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종괴로 발현된 결절형 근육 유육종증

        정표 ( Jeong Pyo Kim ),성훈 ( Seong Hun Kim ),이해규 ( Hae Giu Lee ),성미숙 ( Mi Sook Sung ),영실 ( Young Sil Kim ),형민 ( Hyoung Min Kim ),민준기 ( Jun Ki Min ) 대한류마티스학회 2003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10 No.1

        Sarcoidosis is a multisystemic granulomatous disease of unknown cause. Lung, skin, eye, liver and lymph nodes are commonly affected. But the nodular type of muscular sarcoidosis is rare. The nodular type can be presented with a soft tissue mass that may be confused with a tum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muscle biopsy are useful methods for early diagnosis. Optimal management of nodular sarcoidosis is not well known, but surgical excision or corticosteroid may be considered as an initial management. We report a case of nodular muscular sarcoidosis as an initial manifestation of sarcoidosis in a 56-year-old woman who was treated with corticosteroid therapy after surgical excision.

      • KCI등재

        LED-TV用 전원장치에 적합한 Hybrid 초크 코일의 특성 해석에 관한 연구

        종해(Jong-Hae Kim),희승(Hee-Sung Kim),원재선(Jae-Sun Won)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14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28 No.3

        This paper presents the intra capacitance modeling according to the winding method, section bobbin and coil structure for hybrid choke coil capable of the EMI attenuation of broad bands from lower frequency bands to higher frequency bands and high frequency type common-mode choke coil capable of the EMI attenuation of high frequency band used in the EMI Block of LED-TV SMPS. In case of high frequency type CM choke coil, it can be explained the parasitic capacitance of A type and section bobbin type winding methods among them is much smaller than the other.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of the proposed CM choke coil tends to increase as the parasitic capacitance becomes small and its impedance characteristics also show improved performance as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increases. In case of hybrid choke coil using rectangular copper wire, it has investigated its parasitic capacitance compared to CM choke coil of conventional toroidal type becomes small. Also it has confirmed through the experiment results that CE margin and RE margin in frequency bands 0.5MHz to 5MHz and 30MHz to 200MHz are respectively 10dB and 15dB greater than that of conventional type in case of one stage EMI filter structure adopting hybrid choke coil compared to two stage EMI Filter structure using two of each CM choke coil used in the lower and higher frequency bands or two of CM choke coil used in only the lower frequency bands. In the future, the hybrid choke coil and CM choke coil of high frequency type show it can be practically used in not only LED/LCD-TV SMPS but also several applications such as LED Lighting, Laptop Adapter, Server Power Supply and so on.

      • KCI등재

        누구를 위해 종은 울리나?

        김성해(Sung Hae Kim),정연주(Yeon Ju Jeong) 한국언론학회 2016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2 No.3

        국제사회는 약육강식의 법칙이 적용되는 무대다. 국력에 따른 차별과 부당한 대우는 당연시된다. 각 국가는 이에 자국의 안전, 번영과 명예를 지키기 위한 무한경쟁에 나선다. 특히 한국은 일상적인 전쟁의 위협, 국제사회에 대한 지나친 의존성 및 주변 강대국의 견제와 같은 악조건을 갖추고 있다. 냉정한 현실인식을 기초로 합리적이고 성숙한 대처 능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상황이다. 그러나 한국 사회의 현실 인식은 미국이라는 거인의 관점에 매몰되어 있다. 한반도를 전쟁의 참화 속으로 몰아넣었던 17세기 조선시대와 닮은 큰 나라에 대한 무조건적인 숭배와 맹목적인 추종이라는 사대주의(事大主義)가 팽배하다. 이 연구는 중국을 대상으로 한 비판적인 담론을 통해 이 문제를 드러내는 한편, 국가이익을 위한 보다 성찰적이고 주체적인 실천 방안을 고민하고자 했다. 연구를 위해 우선 한국, 미국과 중국을 둘러싼 복합적인 이해관계를 분석했다. 한반도를 둘러싼 지형을 안보, 경제, 지식 및 명예 차원으로 구분했고 주요 이슈와 쟁점을 통해 국가이익의 변화를 추적했다. 그다음, 1980년대 미국에서 유행한 ‘일본 때리기’와 유사한 ‘중국 때리기’가 있다는 가정하에 관련 담론을 ‘논리적, 감성적 및 윤리적’ 차원으로 구분해 살폈다. 구체적으로, 중국을 비판하는 논리적 근거는 무엇이며, 이를 정당화시키기 위해 동원된 감정적 표현과 윤리적 평가는 무엇인지를 분석했다. 국제사회에서는 영원한 적도 우방도 없다. 혈맹으로 시작된 한미관계 역시 불가피하게 변화를 겪고 있으며 이해관계의 지형을 놓칠 때 자칫 돌이킬 수 없는 오류를 범한다. 한반도의 불행했던 역사는 거듭 이 가능성을 증명했다. 본 연구를 통해 미국에 대한 사대주의가 한국 사회에 끼칠 수 있는 부정적 영향을 성찰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Survival of fittest is the rule of thumb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Neither cooperation nor competition is avoidable. Being a matured and objective nation-state able to make fully sense of the incoming challenges is far from luxury. South Korea though fails in comprehending the reality of national interests partly because of intellectual dependence upon U.S. This paper attempts to show the evidence of such a tendency as intellectual hegemony by employing the case of ‘China Bashing’. To examine political contexts surrounding South Korea, U.S. and China was the first step. After analysing historical shift of interests, then, it pays attention to news articles believed to be critical against China. While dividing related discourses into logical, emotional and ethical dimension, it asks how Korean media represent China as a potential enemy on what bases, with what expressions and resulting in what kinds of moral implications. The landscape of national interests are not immune from change. Neither U.S. nor China will be friend or foe forever. It is high time for South Korea to look aggressively after totality of truth less visible in the eye of U.S. Hopefully, this paper can be a starting point of casing doubts on a wide range of conventional wisdoms which favor the status quo led by U.S. historic bloc.

      • KCI등재후보

        주류 미디어 공론장의 이상과 현실

        김성해(Sung Hae Kim),송현진(Hyun Jin Song),이나연(Na Yeon Lee),이정한(Jung Han Lee) 한국언론학회 2010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6 No.1

        민주적 공동체에서 언론의 가장 중요한 규범적 가치 중 하나는 공론장의 구축과 성공적인 운영에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전통적인 주류언론의 공론장 기능을 실제 보도사례를 통해 평가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이 연구는 이에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에 대한 국내 주요 신문의 보도를 공론장이라는 평가잣대를 통해 평가했다. 이를 위해, 규범적인 가치로만 존재했던 공론장에 대한 그간의 논의를 정리한 다음, ‘의제화 방식의 적합성, 객관주의적 보도태도, 정보의 완결성, 실질적 다양성 및 전략적 대응성’등의 평가항목을 구성했다. 경제위기 보도에 있어 공론장 역할을 했을 것으로 기대되는 대표적인 종합지와 경제지를 분석대상으로 삼았으며, 〈경향신문〉, 〈매일경제〉,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국경제〉, 〈한겨레〉등이 포함되었다. 공론장 평가를 통해 우선 “기획과 해설 기사의 부족, 국내를 벗어나지 못하는 근시안적 보도, 미국 출신 권위자들에 대한 과도한 의존, 정치적 입장에 따른 지나친 비관, 위기 상황에서 더욱 강조되는 선정성, 전후좌우 맥락정보의 부족, 상반되는 프레임의 혼재 및 상황 변화에 대한 둔감”등의 문제점이 밝혀졌다. 그러나 “다양한 지역과 권위자를 인용하려는 노력, 상황의 변화에 따른 관심지역과 주제의 탄력적인 변화 움직임 및 외부 권위자의 입을 통해서라도 국민의 이해를 도우려는 모습”과 같은 긍정적 측면도 발견되었다. 이 연구는 규범적 가치인 공론장을 조작적으로 정의했다는 점에서 주관적이라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언론의 수행성을 평가하기 위해 공론장을 활용하고, 이를 근거로 경제보도의 질적 개선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To establish and maintain 'public sphere' is believed to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roles of the media. The previous studies, though, have shed little light on evaluating media's performance in terms of public sphere. While identifying such criteria as 'agenda-building, objective attitude, totality of information, authentic diversity and strategic responsiveness,' this study employed the case of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as a case study. Evaluation of six newspapers, primary builders of symbolic stage, showed that there existed additional rooms for improvement in dealing with financial crisis. Not only have they lacked in providing contextualized and well-organized information, but they relied mostly on those cue-givers who might have conflict of interests. However, the degree of flexibility and diversity of viewpoint appeared to be less shorting. Even though this study is not free from subjectivity particularly in conceptualizing public sphere, the researchers aspired to project an innovative approach in elaborating media's performance.

      • KCI등재

        저널리즘과 공공외교: 중견국 한국의 언론외교, 현실과 이상

        김성해 ( Sung Hae Kim ),강국진 ( Kuk Jin Kang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2 No.2

        21세기 한국은 해외투자와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한, 우수 인재를 영입하기 위한, 또 자국에 유리한 여론을 형성하고 대외정책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한 복합적 과제에 직면해 있다. 과거와 달리 일반 국민의 여론이 대외정책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서 국제사회의 ‘공감과 동의’(Hearts & Minds)를 획득하는 것 역시 더 이상 선택이 아닌 당위이다. 언론은 이 과정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그런 이유로 국제사회에서 언론외교는 나날이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언론외교에 대한 관심은 제대로 형성되지 않았다. 국내 민주주의와 언론의 관계에만 집중한 나머지 국가공동체를 위한 언론의 역할은 제대로 돌아보지 못한 것과 무관하지 않다. 이 연구는 이런 배경에서 먼저 국제사회와 정보주권 및 언론외교의 역사적 변화를 분석했다. 그 다음, 국내에서 언론외교가 제대로 주목받지 못하는 이유를 비롯해, 중견국 한국의 성공적인 언론외교 전략을 모색했다. 이를 위해 심층인터뷰를 실시했으며 외교부 관료, 국제정치학 교수, 대외정책 전문가 및 특파원과 언론인 등을 포괄적으로 만났다. 인터뷰를 통해 언론외교에 대한 공감대는 비교적 잘 형성되어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견국 한국이 국제사회의 보다 성숙한 동반자가 되기 위해서는 국제사회를 대상으로 한 발신과 제대로 된 수신 그리고 담론을 통한 경쟁이 필요하다는 공감대였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언론외교가 자칫 정권홍보로 전락할 수 있고 또한 정권의 이해관계에 따라 프로파간다로 변질될 수 있다는 데 강한 우려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언론외교를 제대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국제사회를 대상으로 고급 담론을 통해 한국의 관점과 주장을 발신할 수 있는 채널을 만드는 한편, 국제사회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국제뉴스의 품격 향상 전략 등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국제사회에서 진행되고 있는 뉴스전쟁의 실상을 이해하고 중견국 한국의 국가전략을 고민하는 계기가 마련되길 희망한다. The Republic of Korea as a nation-state still faces a wide range of challenges including the rivalry between U.S. and China, Japan`s heading for imperialism, and ongoing crises in financial markets. It is also inevitable for any nation to acquire ‘hearts and minds’ of international society in pursuing foreign policies in time of global digital society. Accordingly, to initiate 24-hour English channels like Al-Jazeera, Russia Today, France 24, NHK World is a logical consequence of such a dramatic shift of international politics. Unfortunately, though, South Korea seems to have little interest in let alone preparing for journalism diplomacy which aims at securing favorable public opinion in the international arena. This paper consists of two parts divided by historical analysis of the development of journalism diplomacy and the current status of that in South Korea. Not only political contexts which have influenced the way of diplomacy varied by propaganda and public diplomacy but the emergence of global public sphere have been contemplated on the one hand. On the other hand, this paper attempts to understand the possibility of journalism diplomacy, to clarify conditions for launching such a policy, and to formulate national strategies by employing focus group interviews. Expert interviews revealed first of all strong demand on journalism diplomacy protected by quality journalism. Also was the point clear that potential risks represented by government`s intervention for the sake of political advantage and by lack of professionalism harmful to national reputation should be well prepared in advance. Putting those results into consideration, this study suggests to initiate ‘discourse competition’ over ‘hearts and minds’ in the global society, as well as to improve journalistic professionalism especially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news.

      • KCI등재

        국제정치, 전쟁 그리고 언론

        김성해(Sung-Hae Kim),반현(Hyun Ban),성욱(Sung-Wook Kim)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1 미디어, 젠더 & 문화 Vol.20 No.-

        2011년 리비아 사태는 강대국의 프로파간다 전략과 무관하지 않다. 이 연구는 이 에 먼저 리비아 사태를 둘러싼 다양한 의혹을 제시했다. 그 다음, 미국에 의해 주도되었던 유사한 역사적 사례들을 되짚어 보고, 패권국가 미국의 구조적 이해관계인‘국가안보와 달러헤게모니’를 분석했다. 나아가 민주주의 정치 시스템에서 제4부로 알려진 언론이 왜 정부의 프로파간다에 협력하게 되는지를 밝혔다. 끝으로, 기존의 언론보도에서 공통적으로 확인된 특성을 이론적으로 정리함으로써 프로파간다 ‘공식’(formula)을 제안했다. 모두 8단계로 구성된 이 공식에는 특정한 선입관 만들기, 이해당사자간 신성동맹 맺기, 임박한 위험 강조하기, 실질적 행동 촉구하기, 행위의 정당성 주장하기, 공동책임론 제기하기, 신뢰성 관리하기 및 승자 중심의 역사기술 등이 포함되어 있다. 마지막으로는 프로파간다에 관통된 한국사회의 현실을 지적하고, 이로 인한 문제점을 논의했다. The Libya crisis in 2011 had been resolved with the mysterious death of Muammar Gaddafi. However, not only the future of Libya but the crisis itself still remains at large in many aspects. As a matter of fact, such questions as why Lybia was differently treated from neighboring countries like Bahrain, Syria or Yemen, and whether U.N resolution had the authority of regime change have never been answered. While paying attention to less visible factors mentioned rarely by Western news media, this paper places this crisis into the context of propaganda led by powerful countries against weak ones. For this purpose, at first, it shows a wide range of problems which stand odd with international public opinion swayed largely by the current international information order. The following part presents historical cases of propaganda along with critical national interests of U.S. the only hegemonic country since 1945. Then, it attempts to articulate eight steps of propaganda formula which starts from implementing political bias, forming partnership for strategic goals, exaggerating threats, urging collective actions, justifying military intervention, raising common responsibilities, pinpointing scape goats for damage control, and ends with writing history for the benefit of winners. The authors hope this article may be a theoretical guideline in making good sense of various international crises as well as a wakeup call to Korean society which depends habitually upon such Western media as New York Times and BBC.

      • KCI등재
      • KCI등재

        지식을 통한 정치 혹은 정치를 위한 지식

        김성해(Sung Hae Kim),서보윤(Bo Yun Seo),진민정(Min Jung Jin),강국진(Kuk Jin Kang) 한국언론정보학회 2016 한국언론정보학보 Vol.81 No.1

        언론학은 순수문학이나 자연과학과 달리 정치성이 짙다. 게다가 미디어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언론학자가 정책에 직접 개입할 기회는 확대되고 있다. 차관급에 해당하는 방송통신위원회를 비롯해 직접 권력을 행사하는 학자들도 많다. 그러나 국내에서 이들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 작업은 없었다. 그들은 누구이며, 어떤 근거에서, 어떤 자격을 통해 정치에 참여하고 있는가를 살펴본 연구는 없다. 본 연구는 이런 배경에서 먼저 미디어 관련 법률과 이를 근거로 설치된 각종 이사회 및 위원회를 조사했다. 법에서 규정하는 참여 자격과 선정 방식 등을 다음 단계로 정리했으며 최종적으로 실제 참여한 언론학자 164명의 인구학적 특성을 살폈다. 분석 결과, 언론 관련 이사회 · 위원회는 의결, 심의 · 자문, 중재 · 규제의 유형으로 구분되며, 지역적으로는 서울 소재, 대학은 서울대를 비롯한 상위권, 유학을 한 곳은 미국에 편중된다는 점이 밝혀졌다. 다양성을 중요한 덕목으로 생각해야 하는 미디어 정책에 있어 우려가 제기될 수 있는 부분이다. 2016년 현 시점에서 언론학자의 정치 참여는 피할 수 없는 책무에 속한다. 그러나 전문성이나 공익에 대한 소명의식이 아닌 정치권력에 대한 야망이 참여를 결정한다면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연구진은 이러한 문제의식에 대한 단초를 제공하고자 했으며 언론학자들의 더욱 바람직한 정치 참여 방향을 성찰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as an academic field is believed more politicized one than pure literature and natural science. With the growth of the media, there follows additional opportunities for media scholars to take a part in politics as well. Few attention was given to understand the status and mechanism of political intervention either as advisers or decision makers though. This study attempts thus to fill this vacuum. For this, first of all, it examines a various types of laws related to media politics. Total number of 164 scholars who participated in 12 councils and commissions were analyzed on the following step. Research shows that there are patterns which favor Seoul National University, U.S. trained Ph. D and geographic preference to the capital. Neither academic excellence nor commitment to public interest appear to have impact on taking those positions. Taking into account media’s expansion into politics, it is inevitable for media scholars to take responsibility not only in policy making but in taking leadership. Accordingly, the question of necessity is not who but how as much as manner. The authors hope this study will be a valuable opportunity to establish a kind of ethical standards in media politics.

      • KCI등재

        언론은 언론다워야 한다!

        김성해(Sung Hae Kim)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6 언론과 사회 Vol.24 No.3

        국내에서 지역에 뿌리를 두고 있는 주간신문이 겪어온 과정은 결코 평탄하지 않다. 지방자치제도가 제대로 자리를 잡지 못한 상황에서 그 역할은 제한적이었다.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지역민의 입장을 대변하며, 더 나아가 지자체와 권력집단을 감시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언론다움을 제대로 실현하는 곳은, 그래서 드물다. 그럼에도 국내 주간지 중 일부는 공동체 언론의 역할을 모범적으로 수행한다. 과연 이들은 어떤 노력을 통해 지금의 위상을 쟁취한 것일까? 디지털 혁명과 국내 경기 후퇴 등으로 인해 이중의 질곡을 겪고 있는 국내 언론사들이 이들에게서 배울 수 있는 건설적 교훈은 무엇일까? 연구를 위해 우선 전국에 있는 480여 개의 주간지 중 모범사례 9곳을 선정했다. 지역신문발전기금 우선지원 사업자 중 6회 이상 선정된 곳, ≪신문과방송≫ 추천 언론사, 편집권의 독립 및 편집규약 등을 통해 회원 관리를 하는 ‘바른지역언론연대’ 소속사, 그리고 전문가들의 추천 등을 기준으로 했다. 다음 단계로, 이들 언론사를 실질적으로 운영해온 경영진 또는 편집국장에 대해 심층 인터뷰를 실시했다. 최종적으로 지면의 구성 및 뉴스콘텐츠 분석 등을 통해 ‘건설적 교훈’을 이끌어냈다. 공통점으로 ‘건강한 리더십, 안정적인 경영, 브랜드 전략, 공공저널리즘의 실현, 지역밀착형 콘텐츠 및 지속적인 혁신’ 등을 확인했다. 이 연구는 그간 제대로 관심을 받지 못했지만 그 나름으로 소중한 경험치를 축적한 이들 지역주간신문을 재평가하는 계기다. 저널리즘의 복원이 절실한 국내 언론에 좋은 참고자료가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Little is known about Korean experience in the area of local weekly newspapers. After launching in the mid-1990s, some of them make a sustainable business model at the least expense of quality journalism. This paper attempts thus to unearth constructive lessons which have been helping them to achieve the current status of reputation. Total number of nine papers believed to have competitive advantage were selected for this purpose.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it depends highly on in-depth interviews and makes it up with a series of workshops among key stake-holders including media experts and journalists. The analysis shows at least six points of strength. First of all, their success owe a good deal to healthy leadership led by key figures who have fully committed to not only journalism but community. Being financially independent was proved to be a vital component for quality journalism as well. Also dose it reveal that such factors as bland power, adoption of public journalism, community-driven contents and continuous innovation take a critical part. Korean journalism is facing various challenges represented by loss of credibility and demise of sustainable business model. While the majority of news media focusing on maximizing traffic even at the expense of journalism, this paper provides a time of reflection by showing the benefit of adhering to journalism principles. It hopes that such lessons in the study can be positively applicable in way of revitalizing Korean journ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