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북한 간호계의 현황과 통일 간호학 정립의 과제

        김석향 통일간호학회 2019 통일간호학회지 Vol.1 No.1

        통일한국을 만들어 가는 길에서 그동안 남북한이 이질화를 겪었던 과정을 모든 부분에서 동질화해야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그러나 간호학 분야는 적어도 남북한 주민이 어느 정도 공감할 수 있는 수준으로 이질화를 극복하고 동질화 정도를 높여 놓아야 하는 영역이라 하겠다. 오늘날 남북한 간호계의 현실은 어느 분야보다 이질화 정도가 심한 영역으로 나타난다. 우선 1988년 이후 간호원이라는 명칭 사용을 중단하고 간호사로 변경한 한국과 달리 북한지역에서는 지금도 여전히 예전 용어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오늘날 한국에서는 단순히 환자를 치료하고 돌보는 차원을 넘어 지역주민 전체를 대상으로 삶의 질 증진을 도모하는 예방과 복지 활동으로 간호의 범위를 넓혀가는 반면 북한에서는 여전히 간호원의 업무 영역은 상급자인 의사의 지시를 기계적으로 집행하는 수준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런 격차를 초래하는 원인은 한국의 간호사 양성 체계가 4년의 정규대학 과정을 이수하고 난 이후에야 국가고시에 응시할 자격을 부여하는 반면 북한의 간호원 배출 방식은 교육기간도 6개월-2년 정도로 짧은데 별도의 검정 제도 없이 학교에서 졸업시험을 통과하면 곧바로 자격증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운영하는 현실에 기인한다고 생각한다. 통일한국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한국의 간호사와 북한의 간호원으로 나누어지는 이질적 체계를 그대로 방치한 채 통합을 논의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그런 점에서 이 글은 통일 간호학의 정립이 어떤 측면에서, 왜 의의를 지니는지 논의함으로써 적어도 남북한이 함께 통일국가로 나아갈 방도를 모색하는데 필요한 제언을 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이 글은 우선 오늘날 북한의 보건의료 정책 변화 과정을 관찰하고 그 속에서 간호원 양성 체계는 어떻게 운영하고 있는지 되짚어 볼 예정이다. 이 내용은 통일 간호학 정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확인하는 기초자료로 의미를 지닌다. 그리고 북한 내 환자 치료의 현실과 간호원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예정이다. 오늘날 북한의 환자 치료 현장에서 간호원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그 실상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통일 간호학 정립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자료를 확보하는 일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궁극적으로 이 글은 통일 간호학 정립의 필요성을 논의하면서 지금 당장 우리가 관심을 가져야 할 북한이탈주민의 건강을 넘어 북한주민을 포함한 통일한국의 국민 모두의 건강을 보살피는 영역으로 발전해 나가야 영역이라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Since the division in 1945, the heterogeneity among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as taken in the process in various fields. As the division continues over 70 years, there has been serious concern about the increased level of heterogeneity in the fields. It is not necessary to homogenize the heterogeneity in all fields in the way of creating a unified Korea. However, there are fields in which the homogenization of the two Koreas must be pursued, and the nursing field would be one of them. Today, the situation of nursing care between two Koreas is more heterogeneous than many fields. The terminology and the training system are some of the examples. In the ROK, the term for a nurse has been changed to “Kanho-sa” since 1988, as it implies more of the professionalism than the former term “Kanho-won” which is still used in the DPRK. The ROK’s training system qualifies students to take the national examination after completing a 4-year college education. On the other hand, the DPRK’s nurse training system period ranges from six months to two years, and the certificate is given immediately after the graduation examination without additional qualification process. This research examines the institutional differences of nurse training between two Koreas and observes the working conditions of nurses and the general situation of hospitals in the DPRK based on the testimony of the refugees from the DPRK. Based on these, the necessity and the goals of establishing nursing for the unified Korea are proposed.

      • KCI등재

        북한 내 공적(公的)·사적(私的) 인권담론 분석

        김석향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2 사회과학연구논총 Vol.27 No.-

        이 논문에서는「로동신문」기사를 통해 북한 내 공적 인권담론의 존재를 확인하고 한편 북한이탈주민의 증언 자료를 활용하여 북한 내 사적 인권담론을 재구성하는 작업을 시도한다. 그리고 이런 담론체계가 북한을 떠나 살아가는 북한이탈주민의 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추정했다. 그 결과, 다음 사항을 발견하였다. 「로동신문」기사는 북한 내부에 인권문제는 없는 데 외부의 “적”인 “미국과 남조선”이 “있지도 않은” 인권문제를 들어 북한을 비난하는 “책동을 벌인다고” 강조한다. 다음으로 북한이탈주민의 증언 자료를 보면 이들의 인권의식은 사실상 부재 상태로 나타난다. 북한에 있을 때 이들은 당국이 제공하는 “소년단원의 의무와 권리ㆍ청년동맹원의 의무와 권리ㆍ남녀평등권” 조항을 늘 외웠지만 인간의 보편적 권리인 인권의 의미를 생각해 본 일이 없다고 했다. 인권의식의 부재 현상은 탈북 이후 일상생활에서 이들이 자신의 권리를 행사하고 타인의 권리를 존중해야 하는 과정에 적응 문제를 야기할 가능성을 지닌다. 북한 내 공적ㆍ사적 인권담론 중에서 어느 쪽이 더 북한이탈주민의 생활세계에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는지 분석하는 것은 쉽지 않다. 다만 정도의 차이는 있어도 북한이탈주민의 인식체계에 북한 내 공적ㆍ사적 인권담론이 나름대로 영향을 미치는 것은 분명한 일로 보인다. 그런 만큼 앞으로 이 분야의 연구가 더욱 촘촘하고 치밀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thesis attempts to identify public discourse on human rights in North Korea through analyzing articles from the Rodong Sinmun and to discover private discourse on human rights in the DPRK by reconstructing testimonies from North Korean defectors. Then, the author compares both public and private discourses on human rights with a view to presuming how such discourse system affects the life of North Korean defectors living outside the DPRK. The results are listed below. First, articles from the Rodong Sinmun emphasized that human rights violation was something unrelated to North Korea. Rather, it argued that human rights issue is a fight against “the conspiracy” spearheaded by its external “enemy”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Second, the North Korean citizens’ awareness for the human rights has been absent in practice according to the reconstruction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testimonies. They separate “worthy” people from “unworthy” people and use discriminatory language against some types of people including people with disabilities without even realizing it. It is not easy to analyze which one has a far more powerful impact on North Koreans among public discourse on human rights and private discourse on human rights in the DPRK. However, it is clear that the discourse related to human rights affects the North Korean residents and North Korean defectors’ perception of human rights to a greater or lesser extent. For that reason, it is essential to more minutely and densely do research in this field of study in the future.

      • KCI등재

        고난의 행군기 이후 북한당국의 여성담론 분석

        김석향,권혜진 통일연구원 2009 統一 政策 硏究 Vol.18 No.2

        Since the arduous march time to the present, there is much evidence that says DPRK’s society has gone through several changes due to food shortage, financial difficulties, and differentiation and development of indigenous market, even though DPRK authorities have insisted on their own of socialism. Especially, the collapse of its distribution system which used to be at the center of DPRK’s official economic operation system has pushed the socially weak class - women - to go on the street to work to make a living. As it is the case, there is a large possibility that the living conditions of the DPRK women would have changed significantly. This research starts with the question of “What should the women’s discourse be composed of under Kim Jong-il’s regime when there is a huge possibility of changes in DPRK women’s living conditions?” This research has collected 117 women-related slogans and 24 editorials ‘Roading Sinmun’ of the last ten years, and extracted and analyzed the pattern of ‘the standard stories’. After the analysis of slogans and editorials of ‘the standard stories’, there were two different kinds of patterns; ‘Kim Jung Sook’ type, combatant-wife-mother type, and the general women type combatant-wife who serves the general-mother. The DPRK authorities think of women’s role as either ‘women’s issue’ or ‘Nursing and Upbringing of Children’. And instead of awarding ‘the title of hero’ to those who perform an excellent role in both areas, the authorities reward the title to women who play an outstanding role in one of the two areas. Women’s policy in DPRK is just aimed at women but it is not for the sake of women. Women’s discourse in DPRK is a typical way of indoctrination which is based on the kernel of ‘Military First Ideology’. Likewise, it seems that women were in charge of one part responsible for ‘Mass Labor Service Campaign to Strong’ and ‘Prosperous Nation Building’. Therefore, under Kim Jung-il’s leadership over the past ten years, women’s policy in DPRK has failed to reflect the rapid changes in the sense of values among women since the last economic crisis. Women’s discourse in DPRK makes the demand that women is not the subject but the object to do all for ‘the Suryong’. 고난의 행군기에 이어 최근까지 북한당국이 우리식 사회주의를 고수함에도 불구하고 북한사회 전반은 식량난과 경제난, 자생적 시장의 분화와 발전 현상으로 다양한 변화가 일어났다고 증언하는 자료들이 많다. 특히 공식적 경제운영체제의 근간 을 이루던 배급제도가 사실상 붕괴된 상황에서 사회적 약자계층인 여성이 남성을 대신하여 장사를 통해 생계를 유지해야 하는 여건이 10년 이상 이어져 온 만큼 북한여성의 생활여건은 변화를 겪었을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는 이처럼 북한여성의 생활여건이 변화의 가능성에 노출되어 있는 상황에서 북한당국의 여성담론은 어떤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하는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노동신문에서 10년간 117개의 여성관련 구호와 24개의 사설을 수집한 뒤 표준이야기(standard stories) 유형을 추출하고 그 유형을 적용하여 내용을 분석해 보았다. 구호 및 사설내용을 표준이야기(standard stories) 형태로 정리해 보았더니, 김정숙에 대해서는 ‘투사-아내-어머니’의 유형을 찾을 수 있었으며 일반여성에 대하 여서는 ‘투사-장군님 모시는 여성-어머니’의 유형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또한 북한당국은 여성의 역할을 여성문제와 후대보육교양의 문제로 이원화시켜 다루고 있는데 두 가지 범주에서 고르게 우수한 역할을 수행한 여성에게 영웅칭호를 수여하는 것이 아니라 두 분야 중 하나를 특출나게 모범이 되도록 수행한 여성에게 영웅칭호를 수여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한편 북한당국의 여성담론은 수령을 결사옹위하는 선군사상의 기본 핵에 기반한 사상교양의 한 방법이고 여성에게 강성대국건설의 한 축의 책임을 담당시키는 노력동원운동의 모습을 보여준다. 따라서 고난의 행군기 이후 10년동안 북한여성의 가치관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반영할 수도 없음을 확인하였다. 왜냐하면 북한당국의 여성담론은 여성을 주체가 아닌 객체로 보고 수령을 위해서 모든 것을 수행해내야 하는 존재로 설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김정일 시대(1998∼2007) 북한당국의 통일담론 분석: 노동신문 구호를 중심으로

        김석향,권혜진 통일연구원 2008 統一 政策 硏究 Vol.17 No.2

        North Korea is clearly a nation of propaganda which engulfs its citizens innumerous slogans in their everyday lives. This paper seeks to examine the different types of slogans on reunification and the frequency of their circulation in the Korean Workers’ Party’s Rodong Sinmun during the Kim Jong-il era between 1998 to 2007. The issue of reunification is one which North Korean regime has continually emphasized, albeit perhaps only nominally. Since the start of the Kim Jong-il era, each year, the Rodong Sinmun has produced and propagated various reunification slogans. Would their substance and frequency of distribution be similar in every year? If these aspects of the newspapers’ reunification slogans vary each year, what is the cause of such differences? Who would be the designated receiver of those slogans and what would be the North Korean regime’s purpose of sending them under the Kim Jong-il era?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paper comprehensively review reunification slogans that appear in the Rodong Sinmun and analizes its annual changes and characterstics, using the five-step Lasswell Communication Method; this case study focuses on the time period from January 1, 1998 to December 31, 2007. In conclusion, the study shows that the reunification slogans published in the Rodong Sinmun are not only intended for North Korean citizens, but also for other audience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d its citizens and the US government. Furthermore, throughout the past ten years of the Kim Jong-il regime, the substance of these slogans and the frequency of their appearance vary according to North Korea’s intent to regulate inter-Korean relations and U.S.-North Korean relations. 북한은 선전의 국가, 구호의 나라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주민들의 일상적인 생활현장에 각종 구호가 넘쳐나는 곳이다. 이 논문은 이른바 김정일 시대에 해당하는 1998년 이후 2007년까지 10년의 기간 동안 북한당국이 노동신문에 통일과 관련하여 어떤 유형의 구호를, 얼마나 자주 제시하였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통일은 북한당국이 적어도 명목상으로는 그 중요성을 늘 강조하는 것이 당연한 사안에 해당한다. 그렇다면 북한당국이 김정일 시대에 들어와 매해 노동신문을 통해 생산하고 보급해 온 통일관련 구호의 내용과 빈도 분포가 비슷한 양상을 보일까? 만약 해마다 노동신문에 등장하는 통일관련 구호의 내용과 빈도 현황이 달라졌다면 그 차이를 만들어 내는 원인은 무엇으로 봐야 하는가? 김정일 시대에 북한당국이 내세웠던 통일구호의 수신자는 누구이며 그 발신목적은 어떻게 정리할 수 있는가? 이와 같은 의문사항을 풀어나가기 위해 이 논문은 1998년 1월 1일 자 이후 2007년 12월 31일 자 노동신문에 등장하는 통일관련 구호를 전수조사한 뒤 10년간의 시계열적 변화와 특징을 라스웰의 커뮤니케이션 5단계 모델로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북한당국이 노동신문에 게재하는 통일관련 구호의 수신자는 북한주민 이외에도 남한주민과 남한당국, 미국 등 제2의 수신자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김정일 시대 10년 동안 노동신문에 등장하는 통일관련 구호는 남북관계와 북미관계를 조정하고자 하는 북한당국의 의도에 따라 그 내용과 연도별 빈도 분포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조선중앙년감(1989-2004)'에서 서술하는 독일통일의 과정과 결과: 독일통일에 대한 북한당국의 공식담론 분석

        김석향 세종연구소 2005 국가전략 Vol.11 No.4

        독일에서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고 통일이 이루어지던 시기를 전후하여 북한의 지도자 김정일과 김일성은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특히 김일성은 1991년 신년사에서 한반도에서 독일통일과 같은 상황이 일어날 것을 걱정하는 모습을 보인다. 북한체제의 특성상 지도자의 이런 심경이 어떤 형태로든 공식담론 체계나 정책결정 과정에 상당한 정도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바로 이 점을 근거로 이번 연구에서 북한당국이 한 해 동안 각 분야의 일을 최종적으로 정리하여 발간하는 『조선중앙년감』에서 독일통일의 과정과 결과에 대해 어떻게 서술하는지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조선중앙년감』에서 독일통일의 결과 구(舊) 동독 지역이 얼마나 난관을 겪는가 하는 점을 적극적으로 서술하면서도 독일통일은 국제편 국제주요사건 목차에 포함시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15 years ago, in 1990, two Germanies, East and West, were unified, becoming one country. The world was surprised by this news. Obviously, the news of the German Unification came as a huge shock to the North Korean leadership, to the then North Korean leader Kim Il-sung and his son Kim Jong-il. North Korean leaders paid great attention to the German unification as well its social and political impact on the country. In the 1991 New Year address, which was delivered just after the German Unification, Kim the Senior vividly expressed his fear that Korea would be follow the German path in futur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modus operandi of the North Korean regime, it is clear that Kim Il-sung and Kim Jong-il's concern was reflected in the official discourse. This article analyzes how the German Unification was described in the issues of the 『North Korean Yearbook』, from 1989 to 2004. The compilers of the『North Korean Yearbook』have been eager to show the numerous difficult problems the ex-East-German people had to deal with after the Unification. Yet, interestingly enough, German Unification itself was almost never mentioned in the 『North Korean Yearbook』 throughout the period.

      • KCI등재

        1989-2019년 『통일문제연구』 논문 집필진이 분석한 지역과 주제의 변화

        김석향 평화문제연구소 2019 統一問題硏究 Vol.31 No.2

        This article aims to review the academic authors and their topics on history of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1989-2019. For the last 30 years of history,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printed 71 issues from vol. 1 to vol. 31. Over the years, 778 authors wrote 690 articles on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Who wrote which topics? Why the topics were chosen by those authors? Is there any academic trends over the 30 years of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history? These are the questions for this article to try to analyze. This articles, in that sense, shall be a serial follower of “Transition of Korean Unification Discourses during the Post-Cold War Era,” written by Kyung Jei-hee and Kim Chae-Han (2014) and “Who Wrote Academic Articles on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1989-2015: Review from a Perspective of Social Scientific Methodology,” written by Kim Seok Hyang (2015). This article will show who wrote those academic articles for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for the last 30 years, which topics they did analyze and why. It will also show if there would be any academic trends, from 1989 to 2019. By doing so, this article shall show the “when, where, who, what, how, and why” wrote those academic works for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1989-2019. 이 글은 통일 및 남북한 관련 분야의 전문학술지 『통일문제연구』 창간호인 1989년 제1권 제1호 이후 30년이 지난 시점인 2019년 제31권 1호에 이르기까지 이 학술지에서 게재했던 논문 총 690편을 대상으로 집필진이 관심을 가지고 분석했던 지역과 주제에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 전체적인 동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 글은 앞서 『통일문제연구』 2014년 제26권 2호에 나왔던 경제희․ 김재한의 논문 “탈냉전시대 통일문제 논의의 변천: 『통일문제연구』 25년을 중심으로” 및 2015년 제27권 2호에 등장하는 김석향의 논문 “『통일문제연구』 논문에 나타나는 집필진의 특성과 사회과학방법론의 적용 및 활용 동향 분석” 등 두 편에 이어 지난 30년 동안 한국 사회에서 통일 및 남북한 관련 분야 학술 담론의 동향을 분석하는 성격을 지닌다. 이 글에서는 『통일문제연구』 30년의 역사를 되짚어 보면서 누가, 언제, 어느 지역을 분석하는 논문을 발표했는지, 또 어떤 유형의 주제를 분석하는 동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려 한다. 그리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통일문제연구』 집필진이 특정 지역과 주제를 분석하는 쏠림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지, 그 사회적 배경을 해석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한 걸음 더 나아가 1989년 이후 2019년에 이르는 30년 동안 『통일문제연구』 집필진으로 누가, 언제 활발하게 활동했는지, 그들의 특성이 논문의 주제를 선정하고 분석 대상 지역을 결정하는 과정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그 동향을 서술하는 작업도 병행하였다. 결국 이 글은 지나간 30년 동안 『통일문제연구』 논문을 매개로 삼아 1989년 이후 2019년에 이르는 기간 동안 우리 사회 내부의 통일 및 남북한 관계 분야에서 언제(when), 누가(who), 무엇을(what), 어떻게(how), 왜(why) 분석하고 글로 발표해 왔는지 되짚어 보는 의미를 지닌다고 하겠다.

      • KCI등재

        1989년-2019년 『통일문제연구』 논문에 나타나는 소수자 연구 동향 분석

        김석향,김미주 평화문제연구소 2020 統一問題硏究 Vol.32 No.2

        This article analyzes the trend of minority research on a total of 701 papers that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a specialized academic journal related to unification has issued during 1989-2019. We would examine the percentage of discussions related to minorities out of a total of 701 articles, and specifically what types of minority issues are being dealt with. We analyze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women, children, the elderly, the disabled, and LGBT people were identified by analyzing titles, keywords, and contents of the papers published for the last 30 yea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ollowing features were found. First, thesis dealing with minority subjects in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literally stays at the level of “minority level”. Among the total 701 papers during the period, 39 papers dealing with minority subjects appear to be about 5.6%. Second, the proportion of papers on unification and minority issues has increased within the last 10 years. The total is 5.6%, but it accounts for 12.1% during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and 10.6% during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Finally, by looking for cases dealing with the issues of women, children, the elderly, the disabled, and LGBT people in 701 papers, it was found that within a category, each subject has a different frequency. Given this phenomenon, it is necessary to try to discuss minorities in various categories in the fields of unification and North Korea sooner than later. 이 글은 통일 관련 전문학술지 『통일문제연구』 창간호인 1989년 제1권 제1호 이후 30년이 지난 2019년 제31권 2호에 이르기까지 등장한 논문 총 701편을 대상으로 소수자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총 701편 중에서 소수자 관련 논의를 전개한 비율은 어느 정도 되는지, 구체적으로 어떤 유형의 소수자 문제를 어떤 관점에서 다루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통일문제연구』 발간 이후 30년 동안 게재한 논문을 대상으로 제목과 주제어, 내용 분석을 진행하면서 여성, 아동, 노동, 장애인, 성 소수자 관련 연구 동향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발견하였다. 첫째, 『통일문제연구』에서 소수자 주제를 다루는 논문은 말 그대로 “소수”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해당 기간 총 논문 701개 중 소수자 주제를 다룬 논문은 39개로 약 5.6% 수준으로 나타난다. 둘째, 시기별 등장 빈도를 분석한 결과 최근 10년 이내 통일과 소수자 문제를 다루는 논문의 투고 비중이 증가했다. 총 5.6% 수준이지만 박근혜 정부 시기에는 12.1%, 문재인 정부 시기에는 10.6% 비중으로 차지한다. 마지막으로 701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여성, 아동, 노인, 장애인, 성 소수자 문제를 다룬 사례를 찾아보니 각각의 범주 내에서도 자주 다루는 주제의 편중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여성의 경우 북한이탈여성의 정착 문제, 아동의 경우 통일교육 문제 등이 중점적으로 나타난다. 이런 현상으로 미루어 앞으로 통일 및 북한 분야에서도 소수자 논의를 다양한 범주에 걸쳐 시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