more than the previous check list(Kim & Kim, 2010). Typical examples of some changes in systematic systems of Korean spiders compared with the previous check list(Kim & Kim, 2010) are as follows : Two families, the family Trachelidae and the family Phrurolithidae, previously in the family Corinnidae are raised to family status(by Ramírez, 2014). In Korea, the family Trachelidae includes 3 genera(Gen. Cetonana, Gen. Paratrachelas, Gen. Trachelas) and the family Phrurolithidae includes 2 genera(Gen. Orthobula, Gen. Phrurolithus); The family Eutichuridae is raised to family status, which was previously in the family Miturgidae(by Ramírez, 2014). There is one genus(Gen. Cheiracanthium) in the family Eutichuridae in Korea; The family Zoridae is included as a junior synonym of the family Miturgidae(by Ramírez, 2014); The genus Itatsina is included as a junior synonym of the genus Prochora in the family Miturgidae(Bosselaers & Jocqué, 2013). One Pisaurid species(Dolomedes jirisanensis) and a Sparassid genus(Gen. Joopilia, Joopilia joopilis) are nomina nuda. Additionally, There are 22 unrecorded species, which was found by Korean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2012) but was not described as papers, check list of them is presented separately from the check list of Korean spiders in this paper. Linyphiidae(101 sp.), Theridiidae(84 sp.), Araneidae(79 sp.), Salticidae(73 sp.), and Lycosidae(57 sp.) spiders are the most in the Korean spider fauna, and species in that 5 families formed about 50%(394 sp.) of the whole Korean spiders. In zoogeographical distribution, Korean spider fauna was found containing 80 Pa, 37 Holarctic, 13 Co, and 173 Korean endemic species. And comparison with faunas of neighboring countries, 512 species of Korean spiders also live in Japan(64.4%), 497 species live in C(62.5%), 360 species live in Russia(45.3%) and 103 species live in Taiwan(13.1%).

      • 한국산 거미 종 목록(2017년도 개정)

        주필(Joo Pil Kim),예성훈(Seong Hun Ye) 한국거미연구소 2017 한국거미 Vol.33 No.2

        한국산 거미 목록을 최근 분류체계와 새롭게 추가된 분류군을 총망라하여 재정리하였다. 그 결과, 한국산 거미류의 수는 총 46과 290속 865종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전 김과 김 (2010)의 발표보다 4속 32종이 많았다. 이전의 김과 김(2010)의 목록에서 이용된 분류체계와 비교해 크게 변동된 사항으로는 기존의 코리나거미과(Family Corinnidae)에 속하는 3개 속(Genus Cetonana 괴물거미속(개칭), Genus Paratrachelas 어리괭이거미속, Genus Trachelas 괭이거미속)과 2개 속(Genus Orthobula 십자삼지거미속, Genus Phrurolithus 도사거미속)이 각각 괭이거미과(Family Trachelidae)(신칭)와 도사거미과(Family Phrurolithidae)(신칭)로 분리, 신설되었으며(Ramírez, 2014), 밭고랑거미과(Family Liocranidae)의 족제비거미속(Genus Itatsjna)이 미투기거미과(Family Miturgidae)의 1속(Genus Prochora)에 하위 동종이명(synonymy)으로 편입됨(Bosselaers & Jocqué, 2013)에 따라 Prochora 속의 국명이 족제비거미속으로 개칭되었다. 또한 오소리거미과(Family Zoridae)가 미투기거미과(Family Miturgidae)에 하위 동종이명으로 편입되었으며 (Ramírez, 2014), 기존에 미투기거미과에 속해 있던 1속(Genus Cheiracanthium 어리염낭거미속)이 미투기거미과로부터 분리, 신설된 장다리염낭거미과(Famil y Eutichuridae)(신칭)로 분류되었다(Ramírez, 2014). 그 밖에 속, 종의 단위에서 분류군 신설, 동종이명, 오동정 등의 분류 체계 변동 사항이 있었으며, 이를 본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근래에 추가된 2종의 무자격명(Nomen nudum) 처리된 종과, 국립공원 생물종 목록집(2012)에 기재되었으나 논문으로 정식 발표되지 않은 미기록종 22종을 별도로 기술하였다. 한국산 거미류는 접시거미과(101종), 꼬마거미과(84종), 왕거미과(79종), 깡충거미과(73종), 그리고 늑대거미과(57종) 이하 순으로 종수가 많았으며, 위의 5과가 전제 종수의 약 50%(394종)을 차지하였다. 전체 795종 중 한국산 고유종은 173종(21.8%)이었고, 일본산 거미류와 512종(64.4%), 중국산과 497종(62.5%), 러시아산과 360종(45.3%), 대만산과 103종(13.1%) 동일종이었다. 또한, 구북구산(Palearctic region)이 80종(10%), 전북구산(Holarctic region)이 37종(4.7%), 그리고 세계공통종(Cosmopolitan species)이 13종(1.6%)으로 분석되었다. A revised new-version of the check list of Korean spiders, including recent systematic systems and new taxa, is presented in this paper. According to additional references in the last 5 years, a total of 795 species of 281 genera belonging to 48 families were checked in Korean spider fauna, and there are 69 species of 16 genera belonging to 2 families more than the previous check list (Kim & Kim, 2010). Typical examples of some changes in systematic systems of Korean spiders compared with the previous check list (Kim & Kim, 2010) are as follows : Two families, the family Trachelidae and the family Phrurolithidae, previously in the family Corinnidae are raised to family status (by Ramírez, 2014). In Korea, the family Trachelidae includes 3 genera (Gen. Cetonana, Gen. Paratrachelas, Gen. Trachelas) and the family Phrurolithidae includes 2 genera (Gen. Orthobula, Gen. Phrurolithus); The family Eutichuridae is raised to family status, which was previously in the family Miturgidae (by Ramírez, 2014). There is one genus (Gen. Cheiracanthium) in the family Eutichuridae in Korea: The family Zoridae is included as a junior synonym of the family Miturgidae (by Ramírez, 2014): The genus Itatsina is included as a junior synonym of the genus Prochora in the family Miturgidae (Bosselaers & Jocqué, 2013). One Pisaurid species (Dolomedes jirisanensis) and a Sparassid genus (Gen. Joopilia, Joopilia joopilis) are nomina nuda. Additionally, There are 22 unrecorded species, which was found by Korean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2012) but was not described as papers, check list of them is presented separately from the check list of Korean spiders in this paper. Linyphiidae (101 sp.), Theridiidae (84 sp.), Araneidae (79 sp.), Salticidae (73 sp.), and Lycosidae (57 sp.) spiders are the most in the Korean spider fauna, and species in that 5 families formed about 50% (394 sp.) of the whole Korean spiders. In zoogeographical distribution, Korean spider fauna was found containing 80 Pa, 37 Holarctic, 13 Co, and 173 Korean endemic species. And comparison with faunas of neighboring countries, 512 species of Korean spiders also live in Japan (64.4%), 497 species live in C (62.5%), 360 species live in Russia (45.3%) and 103 species live in Taiwan (13.1%).

      • KCI등재
      • 화염전달함수와 Helmholtz solver를 이용한 모델 연소기의 연소불안정 연구

        김성구(Seong-Ku Kim),최환석(Hwan-Seok Choi),대식(Daesik Kim),차동진(Dong Jin Cha) 한국추진공학회 2013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5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개발된 Helmholtz solver를 이용하여 예혼합 가스터빈 모델 연소기에서 종방향 음향 모드로 발생하는 자발 연소불안정을 해석하였다. 음향섭동에 대한 화염의 응답특성은 속도감응 시간지연모델을 적용하였으며, 모델 파라미터들은 실험으로부터 계측된 화염전달함수를 통해 결정하였다. 연소실 길이를 변경시켰을 때, 연소시험 결과와 유사한 구간에서 2차 종 방향 모드의 자발 불안정이 예측되었으며, 입구의 음향 특성은 연소불안정의 발생 여부뿐만 아니라 공진 주파수와 모드 형태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numerically longitudinal combustion instability of a lean premixed model gas-turbine combustor using a recently developed Helmholtz solver. The response of heat release rate to acoustic perturbation was modeled based on the velocity-sensitive time-lag theory, whose parameters were determined by experimentally measured FTF (Flame Transfer Function). The present model predicted spontaneous instabilities in second longitudinal mode for certain range of combustion chamber length, which is in line with the experiment. The numerical result clearly reveals that the acoustic boundary condition at the inlet affects greatly the resonant frequency and mode shape of the combustion instability as well as its growth rate.

      • KCI등재

        한글편지에서의 목적격과 주제격에 대한 단일화 과정 고찰

        김성옥(Kim, Seong-ok) 한국언어문학회 2019 한국언어문학 Vol.109 No.-

        This study examines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cases of the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in 19∼20th century and reviews the changes of ‘ /은 / /는 ,’ the subjective case of the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and ‘ /을 / /를 ,’ the objective case in the 16∼19th centuries. Based on this, it is to examine the unification process of them. In the 19∼20th century, in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when the noun final was closed syllable, was unified to ‘CVC+은 → CVC$은’ and ‘CVC+을 → CVC$을’. This is due to euphonic changes such as ‘ㆍ’ and changing the process of the subjective case ‘ /은 >은’ and the objective case ‘ /을 >을’. When the noun final was open syllable, the subjective case ‘ , 는 , 난, 은’ and the objective case ‘ , 를 , 랄, 을’ were shown in various forms. It was found that the subjective case and the objective case of the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in the 16∼19th centuries were ‘ ’ a nd ‘ ’, a nd euphonic changes such as ‘ㆍ’ are from the gradual nature of change.

      • KCI등재

        나이티놀 와이어 스텐트의 피로도 특성에 대한 유한요소 해석

        한기,신일균,동곤,김성,이주호,기병윤,서태석,상호,Kim, Han-Ki,Shin, Il-Gyun,Kim, Dong-Gon,Kim, Seong-Hyeon,Lee, Ju-Ho,Ki, Byoyng-Yun,Suh, Tae-Suk,Kim, Sang-Ho 한국의학물리학회 2009 의학물리 Vol.20 No.3

        스텐트는 인체내 비혈관 또는 혈관의 내강에 직접 삽입되어 장기간 내강의 개통을 확보해 주어야 하는 보형기구로 체내에서의 안정성이 매우 중요하다. 스텐트의 성능은 크게 radial force, shortening, anti-migration, 방사선 불투과성, 유연성, 회복력, 삽입기구의 굵기 및 삽입 용이성 등의 항목으로 평가된다. 현재 스텐트는 다양한 제품이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병변에 따라 선택이 가능하다. 스텐트는 개통이라는 고유 목적을 달성하면서 시술의 편의성이 고려되는 데 스텐트의 radial force와 유연성, 그리고 삽입기구의 유연성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최근에 유한요소 해석법을 이용한 스텐트의 기계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는 상당량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유한요소 해석법을 이용한 스텐트의 피로 거동 분석을 위한 전산 모사에 관한 연구는 드물다. 특히, 세선형 스텐트의 연구 및 시술 이후의 안정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혈관용 세선형 스텐트에 대하여 유한요소 해석법을 이용한 전산모의실험을 통한 피로특성 분석을 수행한 결과 해당 제품이 목표 수명을 지나서 피로 파괴(내구지수 : 1.74)가 발생한다고 예측할 수가 있었다. 이러한 유한요소 해석법은 스텐트 시술시의 장기적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산업체의 스텐트 개발 기간 및 예산 절감 등 경제적 개발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Stents are frequently used throughout the human body. They keep pathways open in vascular or nonvascular duct for a long time. Therefore its stability is very important factor. In recent years, aconsiderable amount of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in order to estimat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tent such as expansion pressure behavior, radial recoil and longitudinal recoil using FEM (Finite element analyses). However, published works on simulation of stent fatigue behavior using FEM are relatively rare. In this paper, a nonlinear finite-element methodwas employed to analyses the compression of a stent using external pressure and fatigue behavior. Finite element analyses for the stent system were performed using NASTRAN FX. In conclusion this paper shows how the stent is behaved in the body, and its fatigue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