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배움의 HRD를 위한 배움 도구로서 web 2.0의 가능성’에 관한 토론

        김성길 한국배움학회 2010 한국배움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0 No.1

        인간은 배움의 본능을 타고난 존재(Homo Eruditio)다. 삶에 필요한 태도, 기술, 지식 등을 배워서 자신의 행동을 바꿀 수 있는 능력을 태생적으로 가지고 태어난 것이다. 이런 각자의 배움 력에 기초해서 기존의 기술과 지식을 습득하고 이를 새롭게 계발시켜 나간다. 또한 타인과의 협력과 공유를 통해 조직 차원으로 발전시켜 나간다. 이런 점에서 인간이 보여주는 가장 본질 적인 모습은 새로운 것을 접하고 익히고 만들어내는 배움의 실천행위인 것이다. 지금껏 기업의 교육훈련을 통칭하는 HRD의 성격에 비추어 볼 때, HRD는 개인의 성장과 계발보다는 조직의 발전과 생존에 더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경쟁과 성과에 초점을 맞춘 채 도구적이고 기능적인 방식으로 발전한데 기인하는 것이다. 인간에 대한 본질적 이해와 역사에 대한 총체적 비전이 결여된 채, 단기간의 이익과 임기응변식 처방에 집중한 탓이라고 할 수 있다. 이론적으로 연구 개발된 HRD 패러다임과 전략을 실질적으로 검증하지 않은 채, 외국의 이론들을 기업현장에 번역하여 적용해왔던 것이다. 기능적인 아이디어는 인간을 도구로 파악하는 인간 이해에 대한 한계를 지닌다. 말하자면, 인간은 쓸모 있는 도구들의 모음으로서만 가치가 있을 뿐, 스스로의 세계를 창조하고 리포매팅(reformatting)하는 주체로서 인정받지 못한다는 것이다(김성길, 2009). 지금의 HRD(Human Resource Development)가 새로운 인간 이해에 바탕한 HER(Homo Eruditio Reformatting)로 변용해야 할 필요가 여기에 있다.

      • 사교육, 다르게 보기

        김성길 한국미래교육학회 2013 미래교육연구 Vol.3 No.1

        교육은 항상 세간의 관심거리다.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모두가 교육에 관한 한 각자 나름대로 일가견을 가지고 있다. 누구나 교육부장관이고 누구나 교육대통령일 만큼 교육은 모든 이의 관심을 불러일으킨다. 그동안 우리 교육에서 사교육과 공교육은 서로 대립각을 세워 왔다. 각자 스스로의 의지로 그렇게 했다기보다는 각각의 본질과는 무관하게 외부 영향에 의해 서로 대비되어졌다. 공교육과 사교육이 상호 보완제로서의 기능보다는 대체제의 관점으로 제로섬 게임에 매몰되어 왔던 것이다. 이러한 ‘교육 정글’ 속에서는 온전한 교육의 본질을 회복하고 추구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학교폭력이나 집단따돌림, 청소년 자살과 인간성 상실 등 여러 교육 문제의 근원은 사교육에 있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교육의 본질과 인간 존재에 대한 본원적인 질문을 배제한 채 기능적이고 도구적으로 시행되는 교육행위 자체에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이제는 사교육을 바라보는 시각을 새롭게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사교육과 공교육이 각자의 특성을 살리면서 서로 공존(共存), 공생(共生), 공영(共榮)할 수 있도록 배움학적 상상력을 드러내는 것이 미래교육의 비전이며 추진 방향이다. It is well-known that education has been the foundation of Korea's rapid growth in recent decades. It is true that educ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in determining one's social status. Many households in Korea are burdened by the high cost of private education. According to recent data from the KOSTAT, Korean spend more than 19 trillion won in 2012 on private education. Despite the efforts of the Korean government to lessen the amounts of private education payment, more and more Korean families are channeling all of their disposable income into supporting their children’s private education. There has been amount of criticism on the heavy reliance on private education which increased costs for parents who are already struggling with rising household expenses. After all, it is needed to do self-reflection and take a step back for recovering the essence of education. This study describes the presences of private education, and interviews of the private education concerned. And finally, this study recommends the alternative viewpoint on the private education as the imagination for the science of erudition. That is the inclusive leadership which is the key ingredient in shaping the future education.

      •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대학생 인식 조사: 광운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김성길,김주아 한국미래교육학회 2014 미래교육연구 Vol.4 No.3

        입학사정관제도는 대학입학전형을 선진화하기 위해 도입한 제도 중의 하나다. 입학사정관(Admissions Officer)을 통하여 내신과 수능이라는 점수만으로는 평가할 수 없는 입학생의 잠재력과 자질, 성장가능성등을 다각적이고 총체적으로 평가하고 판단하여 각 대학 고유의 인재상이나 모집단위의 특성에 맞는 신입생을 선발하고자 하는 제도다. 입학사정관제도는 각 대학이 대입전형 전문가인 입학사정관을 육성하고 채용하여 지속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대학과 모집단위별 특성에 따라 자유롭고 다양한 방법으로 신입생을 선발하는 제도다. 입학사정관전형은 각 대학의 설립이념과 교육목적을 반영하는 다양한 전형방식을 운영하여 특기와 적성, 잠재성 및 발전가능성을 갖춘 우수한 인재를 선발하고 교육함으로써 공교육 정상화와 사교육 경감이라는 교육효과를 달성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대학교 재학생들의 대학입학유형에 따른 입학사정관제도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입학사정관전형에대한 사교육 영향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입학사정관전형에 적용 가능한 사교육 감소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통해 공교육 활성화를 도모하는 입학사정관전형에 영향을 미치는 사교육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제한할 수 있는 대안 및 제도적 개선점을 마련하기를 기대한다. The college entrance system was the one of the most important educational matters in Korea. The changing of the Korean college entrance system was recognized as the paradigm shift of the education system. The Admissions Officer System for college entrance aimed to evaluate not only SAT or GPA, but also the potential of students. One of the key factors of the system is that it can be possible for universities to select their entrance students by considering their own vision, mission and the specific value of their admission group. This study aimed to survey the recognition of university students about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and give the insight on how to run the system effectively. By doing so, this study showed the system could be one of the most efficient options to improve Korean college entrance system. It is to be wished that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could contribute to reinforcing the Korean public education system.

      • KCI등재후보

        의학교육에서 자기주도학습원리를 통한 배움의 용기 고찰

        김성길,Kim, Seong Gil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2010 의학교육논단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opose an alternative viewpoint on medical education, known as the Erudition paradigm.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essence of erudition rather than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discussing the foundations of self-directed learning principles in medical education. By reactivating the meaning of self-directed learning, this study debates the proprieties of the erudition paradigm beyond pedagogy; that is to say, the school-oriented educational paradigm. After all, this study reveals that all humans are Homo Eruditio, born with an erudite instinct, and it is necessary to inspire his/her encouragement in erudition by using self-directed learning.

      • KCI등재

        유방촬영의 CR과 DR 영상 비교 연구

        김성길 (사)한국방사선산업학회 2019 방사선산업학회지 Vol.13 No.3

        Recent breast diseases incidence and mammography is trend thar are increasingproportionally. At this, To understand distinctiveness about breast X-ray equipment to obtainimage thinks should be implemented by priority. In this study, It is implement based on Signal tonoise ratio (SNR) and Contrast to noise ratio (CNR) quantitative evaluation to obtain de CR andDR breast photographing equipment, quantitative evaluation about visual evaluation of phantomimage and breast photographing image of breast photographing image evaluation standard. As aresult, the SNR and CNR values got appear highly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it was foundthat DR mammography equipment will obtain high quality image. At this, Author think that canobtain high quality image by using DR mammography equipment to high quarlity of image ,would be helpful accurate diagnosis and treatment.

      • KCI등재

        주거입지에 따른 가구의 교통비용과 주거비용의 비교 연구 : 광역 함브르크시에서 대중교통시설로의 접근도에 따른 가계재정구조

        김성길 국토연구원 2006 국토연구 Vol.50 No.-

        Where one lives and how one gets around is not just a lifestyle, but it is also a financial decision. The saving cost of transportation in areas with better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 is a intrinsic value of high real estate price, whereas costs of owning and operating car in sprawl areas with low land value should be requested much more than in other are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relation between transportation and shelter costs according to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 The residential areas in Hamburg are categorized according to level of public transport and other service facilities. The costs of owning and operating car in each residential area are calculated on the base of the household automobile ownership and usage analysed through the actual survey. The costs for homeownership through Mortgage lending are calculated on the base of real estate prices in the same areas. The result of this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the high cost of housing are offset by the low transportation cost in the efficient public transportation neighborhoods in Hamburg. This analysis finds the efficient location of residential area, which economize energy consume and makes household actual transportation cost saving possible. The result of the analysis can be used as a tool for influencing home locaion choice towards public transportaion corridors.

      • KCI등재

        Correlation between Scapular Asymmetry and Differences in Left and Right Side Activity of Muscles Adjacent to the Scapula

        김성길 질병관리본부 2017 Osong Public Health and Research Persptectives Vol.8 No.4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scapular asymmetry in young female adults and differences in left and right side activity of muscles adjacent to the scapula. Methods: This study included 60 female students from U university in Korea. In order to examine scapular asymmetry, the lateral scapular slide test (LSST) was used. The LSST was performed in 3 different postures (LSST-1, LSST-2, and LSST-3; i.e., 0°, 45°, and 90° of upper limb abduction, respectively). Muscle activity was measured during external and internal rotation of the shoulder joints. Muscle activity was measured at the upper, middle, and lower trapezius, and the serratus anterior. Results: In external shoulder rot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R = 0.450) between LSST-2 and the middle trapezius. In internal shoulder rot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R = 0.472) between LSST-2 and the upper trapezius, and between LSST-3 and the lower trapezius (R = 0.657); these results demonstrated a moderate positive linear correlation. Conclusion: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eft and right scapular asymmetry and the difference in left and right muscle activity of the trapezius in female adults. Problems in the trapezius may lead to scapular asymmetry.

      • RISS 인기논문

        미래 학교교육의 비전과 방향

        김성길 한국미래교육학회 2011 미래교육연구 Vol.1 No.1

        미래는 창의력과 도전정신이 요구되는 시대다. 미래는 다양성이 존중되는 시대다. 미래는 소통과 상생이 배어있는 시대다. 이를 통틀어서 미래는 배움의 시대다. 다가오는 미래는 새로운 가능성과 기회를 부여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학교는 스스로의 가치와 역할에 대해서 다시금 반추해볼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실행해 온 학교교육의 내용과 방법이 과연 미래 사회에도 충분히 적용 가능할 것인지에 대한 원론적인 질문부터 시작해야 할 것이다. 지금의 학교교육이 지닌 한계를 직시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미래 지향적인 학교교육의 비전과 방향을 수립하는 일이 필요한 시간이다. 미래 학교교육의 성패는 인간 본성으로서의 배움을 여하히 드러내고 복원해내고 증진시켜 나가느냐에 달려있다. 학생들 각자가 지닌 잠재력과 배움력을 극대화 하는 작업이 미래의 학교교육에서 성취해 나가야 할 과업이다. 이를 위해서는 창의력과 도전정신을 함양할 뿐만 아니라, 다름을 인정할 수 있는 다양성을 배양하고, 나아가 언제 어디서든지 원하는 내용을 접하고 익히고 만들어 낼 수 있는 배움 정신을 회복하는 일이 미래 학교교육의 비전이며, 이를 바탕으로 열린교육, 대안교육, 배움의 교육이 미래 학교교육의 방향이 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confirming the essence of erudition paradigm and discussing the visions and directions of future education for schooling. For this, first of all, this study debates the necessities of the future and the future education, and confirms the limitations of the pedagogy, that is to say, school-oriented paradigm. By doing so, this study suggests three visions, that is, creativities and challenge-minds, difference and tolerance, and inter-experience and win-win solution. And finally, this study recommends three directions of the future education for schooling. They are the direction of open education, alternative education, and erudition paradigm. After all, the erudition paradigm must be an alternative plan to resolve the educational conflicts. The school-oriented paradigm can not realize the human being’s value and his/her erudition instinct. Erudition paradigm needs to deconstruct the pedagogy which is on behalf of edufascism and school-oriented paradigm. And erudition paradigm persists in redefining and retranslating the ideology and concepts utilized in the age of pedagogy. It is originally because erudition paradigm is an environment-focused and lifelong education-oriented paradig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