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장실습과 온라인실습 유형별 간호 대학생의 실습 만족도 및 학업성취도 비교

        전은영 ( Eunyoung Jeon ),소현 ( Sohyeon Kim ),민중 ( Minjung Kim ),김서현 ( Seohyun Kim ),성주 ( Seongju Kim ),소영 ( Soyeong Kim ),소현 ( Sohyeon Kim ),아영 ( Ayoung Kim ),예빈 ( Yebin Kim ),정은 ( Jeongeun Kim ) 경북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21 경북간호과학지 Vol.25 No.2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students' clinical practice achievement between field and online practice. Methods: In this descriptive research, we recruited junior and senior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both field and online practice from nursing college in Daegu and Gyeongbuk, Korea.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online survey and analyzed via a t-test, ANOVA, and paired t-test using SPSS V 25.0.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of practice between field and online practice types. However, academic achievement was higher in the field group than in the online group. Out of five points, the scores of field practice and online practice were 3.66 points and 3.39 points, respectively, which indicated that academic performance was higher in field practice than online practice (t=6.21, p<.001). Conclusion: Field practice has been shown to achieve higher academic performance than online practice. Hence, research is needed in order to develop suitable field practice models for the New Normal era in preparation for situations that practice is limited, such as COVID-19 and future outbreaks.

      • KCI등재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의 청년복지에 대한 인식과 경험 탐구

        김서현 ( Kim Seohyun ),임혜림 ( Yim Hye Rim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21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8 No.1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의 사회현안과 복지 관련 인식 및 경험에의 탐구는 사회복지학을 위시한 사회복지 교육현장에 중요 함의를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그동안에는 사회복지전공대학생들이 청년복지에 관해 어떻게 인식하고 경험하는지 구체적으로 밝혀진 바가 부족하였다. 본고는 이 점을 심도 있게 탐구하기 위한 목적에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는 총 7명의 20대 남녀 대학생과 평균 4회에 걸친 개별 심층면담으로 수집했고, 이를 Giorgi(1985)의 기술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총 77개의 의미단위와 16개의 하위범주를 발견했다. 이에 기반해서 ‘더 알고 싶은 청년복지’, ‘현실 걱정에 밀린 청년복지’, ‘발달로 다가가는 청년복지’, ‘당사자를 포괄하지 못하는 청년복지’, ‘연대와 배려를 일깨우는 청년복지’라는 5개의 상위범주를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 일반적 구조적 기술을 토대로 연구주제에 관한 연구참여자들의 인식과 경험에 대해 총체적 이해를 풍부히 도모하고자 했다. 끝으로, 연구결과에 바탕을 두어 몇 가지 논의사항을 제시하고 향후 과제를 위하여 제언하였다. An exploration of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social issues and welfare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can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field of social welfare education, including social welfare studies. However, little research has revealed concrete findings up until now, resulting in a lack of information on how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recognize and experience youth welfare. In this study, we performed qualitative research in order to investigate this research question intensively.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a total of seve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who were interviewed four times on average, and the data was then analyzed with Giorgi (1985)’s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e data analysis resulted in the finding of 77 meaning units and 16 sub-categories. Based on these categories, five upper categories were drawn, including, ‘Youth welfare I would like to know more about,’ ‘Youth welfare that gets behind concerns about reality,’ ‘Youth welfare approaching development,’ ‘Youth welfare which does not include the interested parties,’ and ‘Youth welfare which promotes solidarity and consideration.’ Lastly, based on the general structural descriptions, this study would abundantly promot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the research subjects. Finally, we conclude with the proposal of a few discussion topics and suggestions for future follow-up studies based on our analysis of the research result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아동양육시설 남성 생활지도원의 직무경험: 뫼비우스의 띠 위를 걸어가는 남자들

        김서현 ( Seo Hyun Kim ),임혜림 ( Hye Rim Yim ),정익중 ( Ick Joong Chu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5 사회복지연구 Vol.4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양육시설 남성 생활지도원의 직무경험을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심층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아동양육시설 남성 생활지도원 10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수행하였고, 직무환경이라는 맥락 속에서 남성 생활지도원이 어떠한 본질적 경험을 하고 있는지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토대로 분석하여 연구참여자의 직무경험에 대한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의 중심의미는 〈몇 안 되는 남자라 어정쩡해도, ‘빛과 소금’처럼 소중함〉, 〈늘 같은 곳을 바라보지 않아도, 동료들과 말없이 서로이해함〉, 〈남자로서 자격지심이 느껴져도, 아버지처럼 아이들을 지킴〉, 〈아등바등 고되지만, 아이들 변화에 뿌듯함〉, 〈때론 멀게 느껴지지만, 아이들 속에서 ‘나’를 발견함〉, 〈불안함에 흔들리는 미래에도, 아이들과 가족으로 존재하고픔〉인 것으로 밝혀졌다. 본질적인 주제는 《뫼비우스의 띠 위를 걸어가듯 끊임없이 ‘어두움’과 ‘밝음’을 오고 감》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참여자들의 직무경험에서는 생활지도원으로서의 ‘보편성’과 함께 남성 생활지도원만의 ‘고유성’이 함께 드러났고, 이들은 그속에서 ‘긍정성’과 ‘부정성’의 양극단을 부단히 오고가는 모습이었다. 이들이 경험하는 ‘부정성’은 외부로부터 투영된 성별 고정관념에 의한 편향적 역할기대에서 기인하는 것이 더 많았고, 아동돌봄서비스 제공자로서 경험하는 ‘긍정성’을 통해 이를 상쇄시켜가는 모습이었다. 하지만 그와 같은 ‘긍정성’은 ‘부정성’과 만나고, ‘부정성’이 다시 ‘긍정성’으로 이어지는 연쇄적 과정으로 귀결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아동양육시설 남성 생활지도원에 대한 사회적 인식개선 및 양성평등한 직업환경 조성의 필요성과 함께, 아동복지증진 측면에서도 직업안정성 증대가 시급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job experiences of male caretakers in child residential institutions, in depth through a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For this purpose, 10 male caretakers working in child residential institution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to conduct in-depth interviews, and in the context of their job environment, an understanding of the essential experiences as male caretakers was attemp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ased on Giorgi’s phenomenological approach, and component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job experiences were draw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ompositional elements in this study turned out as follows: 〈In spite of an equivocal position as minorities, being precious as ‘light and salt’〉, 〈Understanding each other without saying a word with colleagues, though not always looking at the same direction〉, 〈Despite inferiority complex as a man, taking care of children like their father〉, 〈Struggling with difficulty, but feeling great about changes in children〉, 〈Finding ‘myself’ in the children, sometimes feeling somewhat distant, though〉and 〈In spite of the future shaken by anxiety, wanting to be a family with children〉. The fundamental theme was 《Like walking on a Mobius strip, oscillating continuously between ‘darkness’ and ‘brightness’》. In these people’s job experiences, male caretakers’ ‘indigenousness’ appeared along with ‘universality’ as caretakers, in which research participants were coming and going constantly between both extremes of ‘positivity’ and ‘negativity’. ‘Negativity’ they experienced, rather, came from biased role expectations by the gender stereotype projected from the outside, and they were offsetting this through the ‘positivity’ they experienced as child care service providers. Nevertheless, such ‘positivity’ resulted in a sequential process in which it came across ‘negativity’, and vice versa.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proposed the urgency of the promotion of job stability as well as the improvement of social recognition about caretakers at child residential institutions and the creation of a gender-equal job environment.

      • KCI등재

        화자 임베딩과 발화 리듬의 연관관계에 대한 연구

        김서현 ( Seohyun Kim ),남호성 ( Hosung Nam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1 외국어교육연구 Vol.35 No.2

        본 연구는 발화 리듬이 프레임 단위 화자 임베딩의 평균으로 구해지는 문장 단위의 임베딩에 반영되는 정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화자 임베딩을 컴퓨터 보조 발음 학습(Computer-Assisted Pronunciation Training, CAPT)에 사용할 때, 화자 임베딩에 어떠한 화자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는 학습자가 발화에서 어떠한 특성을 배울 것인지를 정하는 것에 중요하다. 발화 리듬은 원어민 간에도 차이가 있기 때문에, 리듬 정보가 화자 임베딩에 반영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리듬 정보가 화자 임베딩에 반영되어있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화자 임베딩을 선형회귀로 리듬 특징 공간으로 투영하였다. 분석 결과, 평균 방식으로 구해지는 문장 단위 화자 임베딩은 시간 종속적인 정보를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CAPT 시스템에서의 음성 변환을 개선할 수 있는 방향을 논의해보고자 한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if speech rhythm is encoded in the utterance-level speaker embedding which is an averaged value of frame-level speaker embeddings. When speaker encoders are used in Computer Assisted Pronunciation Training, finding what information is included in speaker embeddings is crucial because it defines what feature a learner should acquire to be fluent speaker. Rhythm has been regarded as a speaker identifiable feature. The speaker embeddings, however, may fail to capture rhythm features since the temporal dependency of prosody is likely to be lost by simple averaging. To quantify the degree to which rhythm information is encoded in the speaker embedding, the speaker embeddings were projected to the feature space by least square linear regression. The R-squared values for the rhythm features were consistently low across the models with the different number of parameters, in contrast to the acoustic features which showed the significantly high R-squared values.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utterance-mean embeddings did not encode speech rhythm of individual speaker. Based on the result, the way to better adopt speaker embeddings in CAPT system is discussed.

      • KCI등재

        지능형 하수처리시설 구축을 위한 하수처리 자가 진단 웹 애플리케이션 연구

        지남(Jinam Kim),김서현(Seohyun Kim),장호진(HoJin Jang),전환돈(Hwandon Jun),극태(Keugtae Kim) 한국방재학회 202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2 No.6

        하수처리시설은 에너지 다소비 시설로 분류되어 에너지 절감 대책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환경부는 2030년까지 에너지 자립률 50%까지 달성하기 위한 「공공하수처리시설 에너지 자립화 기본계획」을 수립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거율 기반 하수처리 자가 진단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통해 하수처리시설 현장 운영자에게 시뮬레이터 활용방안을 제공하고 자가 진단 결과에 대한 조치사항을 제시하는 하수처리시설의 ICT 기반 자가 진단 웹 애플리케이션 연구를 진행하였다. Massflow3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BOD, SS, T-N, T-P에 대한 비정상상태의 조치사항 및 유효성 검증을 진행하였고 웹 기반 자가진단 알고리즘 제작을 통한 운영자가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토대로 공정제어를 쉽게 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As sewage treatment facilities are classified as energy-consuming facilities and the need for energy-saving measures has emerge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has established the Basic Plan for Energy Self-Reliance of Public Sewage Treatment Facilities to achieve 50% energy independence by 2030.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n ICT-based self-diagnosis web application study for sewage treatment facilities that provided a simulator utilization plan to site operators of sewage treatment facilities and suggested measures for the results of self-diagnosis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removal rate-based sewage treatment self-diagnosis application. Using the Massflow3 simulator, the measures and validation of abnormal conditions for BOD, SS, TN, and TP were conducted, and a web-based self-diagnosis algorithm was implemented to enable the operator to easily control the process based on the simulation results.

      • KCI등재

        재발된 뇌경색으로 이중항혈소판요법 필수인 환자의 혈뇨에 대한 삼칠근말의 지혈효과 증례보고 1례

        김서현,강지현,준석,장우석,Kim, Seo-hyun,Kang, Ji-hyeon,Kim, Jun-seok,Jang, Woo-seok 대한한방내과학회 2022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43 No.5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amchilgeun powder (panax notoginseng) on the treatment of hematuria in a patient requiring double antiplatelet therapy due to recurrent cerebral infarction. Methods: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Samchilgeun powder (panax notoginseng) combined with Western medicine (an antiplatelet). Urinalysis was performed to observe hematuria and proteinuria levels, and blood tests were used to evaluate anemia levels. Results: After treatment, hematuria levels decreased without exacerbation of anemia and proteinuria and even recurrence of cerebral infarction.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Samchilgeun powder (panax notoginseng) can effectively treat patients with hematuria requiring double antiplatelet therapy due to recurrent cerebral infarction, but further studies should be conducted.

      • “웬만하면 걷지”: 노인을 위한 보행자용 길 찾기 서비스 제안

        아람(Aram Kim),혜미(Hyemi Kim),백한나(Hannah Baek),서현(Seohyun Lim),홍성진(Sungjin Hong),진우(Jinwoo Kim) 한국HCI학회 2016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

        본 연구는 정보사회의 불평등으로 정보 소외 현상을 겪는 노인의 정보격차 해소와 정보 활용 수준을 높이고자 노인을 위한 보행자용 길 찾기 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노인의 전반적인 보행 경험요소를 도출하기 위해 Field Study 를 수행하여 총 14 개의 경험요소를 도출하고, 노인의 사용경험 제고를 위한 To-do 리스트와 함께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공하였다. In this paper, we suggest guidelines to help develop pedestrian navigation specialized for elder citizens. By conducting a field study, we found Fourteen constructs from the elders’ everyday walking experiences based on their pedestrian navigations. From these constructs, we propose a to-do list to improve the elders’ user experiences for the navigation and provide a new question to explore fur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