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의 청년복지에 대한 인식과 경험 탐구

        김서현 ( Kim Seohyun ),임혜림 ( Yim Hye Rim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21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8 No.1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의 사회현안과 복지 관련 인식 및 경험에의 탐구는 사회복지학을 위시한 사회복지 교육현장에 중요 함의를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그동안에는 사회복지전공대학생들이 청년복지에 관해 어떻게 인식하고 경험하는지 구체적으로 밝혀진 바가 부족하였다. 본고는 이 점을 심도 있게 탐구하기 위한 목적에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는 총 7명의 20대 남녀 대학생과 평균 4회에 걸친 개별 심층면담으로 수집했고, 이를 Giorgi(1985)의 기술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총 77개의 의미단위와 16개의 하위범주를 발견했다. 이에 기반해서 ‘더 알고 싶은 청년복지’, ‘현실 걱정에 밀린 청년복지’, ‘발달로 다가가는 청년복지’, ‘당사자를 포괄하지 못하는 청년복지’, ‘연대와 배려를 일깨우는 청년복지’라는 5개의 상위범주를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 일반적 구조적 기술을 토대로 연구주제에 관한 연구참여자들의 인식과 경험에 대해 총체적 이해를 풍부히 도모하고자 했다. 끝으로, 연구결과에 바탕을 두어 몇 가지 논의사항을 제시하고 향후 과제를 위하여 제언하였다. An exploration of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social issues and welfare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can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field of social welfare education, including social welfare studies. However, little research has revealed concrete findings up until now, resulting in a lack of information on how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recognize and experience youth welfare. In this study, we performed qualitative research in order to investigate this research question intensively.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a total of seve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who were interviewed four times on average, and the data was then analyzed with Giorgi (1985)’s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e data analysis resulted in the finding of 77 meaning units and 16 sub-categories. Based on these categories, five upper categories were drawn, including, ‘Youth welfare I would like to know more about,’ ‘Youth welfare that gets behind concerns about reality,’ ‘Youth welfare approaching development,’ ‘Youth welfare which does not include the interested parties,’ and ‘Youth welfare which promotes solidarity and consideration.’ Lastly, based on the general structural descriptions, this study would abundantly promot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the research subjects. Finally, we conclude with the proposal of a few discussion topics and suggestions for future follow-up studies based on our analysis of the research results.

      • KCI등재

        지능형 하수처리시설 구축을 위한 하수처리 자가 진단 웹 애플리케이션 연구

        지남(Jinam Kim),김서현(Seohyun Kim),장호진(HoJin Jang),전환돈(Hwandon Jun),극태(Keugtae Kim) 한국방재학회 202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2 No.6

        하수처리시설은 에너지 다소비 시설로 분류되어 에너지 절감 대책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환경부는 2030년까지 에너지 자립률 50%까지 달성하기 위한 「공공하수처리시설 에너지 자립화 기본계획」을 수립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거율 기반 하수처리 자가 진단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통해 하수처리시설 현장 운영자에게 시뮬레이터 활용방안을 제공하고 자가 진단 결과에 대한 조치사항을 제시하는 하수처리시설의 ICT 기반 자가 진단 웹 애플리케이션 연구를 진행하였다. Massflow3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BOD, SS, T-N, T-P에 대한 비정상상태의 조치사항 및 유효성 검증을 진행하였고 웹 기반 자가진단 알고리즘 제작을 통한 운영자가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토대로 공정제어를 쉽게 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As sewage treatment facilities are classified as energy-consuming facilities and the need for energy-saving measures has emerge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has established the Basic Plan for Energy Self-Reliance of Public Sewage Treatment Facilities to achieve 50% energy independence by 2030.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n ICT-based self-diagnosis web application study for sewage treatment facilities that provided a simulator utilization plan to site operators of sewage treatment facilities and suggested measures for the results of self-diagnosis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removal rate-based sewage treatment self-diagnosis application. Using the Massflow3 simulator, the measures and validation of abnormal conditions for BOD, SS, TN, and TP were conducted, and a web-based self-diagnosis algorithm was implemented to enable the operator to easily control the process based on the simulation results.

      • KCI등재

        여성 노인의 자전적 내러티브에 기반한 ‘집’의 장소성: 노인요양시설 거주자를 중심으로

        김서현(Seohyun Kim),박영주(Young-Ju Park)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사회과학연구 Vol.32 No.1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placeness of ‘home’ that elderly women inherently experienced in their life course. To respond to the research question, one-on-on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four elderly women residing in elderly care facilit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ree parts, ‘dimension’, ‘turning’, and ‘adaptation’ presented by Mandelbaum (1973) for a life history approach, and with the method of an autobiographical narrative inquiry, the meanings implied in the depth of w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tol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mension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for ‘home’ appeared like, “A shift from ‘home woven by care’ to ‘a new site they would depend on for the rest of their lives’” based on five sub-topics. Second, the ‘turnings’ of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home’ were described through four sub-topics and appeared like “Relations being broken into ‘parting from home’ and ‘parting in home.’” Third, the research participants told about the ‘adaptations’ of ‘home’ based on five sub-topics, which was like, “A life lived with ‘a longing for home’ and ‘missing full of home.’” In conclusion, some discussion points were proposed based on the things newly found in this study.

      • “웬만하면 걷지”: 노인을 위한 보행자용 길 찾기 서비스 제안

        아람(Aram Kim),혜미(Hyemi Kim),백한나(Hannah Baek),서현(Seohyun Lim),홍성진(Sungjin Hong),진우(Jinwoo Kim) 한국HCI학회 2016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

        본 연구는 정보사회의 불평등으로 정보 소외 현상을 겪는 노인의 정보격차 해소와 정보 활용 수준을 높이고자 노인을 위한 보행자용 길 찾기 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노인의 전반적인 보행 경험요소를 도출하기 위해 Field Study 를 수행하여 총 14 개의 경험요소를 도출하고, 노인의 사용경험 제고를 위한 To-do 리스트와 함께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공하였다. In this paper, we suggest guidelines to help develop pedestrian navigation specialized for elder citizens. By conducting a field study, we found Fourteen constructs from the elders’ everyday walking experiences based on their pedestrian navigations. From these constructs, we propose a to-do list to improve the elders’ user experiences for the navigation and provide a new question to explore further.

      • KCI등재

        이혼가정 아동 관련 연구 경향의 역사적 고찰 : IMF 외환위기 이후부터 2019년까지 발표된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김서현 ( Kim Seohyun ),임혜림 ( Yim Hyerim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社會科學論集 Vol.51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이혼가정 아동에 관한 연구의 변천을 역사적 고찰에 기반하여 이해하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특히 이혼이 사회적으로 급격히 증가한 IMF 외환위기 이후부터 2019년까지의 기간 중에 국내에서 발표된 이혼가정 아동에 관한 학술연구의 경향이 어떠한지 연구사적 방법을 적용해서 분석하고자 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총 110편의 KCI 등재지 및 등재후보지 논문을 확보했으며, 수집한 자료를 시기별로 구분한 후 대상 논문의 경향성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연구사적 고찰을 수행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시기인 IMF 외환위기 이후부터 2000년대 초반에는 이혼이 급증함에 따라 해당 주제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급격히 전개되었다. 두 번째 시기인 2000년대 중반부터 후반까지는 부모의 이혼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비롯해 이혼가정 아동의 위험요인에 주목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연구의 수적 팽창도 수반되었다. 세 번째 시기인 2010년대 초반에서 2019년까지는 이혼가정 아동 관련 학술연구 주제의 다변화가 나타났으며, 연구주제의 세분화와 방법론의 정교화가 이루어졌다. 끝으로, 이혼가정 아동에 관련된 연구의 경향을 역사적으로 고찰한 결과에 기반을 두어, 해당 주제 탐구의 발전 및 후속 연구의 원활한 수행을 돕기 위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changes in the domestic studies of children in divorced families based on historical study. Especially, this study would analyze the domestic academ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children in divorced families, published from the time of the Korean Currency Crisis when divorces sharply increased in society in South Korea through 2019, applying the historical research method.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is study secured a total of 110 KCI-registered and to-be-registered academic articles to conduct a study of the history of research, dividing the collected materials by period and analyzing the tendency of the papers. The research result is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1st period Korean Currency Crisis through the early-2000s, as divorces sharply increased, academic interest in the relevant topic was rapidly developed. In the 2nd period from the mid-2000s to the late-2000s, most studies paid attention to risk factors in children in divorced families as well as the negative impacts of parents’ divorce on their development, and there was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studies, too. In the 3rd period from the early-2010 through 2019, the topics of academic research related to children in divorced families became diversified. Also, research topics were subdivided, and methodologies were sophisticated. Lastly, this study made suggestions to help develop the exploration of related topics and smoothly conduct subsequent studies based on the result of the historical study of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children in divorced families.

      • KCI우수등재

        여성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직무경험

        김서현(Kim, Seohyun),이미진(Lee, Mijin) 한국사회복지학회 2022 한국사회복지학 Vol.74 No.2

        불안정성이 증가한 현대사회에서 정신건강 문제가 중요 이슈로 떠오른 가운데, 정신건강사회복지사들의 역할이 크게 확대했다.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와 맞물려 정신건강사회복지사들의 직무경험을 젠더적 시각에서 이해할 필요성 역시 대두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토대를 두어 여성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직무경험에 관해 질적 탐구하고자 했다. 연구참여자는 여성 정신건강사회복지사 5명이다. 1인당 4~5회기의 심층면담을 실시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Giorgi(1985)의 기술적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해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총 5개의 본질적 주제를 발견했다. 이는 “사회의 틀 맞춰 갖추는 여성 정신건강사회복지사라는 옷”, “여성으로 감당하기 당혹스러워도 의연하게 클라이언트 응대하기”, “성별로 나뉘는 정신건강사회복지사 지위의 경계”, “여성으로서의 사생활과 정신건강 직무의 뒤엉킴”, “걸림돌 딛고 일궈내는 여성 정신건강사회복지사로서의 성장”과 같았다. 대주제는 “여성 역할 물결 따르며 전문직 사명의 파고 높이기”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성 정신건강사회복지사를 위한 전문성 향상 방안을 포함하여 성인지적 직무상황 개선과 직장 내 양성평등 확산 등에 관해 제언했다. As mental health problems have emerged as an important issue in modern society where uncertainty is increasing, the role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has also expanded greatly. Moreover, in line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women entering the workforce, the need to examine the work experiences of femal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from a gender perspective is on the rise. Base on this trend, this study aimed to qualitatively explore the work experiences of femal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five femal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our to five in-depth interviews per person and analyzed using Giorgis (1985)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and qualitative method. The analysis revealed five essential themes: “the facade of the female mental health social worker which is expected to suit the expectations of the society,” “being responsive to the clients without a trouble even if its embarrassing to handle as a woman,” “boundaries of th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who are divided by gender,” “tangle of the womens privacy and mental health related jobs,” and “growth as the femal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who have overcome obstacles.” The main theme was “following the flow of women’s roles and heightening the professional miss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recommendations were made concerning the enhancement of gender sensitive job situations and the expansion of gender equality in the workplace, including the plans to improve professionalism for the femal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 KCI등재

        중년 남성 출소자의 시간 체험에 관한 현존재분석적 이해 : Medard Boss의 이론적 관점을 기반으로

        김서현(Kim, Seohyun)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20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67 No.-

        본 연구의 목적은 출소자로 중년기를 살아가는 남성들이 실존적 존재로서 시간 체험을 하면서어떠한 경험과 인식을 하는지 깊이 있게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총 5명의 연구참여자와일대일 면담을 수행해 자료를 수집했고, 이를 Medard Boss(1963)의 현존재분석 접근에 기반을두어 심도 있게 이해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연구참여자들의 시간 체험에 관한 14개의 하위범주가드러났다. 이는 다시 Medard Boss가 현존재의 주요 특징으로 제시한 여러 실존범주 중에서 역사성, 공존성, 기분의 조율성, 신체성, 죽음의 존재라는 다섯 가지 개념에 토대해 구조화되었다. 즉, 연구참여자들의 시간 체험에 관한 의미는 ‘남보다 유독 굴곡진 팔자’, ‘시간 나눌 이 잃어버린 생존’, ‘불안과 후회가 뒤엉킨 매 순간’, ‘조심스레 내딛는 새 출발’, ‘언제나 끝과 함께한 운명’처럼 5개의범주와 함께 밝혀졌다. 또한, 연구참여자들의 시간 체험에 관한 최종 분석결과는 ‘회한으로 되감는인생의 태엽’이라는 중심주제와 같았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발견한 내용을 중심으로 몇 가지논의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experience and awareness of middle-aged male ex-offenders who experience time as existential beings on the whole.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one-on-one interviews with five research participants. Also, the collected data were understood in depth based on Medard Boss’s Daseinsanalytic approach (1963). In the result of the data analysis, 14 sub-categories of meanings about the research participants’ time experiences were revealed. These were structured based on five concepts of the various existentialias, including historicity, coexistence, fundamental attunement, corporeality, and being-towards-death suggested by Medard Boss as an essential characteristic of Daseinsanalysis. In other words, the meanings of time experiences were revealed with five categories, including ‘A fate with exceptionally more ups and downs than that of others,’ ‘Survival after losing people to share time with,’ ‘Each moment with anxiety and regret tangled up,’ ‘A new start by taking a step forward discreetly,’ and ‘A destiny always with the end.’ In addition, the result of the final analysis of the study participants’ time experiences was like the main theme, ‘the clockwork of life wound again with regret.’ At last, a few discussions were presented, centering around the findings of this study.

      • KCI등재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반한 성취기준 분석 : 2015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김서현(Kim Seo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5

        목적 본 연구는 2015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의 초, 중, 고의 가정생활 영역의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알아보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하여 초등학교 20개, 중학교 27개, 고등학교 16개, 총 63개의 성취기준을 분석하였다. 선정된 성취기준은 연구자와 2명의 코더가 예비 및 최종 분류의 과정을 거쳐 협의를 통해 최종 판정에 합의하였다. 결과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 차원의 경우는 절차적 지식, 메타인지적 지식의 비중이, 인지 과정 차원에서는 ‘이해하다’와 ‘적용하다’가 높은 비중을 보였다. 지식 차원과 인지 과정을 복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개념적 지식을 이해하다’가 가장 많았다. 둘째, 학교급별 특성을 살펴보면, 지식 차원의 경우 개념적 지식은 고등학교, 절차적 지식은 초등학교, 메타인지적 지식은 중학교가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인지 과정 차원의 경우 초등학교에서는 ‘이해하다’, 중학교에서는 ‘적용하다’, 고등학교에서는 ‘이해하다’의 비중이 높았다. 지식 차원과 인지 과정을 복합적으로 살펴보면 초, 중, 고 모두 ‘개념적 지식을 이해하다’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는 초, 중학교에서는 ‘절차적 지식을 적용하다’, 고등학교에서는 ‘메타인지적 지식을 분석하다 및 적용하다’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 내용에 기반한 제언으로는 1개의 성취기준이 2개 이상의 지식과 인지 과정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아 2015 개정교육과정의 목표인 학습량 적정화를 위해 성취기준 개발 시 면밀한 검토가 요구된다. 또한 상위학교급으로 갈수록 절차적 지식과 메타인지적 지식이 상위 인지 과정과 연계되어 고등사고력을 함양할 필요가 있고, 초등학교에서도 다양한 인지 과정을 균형있게 다룰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향후 가정생활분야의 3개 영역과 6개의 핵심개념별 성취기준을 지식, 인지 과정 차원에서 분석하여 2015 개정교육과정의 의도가 제대로 반영되어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family life areas of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Technology and Economics) curriculum. Methods To do this, 63 achievement standards were analyzed based on Bloom s new taxonomy.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knowledge level, procedural knowledge and metacognitive knowledge had a high proportion, and in the cognitive process level, ‘understand’ and ‘apply’ showed a high proportion. In the case of a complex analysis of the knowledge dimension and cognitive process, ‘understand conceptual knowledge’ was the most common. Second,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chool level, in the case of knowledge level, ‘conceptual knowledge’ in high school, ‘procedural knowledge’ in elementary school, and ‘metacognitive knowledge’ in middle school showed the highest proportion. As for the cognitive process, the proportion of ‘understand’ in elementary school, ‘apply’ in middle school, and ‘understand’ in high school was high. In the case of a complex analysis of the knowledge dimension and cognitive process, ‘understand conceptual knowledge’ is the most comm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followed by ‘apply procedural knowledge’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nd ‘analyze and apply metacognitive knowledge’ in high school. Conclusions As a suggestion based on the contents of this study, a single achievement standard often includes two or more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es, and thus a close review is required when developing achievement standards in order to optimize the amount of learning, which is the goal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addition, procedural knowledge and metacognitive knowledge need to be linked to higher cognitive processes to cultivate higher thinking skills, and elementary schools should provide opportunities to deal with various cognitive processes in a balanced way.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the inten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s properly reflected by analyz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each of the three scope of the family life area and the six core outlines at the level of knowledge and cogn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