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유배문학의 연속성에 대한 시론(試論) -김진귀-김춘택-임징하를 중심으로-

        김새미오 ( Kim Sae-mi-o ) 영주어문학회 2017 영주어문 Vol.36 No.-

        본고는 제주유배문학의 연속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고의 관심사항은 제주유배라는 형벌아래 문학양상이 어떻게 이어지고 있는가를 고민한 것이다. 본 연구는 “만구와 김진귀-북헌 김춘택-서재 임징하”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북헌은 만구와의 아들이고, 서재는 만구와의 사위였다. 이들은 시기를 달리하면서 제주유배를 경험하였을 뿐만 아니라 盤龍硯이라는 벼루로 그 마음을 전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이들의 제주유배문학을 연속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먼저 盤龍硯이 전해지는 과정에서 이들의 심적 공감대를 살폈고, 이어서 각 작가의 제주유배시문을 통해 유배문학의 연속성을 점검하였다. 이들의 문학적 연결성은 형식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고민해보았다. 김진귀 제주유배문학의 특징은 청음 김상헌의 『남사록』에 맞춰 화운한 작품이 많다는 점이다. 이는 청음이 유배인은 아니었지만 같은 노론계열의 인물이었고, 『남사록』이 당시로서는 제주도에 대한 가장 정확한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이었다. 김춘택의 경우는 아버지 김진귀의 유배공간과 제주지식인들을 계속적으로 만나면서, 유배지에서 자신의 문학세계를 펼쳐 나갔다. 김춘택의 제주유배문학은 김진귀 제주유배 때의 공간, 인물, 감정 등을 그대로 이어나갔다. 김춘택이 이럴 수 있었던 것은 김진귀의 제주유배 시기에 제주도에 왔던 경험 등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임징하는 앞선 두 인물에 비해 짧은 제주유배생활을 하였다. 임징하의 작품에서는 특히 김춘택의 제주유배시기 작품에 대해 화운한 점이 주목된다. 임징하는 김춘택에게서 반룡연을 전해 받은 만큼, 제주유배에서 김춘택의 흔적에 대해서 매우 관심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세 인물의 문학적 성격을 통해, 제한적이지만 제주유배문학이 내면의 감정으로 서로 이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에서 다룬 문학의 연속성의 문제는 학계에서 심도있게 연구가 진행된 분야가 아니다. 이와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어 보다 정확한 문학좌표가 설정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ntinuity in the exile literature of Jeju. A particular attention is made to the inquiry of how the lineage of literature descends under the hardship of exile to Jeju. For the inquiry, this study focuses upon the literature lineage that descends from Manguwa Kim Jin-Gwi to Seojae Im Zhing-Ha through Bukheon Kim Chun-Taek. Bukheon is the son of Manguwa and Seojae is the son-in-law of Manguwa. All of them were exiled to Jeju for different periods and they left their exiled experiences in writings using the identical stone ink of banyongyeon. Therefore, I consider their exiled experiences delivered through bangyongyeon are the places to understand well the continuity in the exile literature of Jeju. This paper first looks into the mentally experienced aspect of the three authors through the process of bangyongyeon to be delivered to them; and further into the continuity in the exile literature of Jeju by examining the poetry and proses that express the experiences of exiles to Jeju made by each of the three authors. For the connectivity in their writings, a formal style in their writings is examined. Kim Jin-Gwi composed several verses that respond to the words of Namsarok by Cheongeum Kim Sang-Heon. Cheongeum was never exiled to Jeju but he was the person belonging to the political group of Noron like Kim Jin-Gwi. Also, Namsarok consisted of the most accurate information of Jeju at those times. Kim Chun-Taek extended his literary world by making continuous interactions with Jeju intellectuals in his exiled land of Jeju to which his father Kim Jin-Gwi was also sent as an exile. The exile literature of Jeju made by Kim Chun-Taek succeeded his father Kim Jin-Gwi`s expressions for spaces, figures, and emotions. Kim Chun-Taek was able to do this because he visited Jeju during the time his father Manguwa Kim Jin-Gwi spent exile years in Jeju. Im Zhing-Ha spent relatively shorter periods of exiles compared to the previous two figures. Of particular, Im Zhing-Ha made extensive numbers of verses in response to the works of Kim Chun-Taek, these being done during Kim`s exile to Jeju. Im Zhing-Ha received bangyongyeon from Kim Chun-Taek so that he is considered to have a great interest in the traces of Bukheon Kim Chun-Taek during his exile to Jeju. The examination of the literary characters of the three authors enables us to confirm that the exile literature of Jeju is linked to each other through the internal emotions. The continuity in literature that this paper examines has not been well shed upon in this research field. Further studies upon this research topic is expected to pave well to establish the proper orientation for the exile literature of Jeju.

      • KCI등재

        농은(農隱) 김문주(金汶株)의 삶과 문학에 대한 소고

        김새미오 ( Kim Sae-mi-o ) 영주어문학회 2018 영주어문 Vol.40 No.-

        본고는 農隱 金汶株(1859~1935)의 삶과 문학에 대해 살펴보았다. 김문주는 구한말 제주문인으로, 무과에 합격하여 40대까지 여러 관직을 거쳤다. 하지만 시대가 어지러워지면서 관직을 버리고 은둔의 삶을 선택하였다. 그는 陶淵明을 처신의 기준으로 삼았다. 그의 교유관계는 화갑시에 차운한 인물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교유관계의 이면에 浮海 安秉宅과의 밀접한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간접적으로 일본에 대해 비판적이었던 그의 마음을 읽을 수 있었다. 이런 그의 인식은 勉庵 崔益鉉ㆍ忠武公 李舜臣등을 제재로 한 작품에서 보다 분명하게 표현되었다. 하지만 김문주는 많은 나이로 인해 실제 항일투쟁을 옮길 수 없었다. 김문주의 의식과 암담한 현실은 분명히 달랐기 때문이다. 실질적인 행동은 다음세대에서 이루어 졌다. 아들인 金明植ㆍ金瀅植, 손자인 金允煥 등은 여러 방식으로 항일의지를 실천했다. 하지만 일제는 이들을 철저히 탄압했고, 결국 좌절되고 말았다. 김문주는 이 지점에서 무력한 자아에 대해 비통한 감정을 토로하였다. 이것은 어쩌면 당대 지식인의 무력감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제주풍광의 기술 역시 주목할 만한 사항이었다. 김문주는 기존에 있던 『瀛州十景』을 중심으로 재창작하였다. 하지만 이를 그대로 따른 것은 아니었다. 그는 예전의 영주십경을 기준으로 보다 자유롭게 제주풍광을 해석하였다. 그 중에서 「漢拏山」·「龍淵夜帆」 등에 대해서는 특별한 의미를 담고 창작하였다. 김문주의 이런 창작방식은 당시에 제주풍광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studied the life and works of Nong Eun Kim Mun-Joo (here after Kim). Kim went through several governmental posts after he passed the military service exam. However, as the time became troubled, he gave up his governmental post and decided to lead the life a recluse. Kim referred Doh Yeun-Myoung for making such decisions. His companionship was organized through the figures recited in poems. It was identified that Kim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Boohae Ahn Byung-Taek, which indicates his fighting spirit against Japan’s colonial power. Such spirit was clearly described in the works that discussed Myun Ahm Choi Ik-Hyun, Admiral Yee Sun-Shin However, Kim could not act himself against Japan’s power as he became already older. Kim’s fighting spirit could not come along with those days in dark, hopeless situations. Real actions were made by his offspring. His two sons Myung-Shik and Hyung-Shik and his grandson Yun-Whan practiced in diverse ways the fighting spirit against Japan. However, Japan’s colonial power persecuted them severely and Kim’s sons and grandson could not help but giving the anti-Japan movement. Kim expressed his bitter emotional pains about his powerless self. This might represent symbolically the powerlessness of intellectuals at those days. It is also worthwhile to pay attention to his descriptions of Jeju Island’s landscape. Kim recreated Jeju’s landscape by focusing up Youngjushipgyung (The Ten Great Landscapes of Jeju). However, he did not follow simply the previous styes. He interpreted on his own styles with more freedom the landscapes of Jeju. Of particular, he created Halla Mt and Yongyeonyabum (also known as youngyeon pedestrian overpass) by giving special meanings to them. Kim creation styles with full of free spirit can be said meaningful in that they suggest new perspectives on Jeju’s landscape at those days.

      • KCI등재

        제주유배시사 귤회(橘會)연구

        김새미오 ( Saemio Kim ) 한국한문학회 2015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57

        본고는 제주 유배시사 橘會를 학계에 보고하는 글이다. 조선시대 제주도는 극형을 감해서 보내는 유배지였다. 이런 유배지에서 유배인들끼리 시를 주고받으면서 시회를 펼쳤다는 사실 자체가 매우 독특하고 흥미로운 사실이다. 이런 시회의 표면적인 이유는 첫째, 제주도에 유래 없이 많은 유배인이 집중되었고, 둘째, 이들은 대부분 이전부터 알고 지낸 사이였다. 셋째, 제주감옥에서 풀려난 후 거처한 곳이 한 곳에 집중적으로 몰려 있었고, 넷째, 무엇보다도 같은 지역 같은 시기에 유배왔다는 심리적 동질감이 이들의 모임을 가능하게 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주지역사람들의 식자에 대한 동경이 자리하고 있다. 이면적인 요인으로 첫째, 우선 당시 제주에 왔던 관리들이 이들의 모임에 어느 정도 허용해주었던 것으로 보인다. 둘째, 조선시대 유배경험의 축적을 들 수 있다. 셋째, 동력선의 등장으로 제주로 오는 길이 매우 편해졌기 때문이었다. 이 시회의 중심인물은 金允植, 李容鎬, 鄭丙朝였다. 이들의 모임은 세 단계를 거쳤다. 첫 번째는 이용호가 그 중심이었고, 두 번째와 세 번째는 김윤식이 이끌어 갔다. 두 번째와 세 번째 단계를 나누는 시기는 김윤식과 같이 유배왔던 이승오의 죽음이었다. 이용호를 중심으로 했던 시회는 당시 제주목사였던 李秉輝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었다. 방성칠의 난으로 이병휘가 파직이 되면서 그 중심이 김윤식으로 옮겨간다. 김윤식은 橘園雅集이란 이름으로 시회를 열었고, 제주에 와 있던 유배객과 제주문인들을 모여들었다. 이는 기존에 있던 이용호 중심의 시사 인원을 모두 포괄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더한다. 이들의 모임은 이재수의 난 때에 유배인들이 연관되었던 사실이 밝혀졌고, 이를 계기로 제주에 왔던 유배인들이 뿔뿔히 흩어지게 되면서, 시회 역시 마지막 장을 고하게 된다. This paper reports to the academy the existence of Gyulhoe(橘會), the literature circle of exiles to Jeju. During the Choson period, Jeju Island was a place to which exiles were sent from the mainland as a compromised means of extreme punishment. It can be considered unique and interesting that the exiles to Jeju gathered together and enjoyed the exchange of poems by forming a circle. we can point out three things that are instrumental on the surface to form a circle of Gyulhoe: first, Jeju attracted a lot more numbers of exiles than ever before in those days; second, those exiled were acquainted to each other in Hanyang(the name referring to the capital city during the Choson period) before transmittal to Jeju as a punished convict; third, released from prisons in Jeju, they formed a residential place nearby to each other and their psychological conformity driven by their being charged to the same place at the same period enabled them to form a circle. Lastly, admirations among Jeju Islanders for intellectuals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the circle. For another factors that enable the circling, we can consider three factors. First, government officials sent from the central government in Hanyang allowed more or less the activities of the circle. Second, the well established experience of exiles during the Choson period is also an important factor. Third, the appearance of engined boats made it possible for trips from the mainland to Jeju Island to be easy. Kim Yun-Shik(金允植), Lee Yong-Ho(李容鎬), and Jeong Byoung-Jo(鄭 丙朝) were the major figures who led the circle. Their circle passed through three different stages. In the first stage, Lee Yong-Ho was the key figure; and later in the second and third stage, Kim Yun-Shik led the circle. The death of Lee Seung-Oh who were exiled and moved to Jeju with Kim Yun-Shik was the defining event by which the second and the third stages were divided. The circle led by the central figure Lee Yong- Ho was strongly supported by Lee Byoung-Hui, the governor of Jeju at that time. As Lee Byoung Hui was exempted from his post taking a responsibility for the Uprising of Bang Seong-Chil, the leadership of the circle was transferred to Kim Yun-Shik. Kim Yun-Shik renewed a circle with the name of Gulwonajip(橘園雅集) under which exiles from the mainland and Jeju native literature practitioners gathered together. It is a meaningful turn in that it covers the members from the circle led by Lee Yong-Ho. The Kim Yun-Shik leading circle saw the end when exiles turned out to be involved in the Uprising of Lee Jae-Soo and this resulted in dissolutions in the networks of exiles in Jeju.

      • KCI등재

        서재(西齋) 임징하(任徵夏)의 유배체험과 그 형상화

        김새미오 ( Sae Mio Kim ) 영주어문학회 2012 영주어문 Vol.23 No.-

        This is a research analyzing exile literary of Seo-je, Im, Jing-ha(1687∼1730). Im, Jing-ha was a minister in the late Chosun Dynasty and he died from the investigation from the King, Yeong-jo because he was against the law, Tangpyeongchaek, therefore, he was exiled to Sun-an, Pyeongan Province and he translated into Je-ju island. Most his collection works was written in his exile times except early years. The author discuss this paper in chronological order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of his collection of works and analyzed his psychological situation, and .the context of his exile according to his literature works. First, the life and the reason of his exile was dealt and his literature and his exile literature was researched in honest from Sun-an to Jesu Island. Im, Jing-ha was feeling very anxious to head to Sun-an at first under the sentence of the exile. He expressed himself through application or news, which could be psychological sense of kinship coming from a concomitant feature such as banishment or exile. However, Im, Jing-ha`s exile in Sun-an was a relatively comfortable with the people around him and the ministers in the Sun-an area. His exile that was somewhat relaxed became imminent when he was decided to go into exile, in Jeju Island. At this time, Im, Jing-ha behaved courageous actions to overcome anxiety. However, such his appearance was uncontrollable, so it looks like a laughter with deep sadness. These contradictory appearance could be found in his poetry. His work created in Jeju Island is noticed with the relation from Kim, Chun-taek. Im, Jing-ha began to create a poem about Jeju for the response to the work of Kim, Chun-taek, and he respond the work of Kim, Chun-taek throughout his exile in Jeju island. It has a characteristic that connects Kim, Chun-taek`s literature with a sympathy about a exile in Jeju Island. Also Kim, Chun-taek respond to the poems of his father, Kim, Jin-gui, and they are evaluated as a literary performance as a mediator in Jeju Island. The similar form like poems about Jeju Island were created into poems about Tam-la by Hoe-heon, Cho, Gwan-bin or Cho, Jeong-cheol afterward. It is connecting the timeless sympathy of literature while sharing experiences of an exile from exiles in Jeju Island and timeless literary creations and Im, Jng-ha is thought as a mediator to connect them.

      • KCI등재

        만구와(晩求窩) 김진구(金鎭龜)의 제주유배문학 소고

        김새미오 ( Kim Saemio ) 근역한문학회 2016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45 No.-

        본고는 晩求窩 金鎭龜의 삶과 제주유배문학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노론계 인물이었던 만구와는 당쟁이 격렬했던 숙종 대에 남인들을 가혹하게 숙청했다는 죄목으로 제주도 유배형을 받았다. 이 시기 만구와는 제주도로, 동생인 김진규와 김진서는 각각 거제도와 진도로, 그리고 삼촌인 김만중은 남해도로 유배를 떠났다. 만구와의 문집인 『晩求窩府君遺文』은 충남대 도서관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제주도 유배시문인 『島竄日錄』에 집중하여, 시간에 따른 작가 의식의 변화양상을 살펴보고, 이를 정리하였다. 유배형을 받고 표현된 만구와의 첫 감정은 가족·지인들과의 이별과 불안감이었다. 만구와는 가족들에게는 미안함, 지인들에게는 비교적 호기로운 모습도 보이지만, 그 이면에는 지속적인 불안감이 자리하고 있었다. 제주도에 온 후 만구와는 철저히 고립되었고, 내면에 깊은 고독감이 자리한다. 이는 제주로 내려오면서 느꼈던 이별과는 그 층위가 다른 것이었다. 이별이란 적어도 상대가 있는 반면, 고독은 홀로 견뎌야만 하는 감정이기 때문이다. 그의 고독감은 어머니의 생일, 삼촌 김만중의 죽음과 같은 가족간 대소사가 있을 때 그 파장이 더욱 크게 드러났다. 하지만 만구와가 유배지에서 그대로 좌절한 것은 아니었다. 그는 자신의 유배상황을 직시하고, 자신에 대해 비판적으로 자각하였다. 그의 작품에서 보이는 제주선비와의 교유와 교육, 제주 민중에 대한 애정어린 시각 등은 모두 외부 사람들과의 교유에서 비롯하였다. 이렇게 외부와 교유할 수 있었던 바탕에 바로 자신에 대한 자각이 자리한다. 이런 의식의 변화는 형벌로 인해 침체되었던 감정이 자신에 대한 자각을 통해 새로운 자아를 만들어가는 힘이 되었다. This paper looks at the life of Manguwa Kim Jin-Kwi and his literature formed during his exile to Jeju Island. Manguwa, a member of Noron political group, was punished and exiled to Jeju Island. The punishment was made due to his involvement in persecuting the members of Namin political group during the period of King Sukjong when the political debates between Noron and Namin were severely made. During that period, Manguwa was exiled to Jeju Island, his brothers Kim Jin-Kyu and Kim Jin-Seo were to Gwoje-Do and Jin-do respectively; and his uncle Kim Man-Joong to Namhae-Do. The anthology of Manguwa, titled Manguwa Bukunyumun (晩求窩府君遺文), is located at the library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Of the anthology, this paper focuses upon the collection of poetry literature, Dochanillok (島竄日錄) and examines the change in Manguwa`s consciousness flow along the times. The very first emotional response found in Manguwa after the punishment of exile to Jeju Island relates to separation from his family members, friends, and colleagues in the mainland of Chosun. While Manguwa expressed sorry feelings towards family members, he showed a sentiment of self-courage to friends and colleagues. However, it is insecure feeling that runs deep through in his emotions. Manguwa was totally isolated after exiled to Jeju Island and intensive solitude feelings were grounded in his mentality,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separation he felt when coming down to Jeju Island. Separation is made possible at least with the interrelationships with counterparts, whereas solitude is made totally alone without counterparts. His solitude was exacerbated with the events of his mother`s birthday, his uncle`s death and some other small and big things happened to his family members. However, it is far from that Manguwa only fell down to desperation in the land of exile, Jeju Island. He looked his exiled situation in the face and perceived himself with a critical insight. Forming friendships with the intellectuals of Jeju Island, educating them, and considering the ordinary people of Jeju Island with loving minds were all made possible with the interactions of other individuals in Jeju Island. What enables Manguwa to form relationships with people in Jeju Island is his renewed perceptions about himself. The change in his perceptions about himself became an energy to create new self and to overcome the downturn by the punishment of exile to Jeju Island.

      • KCI등재

        金宗直 「乇羅歌」의 전승과 그 의미

        김새미오(Sae-Mio Kim) 제주학회 2024 濟州島硏究 Vol.61 No.-

        본 연구는 김종직의 「탁라가」 14수의 문학적 좌표를 고민하기 위해 작성하였다. 「탁라가」는 김종직이 성환역에서 제주 사람을 만나, 이때 들은 이야기를 승화한 작품이다. 김종직은 이 시에서 제주의 풍속, 물산, 바다 등을 문학적으로 구현하였다. 김종직은 무오사화 때에 부관참시를 당했지만, 이후 복권되어 사림의 높은 추앙을 받았다. 이에 김종직이 지은 「탁라가」 역시 많은 후배 학자들이 지속적으로 언급하였고, 그 문학적 층위도 다양하다. 金尙憲은 안무어사로서의 책무와 왕의 교화를 표현하였고, 李增은 제주에서의 일정을 기록하며 변방 풍속을 채록하는 방향으로 차운하였다. 유배인이었던 金鎭龜는 제주 백성에 대한 따뜻한 시선을 보여주었다. 한편 南九明은 「탁라가」에 차운한 3편의 연작시를 통해 제주의 현실과 이상을 종합적으로 표현하였다. 이들은 「탁라가」를 통해 김종직에 대한 존경의 마음과 함께 자신이 보고 들은 제주를 섬세하게 표현하였다. 통시적 관점에서 볼 때, 「탁라가」는 제주의 풍속, 물산 등을 종합적으로 표현한 첫 번째 작품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후 많은 후배 학자들이 「탁라가」를 차운했다는 점에서 그 문학적 위치는 독보적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work is done in order to identify the literary status of 14 verses of Kim Jongchik’s Taklaga. Taklaga is a literary work drawing upon stories of Kim Jongchik collecting from people of Jeju whom he encountered at Seonghwan station. In this poem, he embodied literally folklore, local products, and sea of Jeju. Kim Jongchik was sacrificed by the event of sawha, but was later reinstated by the honor of sarim. Accordingly, Taklaga was continuously mentioned by many junior scholars. Kim Sangheon expressed his responsibilities as a king’s inspector as well as king’s education projects. While Lee Jeung recorded his schedule in Jeju, he also collected the record of folklores and customs of marginal regions of Jeju. Kang Sukkyu revealed the feeling of a deep farewell by sending Jeju pastor Lee Heeryong; and Kim Chingui showed a warm hearted view towards Jeju people. Meanwhile, Nam Gumyeong comprehensively expressed the reality and ideals of Jeju through three series of poems drawing upon Taklaga. All of these poems delicately expressed their feelings for Jeju based upon what they saw and heard along with their respect for Kim Jongchik. Taklaga can be evaluated as the very first work that presents Jeju's customs and products comprehensively. And it can be said that the literary position of Taklaga is unique in that many juniors have made reference to it in composing their own poems.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COVID-19), 한국과 EU 문화협력의 쟁점

        김새미(Saemee KIM)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2 한국과 국제사회 Vol.6 No.3

        본 글은 EU가 문화교류를 통해 추구하는 함의를 이해함으로써 포스트 코로나(COVID-19) 이후, 한국과 유럽연합(EU)과 효과적인 문화교류와 협력 방향을 찾고자 한다. EU 대외관계에서의 문화는 국제사회에서 우위에 있는 자산이자 소통의 수단, 경제적 효과를 유인하는 매개체로 인식된다. 2021-2027 Creative Europe에 근거하면 EU는 코로나 위기를 회복하고 사회를 재건하기 위해 초국가적 교류 확대와 디지털 문화협력에 역점을 둘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한국이 EU와의 교류를 실리적이고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 다음 이슈를 고려해야 한다. 첫째 예술가와 예술작품의 자유로운 이동성을 위한 제도 개선 문제이다. 최근 국제문화교류는 단순히 작품의 유통을 넘어 예술가 이동, 현지 커뮤니티와의 관계를 통한 지속성을 추진하는 경향을 보인다. 창작·제작·유통·소비와 같은 일련의 작업이 동시적으로 발생하므로 이동성의 제약을 넘어서는 다양한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공동제작이 효율적으로 진행되도록 실질적 지원 확대와 시청각 영역에서 디지털 문화협력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 EU의 제약과 조건이 협력의 장벽이 되기도 하나 코로나 이후 EU의 적극적인 지원정책이 예상되므로 디지털 생태계에서의 협업 프레임워크를 마련해 나가야 한다. 이렇듯, 문화협업을 위한 일련의 환경조성은 유럽과의 연대를 강화하는 효과적인 접근으로 작동할 것이다.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what the European Union (EU) seeks to realize through cultural exchange and suggest how Korea and the EU could effectively engage in cultural exchange and cooperation in the post-coronavirus (COVID-19) era. For the EU, culture is recognized as an asset that sets Europe aside from the rest of international community, a means of communication, and a medium that induces economic effects. The contents of the Creative Europe 2021-2027 program suggests that the EU will focus on expanding transnational exchanges and digital cultural cooperation as ways to recover from the COVID-19 pandemic and rebuild society. Therefore, Korea should consider the following areas for its exchanges with the EU to be practical and effective. First, institutional improvements need to be made to enhance the mobility of artists and works of art. Today, global cultural exchanges are not just about distributing works of art but also aims at building continuity by promoting artist mobility and relationships with local communities. In the sense that the tasks involved in cultural exchange, such as creation,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must occur simultaneously, it is necessary to create a diverse environment that enables peopl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in mobility. Second, it is necessary to respond proactively to digital cultural cooperation in audiovisual cultural exchanges with the EU, while expanding policy-wise support for co-production activities at the same time. Although the EU’s existing conditions place realistic restrictions that act as barriers to cooper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EU will be expanding its policies in the post-COVID era. As such, it is necessary to make preparations in advance by creating a series of environments for digital cultural cooperation, which will help to effectively strengthen solidarity with the EU.

      • KCI등재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Austro-Hungarian Empire)에서 대타협안의 한계와 군악대·군대 문화현상을 통한 정체성 형성의 가능성

        김새미(Saemee Kim) 한국유럽학회 2017 유럽연구 Vol.35 No.4

        본 글에서는 1867년 성립된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의 ‘대타협(Ausgleich)’을 중심으로 제도적 특징과 문화적 공존을 위한 노력들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오스트리아 헝가리제국의 타협안이 갖는 한계와 공통의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는 하나의 가능성을 되짚어 보고자 한다. 헝가리는 오랜 시간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제국에 대해 독립을 추구하였으나 헝가리 자유당의 추진으로 1867년 대타협이 성립되었다. 비록 이와 같은 연합체제가 국제정세에 따른 선택이었고 근대국가의 근대화 과정과 유사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하지만, 대타협은 평화를 추구했던 시도이자 성과였다. 이에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이 수평적 관계 정립을 어떻게 구현하였는지, 서로를 인정하는 정치문화는 무엇이었는지 제도적⋅문화적 측면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은 불안정한 정치구조와 제도적 결함 속에서도 헝가리는 공동사항에 있어 자국의 의견이 표명되도록 노력하였고, 군대음악을 통해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의 정체성을 대중에게 확산시키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국은 여러 불안정성을 내재했고, 국제정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했기 때문에 평화를 존속시키지 못했다. 이와 같은 가능성과 한계는 남북한 통일, 동북아의 연합형태 등 서로 다른 이질적 요소들이 어떻게 공존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타진한다는 측면에서도 의미가 있다. This paper looks into th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nd efforts to cultural coexistence surrounding Austria-Hungary Dual Empire"s ‘Ausgleich’ established in 1867 and attempts to discuss the probability and limitation of this coexistence. Hungary had pursued independence from Austria"s Hapsburg Empire for long; however, the grand compromise of 1867 was reached, largely led by Hungary"s Liberal Party (The Deák Party). Although this allied system is often evaluated as a mere choice based on the then international situation and as part of a modernization process of any modern countries, the compromise was an attempt and a fruit of pursuing peaceful coexistence. Accordingly, this paper takes both institutional and cultural approaches to examine the way Austria Hungary Dual Empire realized horizontal relations to maintain coexistence and any underlying political culture embracing such coexistence. The analysis discovered that Hungary made great efforts to deliver its opinion on common issues despite the unstable political structure and institutional defect of the Empire and also to spread the identity of the Dual Empire to its population through martial music. In spite of all the efforts, the Dual Empire failed to maintain the coexistence due to inherent institutional contradiction and defects that also hampered its active involvement in international situation. Austria"s focus was completely directed towards external relations whereas Hungary adhered to patriotism. This inevitably raised problems in pursuing national policy which damaged the Empire"s adaptability to change. Notwithstanding, the probablity and limitation discussed are meaningful in a way that they lay out how different elements like re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and formation of alliance in Northeast Asia may rise in coexistence.

      • KCI등재

        성호 이익의 논어질서 판본에 대한 일고

        김새미오(Kim Saemio)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3 泰東古典硏究 Vol.30 No.-

        본고는 7종의 논어질서를 중심으로 그 특징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현재 성호 이익의 논어질서는 성호기념관에 2종, 국립중앙도서관에 2종(성호질 서, 칠경질서), 한국국학진흥원에 2종(화경당본, 학사종택본),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1종이 확인된다. 이 중에서 성호기념관 2종이 가장 선본이며, 시대 적으로도 앞선 것을 확인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 칠경질서와 한국국학진흥원 화경당본, 학사종택본은 같은 계열의 논어질서로 판단된다. 이들의 필사 순서를 추정해보면 다음과 같다. (논어질서 수고본)→ (논어질서 초본)→ 성호기념관본2종→ 칠경질서→ 화경당본·학사종택본 국립중앙도서관 성호질서와 서울대학교 규장각본은 그 체제가 다른 것과는 현격하게 달라, 추후의 논의를 필요로 한다. The paper examined characters and meanings of seven volumes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written by Seongho Yi Ik. Seongho Yi Ik’s Analects of Confucius is identified to be held by the following institutions: two volumes at the memorial hall of Seongho Yi Ik; two volumes at National Library of Korea; two volumes at Academy of Korean Studies; and one volum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s Kyujangkak (Royal Library of Chosun Dynasty in a latter period). Of these, the two volumes obtained by the memorial hall of Seongho Yi Ik is identified the very first version in terms of its publication year. Those volumes held by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Academy of Korean Studies are considered as a copy version. It is presumed that the seven volumes of Seongho Yi Ik’s Analects of Confucius was copied in handwriting in the following order of time: Original manuscript Analects of Confucius by Seongho Yi Ik; First draft of interpretation of Analects of Confucius; the two volumes held in the memorial hall of Seongho Yi Ik; one volume (haksajong taekbon) held in Academy of Korean Studies. The volume obtained by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the one by Seoul National University’s Royal Library differ significantly from other volumes in its styles; therefore a further study is necessary to define the difference.

      • 팬데믹 이후 중국 미술시장의 흐름 : 오프라인 경매시장을 중심으로

        김새미(Kim SaeMe) 한국미술경영학회 2022 한국미술경영학회 논문집 Vol.- No.1

        In 2020, when SARS-CoV-2 has spread around the world, China was the only major economy in the world who achieved positive growth by implementing strong measures for infection control, and its artmarket also showed the fastest recovery. The reason for the rapid increase insales can be found in a strong rebound in consumer demand as well as the revision of the VAT for auctioning artworks. In addition, several joint auctions that has held on the basis of cooperative system between auction companies created great synergy. Sales of Contemporary art have increased sharply on the continent due to a large number of new millennial collectors and greater access to art collecting. We should consider this pandemic as an unexpected variable that shifts the way of art dealing, and on this basis, we could forecast the growth in Chinese art market in a long-term historical perspective.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가 전 세계를 강타한 2020년, 중국은 초강력 방역 통제를 실시하며 세계 주요 경제국 중 유일하게 플러스 성장을 달성했고, 미술시장 또한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회복되었다. 2020년 중국의 예술품 경매시장 은 전 세계 경매 거래의 39%를 이끌었고, 오프라인 경매 거래액은 2010년 이래 최고치를 달성했다. 2021년 상반기에도 상승세는 이어졌는데, 이러한 폭발적 성장세는 부동산 및 주식 시장에 대한 불안 심리가 증가함에 따라 미술시장에 대 한 신뢰도가 높아졌음을 드러냈다. 팬데믹 이후 중국 경매시장의 급격한 매출 증가 원인은 전염병 확산이 누그러지면 서 나타난 보복 소비 현상 및 5월부터 시행된 문화재·예술품 경매 부가세 개정에서 찾을 수 있다. 또한 국경 간 이동 이 어려워지고 온·오프라인 경매의 동시 진행이 보편화되자, 경매사 간의 협업 체제가 구축되면서 다양한 연합경매 가 개최되어 상당한 시너지 효과를 창출했다. 다수의 밀레니얼 세대 컬렉터의 유입과 높은 투자 성공률 및 수익률로 인해 대륙에서 컨템포러리아트의 매출이 대륙에서 크게 증가했다. 지난 20년 동안 중국 미술시장에서는 7년의 장기 주기와 3~4년의 단기 주기가 반복적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패턴에 따르면 향후 몇 년 동안은 완만한 하락세가 지속 될 수 있다. 포스트코로나 이후 삶의 방식은 급격히 변화했지만, 미술시장의 발전에서 팬데믹은 전환점으로 삼을 만한 특수한 변수로 작용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