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돔 유리를 이용한 위치이동 다중화 홀로그램 정보저장장치용 서보 컨트롤

        김성필,송석호,오차환,김필수,김지덕,이홍석 한국광학회 2004 한국광학회지 Vol.15 No.1

        위치이동 다중화 홀로그램 정보저장장치에서, 돔 형태(dome-type)유리를 이용한 서보 컨트롤 방법을 제안하였다. 5개의 2차원 데이터를 재생효율 균일도 5% 이내로 위치이동 다중화 기록을 한 후, 직경이 25.4 mm 이고 두께가 1 mm 인 돔 유리를 사용하여, 재생 시에 발생하는 홀로그램 디스크의 기울어짐 각도오차가 $\pm$0.2$^{\circ}$,위치오차 $\pm$50$\mu\textrm{m}$인 경우에 대해서도 정확한 오차보정이 가능함을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돔 유리를 이용하는 방식은 기존에 제안된 평판유리를 이용하는 방식[김성필 외, 한국광학회지, Vol. 14, No.1, pp. 58-64, 2003]에 비해 구동이 간편하기 때문에, 서보 컨트롤을 위한 광 픽업 장치를 간단하고 작은 규모로 모듈화 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 KCI등재

        디스크 형 홀로그램 정보저장장치를 위한 광축상 서보 컨트롤

        김성필,송석호,오차환,김필수,김지덕,이홍석,Kim, Sung-Phil,Song, Seok-Ho,Oh, Cha-Hwan,Kim, Pill-Soo,Kim, Ji-Deog,Lee, Hong-Seok 한국광학회 2003 한국광학회지 Vol.14 No.1

        In order to read correct data from a disk-type holographic storage medium, it is very important to implement a servo-control in the pick-up module, as in a conventional CD-ROM. We propose a novel servo-control method using a glass plate on the optical axis, which is able to compensate the mechanical errors coming from wobbling of holographic disk and spindle motor. By rotating the glass plate within $\pm$10 degrees, we can reduce the reading errors of $\pm$200 ${\mu}{\textrm}{m}$ to $\pm$15 ${\mu}{\textrm}{m}$.

      • KCI등재

        독일 민법상 환자의 동의권

        김성필 한국법정책학회 2019 법과 정책연구 Vol.19 No.2

        Der Behandelnde muss nach § 630d BGB vor der Durchführung einer medizinischen Maßnahme, vor allem bei einem Eingriff in den Körper oder die Gesundheit des Patienten, aber auch bei sonstigen therapeutischen oder diagnostischen Maßnahmen im Rahmen der Behandlung, den Patienten ausdrücklich und unmissverständlich fragen, ob er in die Maßnahme einwilligt. Mit einer Behandlung ohne die eingeholte Einwilligung verletzt der Behandelnde seine Pflicht aus dem Behandlungsvertrag. Außerdem ist eine eventuelle mit der Behandlung notwendig verbundene den Körper verletzende Handlung (Körperverletzung) nicht gerechtfertigt. Der Einholung der Einwilligung muss die verständliche, ordnungsgemäße Aufklärung des Patienten vorangehen, damit der Patient in der Lage ist, eine eigenverantwortliche und selbstbestimmte Entscheidung zu treffen. Nur nach einer Aufklärung ist die Einwilligung wirksam. Der Patient kann seine Einwilligung jederzeit widerrufen. Ist der Patient in der aktuellen Situation nicht fähig, selbst in die Behandlung einzuwilligen, muss der Behandelnde die Einwilligung der sorgeberechtigten Eltern, eines Vormundes, Ergänzungspflegers, Betreuers oder Bevollmächtigten mit dem Aufgabenkreis der Gesundheitssorge einholen, soweit nicht eine Patientenverfügung die Maßnahme gestattet oder untersagt. Eine Patientenverfügung, die eine Einwilligung in eine ärztliche Maßnahme enthält, ist nur mit vorangegangener ärztlicher Aufklärung oder bei erklärtem Aufklärungsverzicht wirksam. Enthält eine Patientenverfügung keinen ausdrücklich erklärten Verzicht auf eine ärztliche Aufklärung, ist die Patientenverfügung in diesen Fällen nur als Indiz für den mutmaßlichen Willen zu werten. Es bedarf dann immer einer Entscheidung des Betreuers oder des Bevollmächtigten über die Zulässigkeit des ärztlichen Eingriffs[16]. Bei Uneinigkeit über die Auslegung des Patientenwillens durch Betreuer oder Bevollmächtigten einerseits und Arzt andererseits muss das Betreuungsgericht entscheiden (§ 1904 Abs. 4 BGB). Kann eine Einwilligung für eine unaufschiebbare Maßnahme nicht rechtzeitig eingeholt werden, darf sie ohne Einwilligung durchgeführt werden, wenn sie dem mutmaßlichen Willen des Patienten entspricht. 의사의 진료행위와 관련하여 환자의 사전동의가 법적인 문제로 부상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른바 ‘인폼드 콘센트’(informed consent)라 불리는 문제이다. 이 글의 목적은 ‘환자의 동의’에 관한 독일법의 현상을 고찰하는 것이다. 독일에서도 진료계약 및 의료과오와 관련하여 ‘환자의 동의’는 법률상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독일에서는 환자의 권리의 개선에 관한 법률(Gesetz zur Verbesserung der Rechte von Patientinnen und Patienten)이 2013년에 제정됨에 따라 민법전에 전형계약의 하나로서 새로이 ‘진료계약’에 관한 규정이 신설되었다(BGB 630조의a 내지 630조의h). 이 가운데 630조의d는 ‘환자의 동의’에 관한 규정이다. 환자의 동의에는 의료처치 전에 충분한 설명이 의사에 의하여 이루어질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동의를 위해서는 동의능력이 있어야 하며, 동의능력이 흠결된 경우에는 환자의 사전지시서나 환자를 대신할 동의권자의 동의가 필요하다. 의사와 환자의 권리의무관계를 법규범으로 규율하는 것에 대해서는 신중한 논의가 필요하다. 그러나 국가의 법체계에 있어서 사법의 중요한 일반법 안에 환자의 권리에 관한 규정을 마련한 독일법의 동향에는 크게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서울시립노인요양시설의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탐색적 연구

        서홍란,배영미,정윤경,김정인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9 한국사회복지교육 Vol.4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quality of service of the nursing homes contracted-out by city of Seoul based on categories of structure, process, and outcomes using Donabedian's analysis framework and to suggest the direc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in nursing home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7 nursing homes contracted-out by the city of Seoul. Also, financial analysis, focus group interview with workers and elderly residents in the nursing homes, and institutional visits were performed. Regarding structure of quality of service,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staffing. Social service spendings were similarly minimal across nursing homes. Through the focus group interviews, physical condition of facilities, difficulties managing facilities due to increased labor costs, and necessity of recruiting more staff were suggested. In regard to aspects of the process, the participants of focus groups revealed their efforts for good care and difficulties in delivering service. With respect to the outcome of service, residents were satisfied with care overall, while expressing difficulties and inconvenience living in residential facili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directions for improving structure and process of the service in nursing homes were discussed. Also, implications for enhancing of quality of life for elderly residents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Donabedian(1988)의 분석틀을 이용하여 서울시립노인요양시설의 서비스의 질을 구조, 과정, 결과 측면에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요양시설 입소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립노인요양시설 전체(7개소)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종사자 및 입소자 대상 초점집단인터뷰, 기관방문을 통한 실무책임자와의 개별면담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구조적 측면에서 인적자원의 차이는 기관 별로 크지 않았으며 사업비 지출은 전반적으로 매우 미비하였다. 시설의 물리적인 낙후, 인건비 증가에 따른 기관운영의 어려움, 인력충원의 필요성 등이 초점집단인터뷰를 통해 제시되었다. 과정 측면에서 초점집단인터뷰에 참여한 종사들은 ‘좋은 돌봄’을 위한 노력 및 업무수행과정에서의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서비스의 결과와 관련하여 초점집단인터뷰에 참여한 입소노인들은 대체적으로 서비스에 만족하였으나 시설생활에서의 어려움과 불편함을 드러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서울시립노인요양시설의 서비스 질의 구조와 과정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과 입소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