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습관적 약물 사용 경험이 있는 청소년의 범불안장애 영향요인

        김서현,이수진,박주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1

        목적 본 연구는 습관적 약물 사용 경험이 있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범불안장애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범불안장애의 예방 및 관리를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2020∼2021년 청소년 건강행태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한 이차분석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은 2020∼2021년(제16 차, 17차) 청소년 건강행태조사 원시자료의 총 표본 109,796명 중 습관적 약물 사용 경험이 있는 800명이다. 통계분석을 위해SPSS Statistics 26을 활용하여 복합표본분석을 시행하였다. 습관적 약물 사용 경험이 있는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 정신건강 특성, 건강행태 특성에 따라 범불안장애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하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Rao-Scott x2 test), 습관적 약물 사용경험이 있는 청소년의 범불안장애 영향요인을 검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 습관적 약물 사용 경험이 있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범불안장애 영향요인은 성별, 외로움, 우울, 스트레스, 자살생각, 주관적 건강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습관적 약물 사용 경험이 있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범불안장애 영향요인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청소년의 습관적 약물 사용을 예방할 수 있는 교육적 전략을 수립하고, 습관적 약물을 사용하는 청소년의범불안장애 발생의 예방 및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in Korean adolescents with habitual substance use and provide the basis for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Methods This study is a secondary analysis study that utilizes raw data from the 2020-2021 Youth Health Behavior Survey. The study population consists of 800 adolescents with a history of habitual substance use out of a total sample of 109,796 from the 2020-2021 (16th and 17th) Youth Health Behavior Survey raw data. Complex sampl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Statistics 26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Chi-square test (Rao-Scott x2 test) was employed to verif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mong adolescents with a history of habitual substance us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mental health characteristics, and health behavior characteristic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tilized to examine the influencing factors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mong adolescents with a history of habitual substance us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dentified gender, loneliness, depression, stress, suicidal ideation, and subjective health as influential factors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mong adolescents with a history of habitual substance use. Conclus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dentifying the influential factors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mong Korean adolescents with a history of habitual substance us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imperative to establish educational strategies aimed at preventing habitual substance use among Korean adolescents. Furtherm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aimed at preventing and managing the occurrence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mong adolescents with a history of habitual substance use

      • KCI등재

        청소년의 부모 애착이 인터넷 중독 성향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김서현,정규 한국임상심리학회 2016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5 No.1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부모 애착, 정서조절능력, 인터넷 중독의 관련성을 살피고, 부모 애착과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울 및 경기 소재의 중․고등학교 재학 중인 남녀 학생 422명을 대상으로 애착 척도, 인터넷 중독 척도, 정서조절능력 척도가 포함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부모 애착은 정서조절능력과 정적 상관을 가지는 반면 인터넷 중독과는 부적 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조절능력과 인터넷 중독은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매개 효과 검증 결과, 정서조절능력이 부모애착과 인터넷 중독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모델이 적합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정서조절능력이 청소년의 부모 애착과 인터넷 중독의 관계에서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대한 예방과 치료적 개입에서 정서조절능력에 대한 평가와 개입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시행한 신경전도검사의 검사자 내 변이

        김서현,승민,정연경,강사윤,권순희,노숙영,정근호,문준식,권기한,남정모,선우일남 대한신경과학회 2004 대한신경과학회지 Vol.22 No.3

        Background: Nerve conduction study (NCS) is an objective and quantitative test in evaluating peripheral nerve disorders. Several physiological and technical factors are well known to influence the results of NCS, which can be controlled and regulated by standardization of environment and through the process to make range of normality. However, most electromyographers do not pay much attentions about inter- and intra-examiner variabilities, and there are only a few and incomplete reports on these topics. We examined the intra-examiner variability of NCS on the basis of periods of practice. Methods: Twenty-eight electromyographer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residents and neurologist-technicians. All, having variable NCS training periods, have performed NCS on one of other 27 electromyographers ten times within two weeks where each study was made once a day. Results: Coefficient of variation and external quotient increas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order-nerve conduction velocities (NCV), terminal latencies (TL), and amplitudes of compound action potentials (AM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NCV and TL, but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AMP.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errors from intra-examiner variability should be considered when interpreting NCS and that those electromyographers who have enough training should perform NCS.

      • KCI등재

        40대에 사회복지사가 된 중년여성의 직업을 통한 삶의 의미 변화: 생애사적 접근

        김서현,임주원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23 사회복지연구 Vol.54 No.3

        이 연구에서는 40대에 사회복지사가 된 중년여성의 직업을 통한 삶의 의미 변화가 어떠한지를 질적 탐구하려고 했다. 연구질문에 답하고자 한 인간의 삶의 면면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 데에 적합한 단일사례 기반의 생애사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연구참여자 선정 조건에 부합하는 중년여성 사회복지사 1인과 약 9개월 이상 총 20시간 이상에 걸쳐 개별 심층면담을 진행했다. 연구주제의 면밀한 탐구를 위해 자료수집과 분석에는 Schütze가 제안한 바 있는 이야기식 생애사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40대에 사회복지사가 된 중년여성의 직업을 통한 삶의 의미 변화는 총 16개 하위주제 및 4개의 상위주제와 더불어서 드러났다. 이중 상위주제는 “자양분처럼 사회복지사인 지금을 북돋는 위태롭던 젊은 날”, “생의 저점 딛고 일어나 사회복지로 이끌린 온 마음”, “가정 꾸리기 어려워도 사회복지현장 지켜가며 다지는 새 인생의 자리”, “완전하게 기능하는 사회복지사로 풍성히 채울 남은 삶”과 같았다. 최종적으로 확인한 연구참여자의 직업을 통한 삶의 의미 변화는 “아줌마란 틀 벗고 사회복지실천으로 이롭게 만개해가는 ‘나’로서의 여정”이라는 중심주제 아래 재해석되었다. 끝으로, 연구에서의 발견점에 기반을 두어 40대에 사회복지사가 된 중년여성의 직업적 역량 개발과 직무환경 개선, 이미지 환기 및 역할 중요성 재고 등을 목적으로 제언했다. This study would qualitatively explore changes in the meaning of life in a middle-aged woman who became a social worker in her 40s was through her profession.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a single-case life history study was conducted, which is suitable for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human life aspect, and individual a single middle-aged female social worker who met the selection criteria for the study was individually interviewed in depth for a total of more than 20 hours over a period of about 9 months. The narrative life history research method proposed by Schütze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to explore the research topic in detail. This study resulted in a total of 16 subthemes and 4 superordinate themes, along with changes in the meaning of life concerning the profession of a middle-aged woman who became a social worker in her 40s. The superordinate themes were “the precarious youthful days that nourished the present as a social worker like nourishment,” “the whole heart drawn to social work after rising from the low point of life,” “the new life position established by protecting the social work field even if it was difficult to raise a family,” and “the rest of life to be filled with abundance as a fully functioning social worker.” The change in the meaning of life through the research participant’s profession finally confirmed was reinterpreted under the central theme of “the journey of ‘me’ who sheds the frame of ‘middle-aged woman (ajumma)’ and beneficially blossoms into a social work practice.” Lastly, this study made sugges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the professional competence of the middle-aged woman who became a social worker in her 40s, improving the work environment, evoking their image, and enhancing the importance of their roles.

      • KCI등재

        60대 여성 만학도의 사회복지를 통한 자기실현 경험: Schütze의 생애사 연구방법의 적용

        김서현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22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16 No.2

        This study aims to inquiry about the life of a woman in her 60s who started studying late from an insider’s perspective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self-actualization experience through social welfare throughout her whole lif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listened to the voice of a woman who spent a long time, putting off her dream of entering a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for about a year and a half longitudinally and explored her overall experience of achieving self-actualization with social welfare in depth by entering a graduate school in her old age. For data collection, Schütze’s biographical narrative interview was applied, and the result was analyzed with his life history research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life of the woman in her 60s who started studying late was reorganized centering around the life historical task of entering a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and at the time when she decided to go back to school as a transition point, growth and change surrounding social welfare were revealed along with the direction of life, self-actualization. This is summarized as a total of 18 sub-items and three large categories, including ‘Dream of entering a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barely,’ ‘Going forward, developing oneself even in small stepping backward,’ and ‘The rest of one’s days totally different with social welfare.’ Lastly, for women who choose to study late in the latter part of their lives, this study proposed discussion points concerning self-actualization through social welfare, the promotion of lifelong development, educational participation in old age, and support for the quality of life. 본 연구의 목적은 내부자적 시선으로 60대 여성 만학도의 삶을 탐험한 뒤 그의 인생 전반에서 사회복지를 통한 자기실현 경험이 갖는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진학의 꿈을 보류한 채 오랜시간을 보내온 한 여성의 목소리를 약 1년 반 정도 종단적으로 경청하였고, 노년기에 대학원에 진학하여사회복지와 함께 자기실현을 달성해가는 총체적 경험에 관해 심도 있게 탐구했다. 자료수집에는 Schütze의이야기식 인터뷰 방식을 적용하였으며, 이를 생애사 연구방법으로 분석했다. 연구결과, 60대 여성 만학도의 삶은 진학이라는 생애사적 과제를 중심으로 재구성되었고, 다시 진학을 결심했던 때를 전환점으로사회복지를 둘러싼 성장과 변화가 자기실현이라는 인생의 지향점과 더불어 드러났다. 이는 총 18개소항목, 그리고 ‘잡을 듯 말 듯 이어온 진학의 꿈’, ‘잦은 뒷걸음질에도 발달하며 앞으로 나아감’, ‘사회복지와 동행할 전혀 다른 여생’과 같은 3개의 대범주로 요약된다. 끝으로, 인생 후반부에 만학을 선택하는여성들을 위해서 사회복지를 통한 자기실현과 전 생애적 발달 촉진, 노년기 교육 참여 및 삶의 질 지원등에 관한 논의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