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보건(學校保健) 관계법령(關係法令) 분석(分析)

        김상욱,Kim, Sang Wook 한국학교보건학회 1988 韓國學校保健學會誌 Vol.1 No.1

        One of the first constitutional challenges to congressional legislation in the area of school health came in 1967. The action of Ministry of Education for the school health program is within school health act constituted 20 Articles and its regulation of 14 Articles. This study was reviewed the school health act and its regulation for the development of school health program. The data were collected by 14 Boards of Education from November 1986 to January, 1987.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identified the articles needss to change such as the articles with regard to health education activity, physical assessment activity, criteria of school health environment, control of communicable disease, First-Aid and clinic management by School nurses.

      • KCI등재

        이원성 기반 시계열 서브시퀀스 매칭의 인덱스 검색을 위한 최적의 기법

        김상욱,박대현,이헌길,Kim, Sang-Wook,Park, Dae-Hyun,Lee, Heon-Gil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1 No.5

        본 논문에서는 시계열 데이터베이스에서 서브시퀀스 매칭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방안에 관하여 논의한다. 먼저, 본 논문에서는 서브시퀀스 매칭을 위한 기존 기법의 인덱스 검색에서 발생하는 성능상의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이들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된 기법은 서브시퀀스 매칭의 인덱스 검색 문제를 윈도우-조인이라는 일종의 공간 조인 문제로 새롭게 해석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윈도우-조인의 빠른 처리를 위하여 제안된 기법에서는 서브시퀀스 매칭을 시작할 때 질의 시퀀스를 위한 R*-트리를 주기억장치 내에 구성한다. 또한, 제안된 기법은 데이터 시퀀스들을 위한 디스크 상의 R*-트리와 질의 시퀀스를 위한 주기억장치 상의 R*-트리를 효과적으로 조인할 수 있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포함한다. 이 알고리즘은 데이터 시퀀스들을 위한 R*-트리 페이지들을 인덱스 단계의 착오 채택 없이 단 한번만 디스크로부터 액세스하므로 디스크 액세스 측면에서 최적의 기법임이 증명된다. 또한, 다양한 실험을 통한 성능 평가를 통하여 제안된 기법의 우수성을 정량적으로 규명한다. In this paper, we address efficient processing of subsequence matching in time-series databases. We first point out the performance problems occurring in the index searching of a prior method for subsequence matching. Then, we propose a new method that resolves these problems. Our method starts with viewing the index searching of subsequence matching from a new angle, thereby regarding it as a kind of a spatial-join called a window-join. For speeding up the window-join, our method builds an R*-tree in main memory for f query sequence at starting of sub-sequence matching. Our method also includes a novel algorithm for joining effectively one R*-tree in disk, which is for data sequences, and another R*-tree in main memory, which is for a query sequence. This algorithm accesses each R*-tree page built on data sequences exactly cure without incurring any index-level false alarms. Therefore, in terms of the number of disk accesses, the proposed algorithm proves to be optimal. Also, performance evaluation through extensive experiments shows the superiority of our method quantitatively.

      • B<sup>+</sup> 트리를 위한 벌크 로드

        김상욱,황환규,Kim, Sang-Wook,Whang, Whan-Kyu 강원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1995 産業技術硏究 Vol.15 No.-

        In this paper, we propose a bulk-load algorithm for $B^+-trees$, the most widely used index structures in database systems. The main characteristic of our algorithm is to simultaneously process all the keys to be placed on each $B^+-trees$ page when accessing the page. This avoids the overhead for accessing the same page multiple times, which results from applying the $B^+-trees$ insertion algorithm repeatedly. For performance evaluation, we analyze our algorithm in terms of the number of disk accesses. The results show that the number of disk accesses excluding those in the redistribution process in identical to the number of $B^+-trees$ pages. Considering that the redistribution process is an unavoidable preprocessing step for bulk-loading, our algorithm requires just one disk access per $B^+-trees$ page, and therefore turns out to be optimal. We also present performance tendancy according to the changes of parameter values via simulation.

      • KCI등재

        유천분지(楡川盆地) 북동부(北東部) 백악기(白堊記) 화산암류(火山岩類)의 화산암석학(火山岩石學) 및 지질구조(地質構造)

        김상욱,이영길,Kim, Sang Wook,Lee, Young Gil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1981 자원환경지질 Vol.14 No.1

        The studied area is largely occupied by thick piles of the late Cretaceous volcanic rocks of the Yucheon group, which is northeastern border part of the vast volcanic region in the Yucheon basin. The Yucheon group overlies the Geoncheonri Formation and is intruded by granitic and dioritic stocks and dykes. The group can be devided into two parts; the lower is Jusasan andesitic rocks which was called as Jusasan Porphyrite Formation by Tadeiwa in 1929, and the upper is Unmunsa rhyolitic rocks. The volcanic pile consists mainly of various tuffs such as tuff breccia, lapilli tuff, coarse to fine tuff and tuffaceous sediments, and interlayered flows, which range from basaltic andesite to rhyolite in their lithology. The results of petrochemical and volcanostratigraphic studies on the Jusasan andesitic socks suggest that the volcanic rocks were derived from two cyclic evolutions of magmatic fractionation. Systematic study of 5226 joints from the area reveals two sets of steep joints striking $N20^{\circ}-40^{\circ}E$ and $N40^{\circ}-70^{\circ}W$, are dominant and coincide with the fault pattern developed in the area. Three defferent maximum principal stress axes were recognized from conjugate shear joints, which are trending east-west, north-northwest, and north-northeast.

      • KCI등재

        주기억장치 DBMS를 위한 인덱스 관리자의 설계 및 구현

        김상욱,염상민,김윤호,이승선,최완,Kim, Sang-Wook,Yeom, Sang-Min,Kim, Yun-Ho,Lee, Seung-Sun,Choi, Wan 한국통신학회 2000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25 No.4

        The main memory DBMS(MMDBMS) efficiently supports various database applications that require high performance since it employs main memory rather than disk as a primary storage. In this paper, we discuss theexperiences obtained in developing the index manager of the Tachyon, a next-generation MMDBMS. The indexmanager is an essential sub-component of the DBMS used to speed up the retrieval of objects from a largevolume of a database in response to a certain search condition. Previous research efforts on indexing proposed various index structures. However, they hardly dealt with the practical issues occured in implementating an index manager on a target DBMS. In this paper, we touch these issues and present our experiences in developing the index manager on the Tachyon as solutions. The main issues touched are (1) compact representation of an indexentry, (2) support of variable-length keys, (3) support of multiple-attribute keys, (4) support of duplicated keys,(5) definition of external APls, (6) concurrency control, and (7) backup and recovery. We believe that ourcontribution would help MMDBMS developers highly reduce their trial-and-errors. 주기억장치 DBMS(MMDBMS)는 디스크가 아닌 주기억장치를 주요 저장 매체로서 사용하므로 고속의 처리를 요구하는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응용을 효과적으로 지원한다.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MMDBMS Tachyon의 인덱스 관리자 개발에 관하여 논의한다. 인덱스 관리자는 객체에 대한 빠른 검색 기능을 지원하는 필수적인 DBMS 서브 컴포넌트이다. 기존의 연구 결과로서 다양한 인덱스 구조가 제안된 바 있으나, 실제 DBMS 상에서 인덱스 관리자를 개발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실질적인 이슈들에 대해서는 거의 언급하고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Tachyon의 인덱스 관리자의 개발 중에 경험한 실질적인 구현 이슈들을 언급하고, 이들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다루는 주요 이슈들은 (1) 인덱스 엔트리의 집약적 표헌, (2) 가변 길이 키의 지원, (3) 다중 애트리뷰트 키의 지원, (4) 중복 키의 지원, (5) 외부 API의 정의, (6) 동시성 제어, (7) 백업 및 회복 등이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향후 MMDBMS 개발자들의 시행 착오를 최소화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대화식 UNDO를 지원하는 회복 기법

        김상욱,김장수(Won-Young Kim),김원영,황규영,Kyu-Young Whang,Sang-Wook Kim,Jang-Su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9 정보과학회논문지(B) Vol.26 No.1

        User-interactive undo is a kind of recovery facility that allows users to correct easily mistakes by canceling and reexecuting already executed operations. Supporting user-interactive undo is essential for authoring processes in new database applications such as software engineering, hypermedia, and computer aided design. A partial rollback using savepoints supported by commercial database management systems(DBMSs), which allows only cancellation of already executed operations, is a restricted from of user-interactive undo. Although many applications use DBMSs, they have to provide user-interactive undo by themselves due to lack of support from the DBMSs. Since implementation of the user-interactive undo is Quite complex, it poses significant burden to application programmers. This paper proposes a new recovery method facilitating user-interactive undo in DBMSs. Such a facility relieves the programmers from implementing user-interactive undo themselves in developing DBMS applications. The method guarantees fast rollback of transactions that contain user-interactive undos. It also provides users with the bulk undo operation that restores the database to a predefined point in the past. The bulk undo operation resembles partial rollback, but differs m that it allows redo that cancels bulk undo. Moreover, the performance of the method is comparable to that of the traditional recovery method in spite of added functionalities. 대화식 UNDO는 수행된 연산을 철회시키거나 재실행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오류를 쉽게 교정할 수 있도록 허용하기 위한 일종의 회복 기능이다. 소프트웨어 개발, 하이퍼미디어, CAD 등과 같은 새로운 데이타베이스 응용 분야에서는 편리한 저작 및 편집 과정을 위하여 대화식 UNDO 기능의 지원이 필수적이다. 상용 DBMS들이 제공하는 세이브포인트를 이용한 부분 철회는 수행된 연산의 철회만을 허용하는 것으로 대화식 UNDO의 제한적 기능이다. 기존의 응용 시스템들은 데이타 관리를 위해서는 DBMS를 사용하면서도 이러한 대화식 UNDO 기능은 응용 시스템에서 직접 제공하고 있다. 대화식 UNDO 기능의 구현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응용 프로그래머에게 상당한 개발 오버헤드를 요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응용 시스템 개발을 위하여 공통적으로 필요한 고급 기능을 응용 프로그래머가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대화식 UNDO 기능을 DBMS에서 직접 지원하는 새로운 회복 기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제안된 기법에서는 트랜잭션 철회시 대화식 UNDO에 의해 UNDO된 연산들을 스킵함로써 빠른 철회를 보장하고 여러 연산을 한번에 철회할 수 있는 벌크 UNDO 연산(bulk undo)을 제공한다. 벌크 UNDO 연산은 기록된 시점으로 철회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부분 철회와 유사하지만 벌크 UNDO된 연산들도 다시 재실행될 수 있다는 점에서 부분 철회와 구별된다. 특히, 일반 DBMS에서 회복을 위하여 관리해야 하는 정보를 최대한 활용함으로써 새로운 기능의 추가에도 불구하고 제안된 기법의 성능은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기존의 회복 기법과 비교할만한 좋은 성능을 보인다.

      • KCI등재

        주기억장치 데이타베이스에서 교착 상태의 검출을 위한 락 대기 정보의 효과적인 상호 배제 기법

        김상욱,이승선,최완,Kim, Sang-Wook,Lee, Seung-Sun,Choi, Wan 한국통신학회 1999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24 No.7

        이단계 라킹 규약은 다수의 트랜잭션들의 수행이 병행되는 데이터베이스 환경에서 데이터의 논리적인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는 동시성 제어 기법이다. 이단계 라킹 규약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는 두 개 이상의 트랜잭션들이 락을 잡은 상태를 서로 다른 트랜잭션이 가진 락을 무한정으로 상호 대기하는 교착 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 교착 상태 검출기는 트랜잭션들 간의 락 대기 정보를 기반으로 시스템 내에 교착 상태가 발생하였는가를 주기적으로 검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는 트랜잭션들과 교착 상태 검출기의 수행이 병행되며, 이들은 각각의 수행을 위하여 락 대기 정보를 공통으로 읽고 쓰게 된다. 이와 같이, 락 대기 정보는 공유 정보에 해당되므로 상호 배제 기법을 이용한 락 대기 정보의 물리적 일관성을 보장하는 기법이 요구된다. 특히, 고성능의 주기억장치 데이타베이스에서는 이러한 상호 배제 기법의 성능이 전체 시스템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효율적인 상호 배제 기법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락 대기 정보의 물리적 일관성을 효과적으로 보장하는 새로운 상호 배제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ulcorner는 기법은 상호 배제를 위한 처리 오버헤드를 극소화하고, 전체 시스템의 동시성을 극대화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한다. The two-phase locking protocol(2PL) is the most widely-used concurrency control mechanism for guaranteeing logical consistency of data in a database environment where a number of transactions perform concurrently. The problem inherent in the 2PL protocol is a deadlock, where a set of transactions holding some locks indefinitely wait an additional lock that is already held by other transactions in the set. The deadlock detector is a DBMS sub-component that examines periodically whether a system is in a deadlock state based on lock waiting information of transactions. The deadlock detector and transactions execute concurrently in a DBMS and read and/or write the lock waiting information simultaneously. Since the lock waiting information is a shared one, we need an efficient method guaranteeing its physical consistency by using mutual exclusion. The efficiency of the mutual exclusion method is crucial especially in a main memory DBMS with high performance since it seriously affects the performance of an entire system.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ethod that effectively guarantees physical consistency of lock waiting information. Two primary goals of our method are to minimize the processing overhead and to maximize system concurrency.

      • KCI등재

        Attributes of a 'Good Job': Construct Formation and Validation in South Korea

        김상욱,방하남,Kim, Sang-Wook,Phang, Ha-Nam The Population Association of Korea 2007 한국인구학 Vol.30 No.2

        이 연구는 이른바 '좋은 일자리(good job)'를 측정하기 위한 양질의 지수(index)를 구성해내고 이를 다각도에서 평가하고 검증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좋은 일자리'의 개념이 지니는 학술적, 실용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그 핵심적 구성지표들이 과연 무엇이며 좋은 일자리의 취득(attainment)을 추동하는 원인 및 취득의 결과는 과연 어떤 것인지에 대한 이론적, 경험적 공백이 여전하다. 이러한 공백이 존재하는 이유로는 그간 국내외 학계에서 측정속성이 우수하고 유용성 또한 높은 지수를 구성해보려는 진지한 성찰이 결여되어 있었다는 점 이외에도 일부 그러한 노력의 경우 각종 이론적, 분석적 한계를 피할 수 없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이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이론적으로 취약하고 경험적으로 파편화된 연구결과들이 무성할 뿐, 이론적 정교성 및 실증적 엄정성을 두루 겸비한 양질의 지수는 좀처럼 찾아보기가 어려웠다. 이 연구에서는 사회학, 경제학, 심리학 등에서 좋은 일자리를 규정할 때 사용하는 소수의 핵심적 지표들을 바탕으로 이론적 토대가 굳건한 지수를 구성하고 이 지수의 타당도를 대표성 높은 전국표집 자료를 동원해서 여러 측면에서 동시에 평가해보았다. 국내 여러 사업장의 다양한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공변량구조분석(LISREL) 방식을 통한 실증분석을 시도한 결과 임금, 직업위세, 권위, 고용안정성 등이 핵심적 지표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 지표들을 복합적으로 합성한 지수는 그 구성지표 원인, 결과 등과 관련해서 수렴 판별타당도 및 구성타당도를 구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시사하는 바의 제반 논제들과 관련된 학술적 실천적 함의를 마지막으로 논의하였다. The research reported in this paper suggests an index of a 'good job' and validates it in several different ways. Not much is known yet, it is emphasized, about what the defining characteristics of a good job are and what the causes and major consequences are resulting from the attainment of such job. This is not merely because relatively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construct a usable index, but also because a few studies, if any, were often plagued with several limitations, some theoretical and other analytical. As a consequence, fragmented speculations and research findings tended to flourish in the shortage of an overarching conceptualization and rigorous empirical assessment. In particular, a comprehensive index that encompasses a few critical job characteristics based on some solid theoretical underpinnings was in thirsty want. To relieve this want, the current study tries to formulate such index and validate it. A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of representative national sample survey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data in South Korea indicates that wage, occupational prestige, authority and job security are the defining characteristics of a good job and that the index consisting of these characteristics is generally valid with respect to its constituent attributes, antecedents and a consequence, thereby supporting its discriminant-convergent and construct validities. The findings are interpreted with providing a few substantive implications stemming from them.

      • KCI등재

        주기억장치 DBMS를 위한 고성능 인덱스 관리자의 설계 및 구현

        김상욱,이경태,최완,Kim, Sang-Wook,Lee, Kyung-Tae,Choi, Wan 한국통신학회 2003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28 No.7B

        주기억장치 DBMS(MMDBMS)는 디스크가 아닌 주기억장치를 주요 저장 매체로서 사용하므로 고속의 처리를 요구하는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응용을 효과적으로 지원한다.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MMDBMS Tachyon의 인덱스 관리자 개발에 관하여 논의한다. 최근 하드웨어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하여 주기억장치 액세스 속도와 CPU의 처리 속도의 차는 점점 커지고 있다. 따라서 CPU 내에 있는 캐쉬(cache)의 존재를 충분히 활용하는 자료 구조 및 알고리즘을 고안함으로써 MMDBMS의 성능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Tachyon를 위한 캐쉬-인지 인덱스 관리자의 개발 중에 경험한 실질적인 구현 이슈들을 언급하고, 이들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다루는 주요 이슈들은 (1) 캐쉬(cache)의 효과적인 사용, (2)인덱스 엔트리 및 인덱스 노드의 집약적 표현(compact representation). (3) 가변 길이 키(variable-length key)의 지원, (4) 다중 애트리뷰트 키(multiple-attribute key)의 지원, (5) 중복키(duplicated key)의 지원. (6) 인덱스를 위한 시스템 카탈로그의 정의. (7) 외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정의. (8) 효과적인 동시성 제어 방안. (9) 효율적인 백업 및 회복 방안 등이다. 또한, 다양한 실험을 통한 성능 분석을 통하여 제안된 인덱스 관리자의 우수성을 규명한다. The main memory DBMS(MMDBMS) efficiently supports various database applications that require high performance since it employs main memory rather than disk as a primary storage.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index manager of the Tachyon, a next-generation MMDBMS. Recently, the gap between the CPU processing and main memory access times is becoming much wider due to rapid advance of CPU technology. By devising data structures and algorithms that utilize the behavior of the cache in CPU, we are able to enhance the overall performance of MMDBMSs considerably. In this paper, we address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issues and our solutions for them obtained in developing the cache-conscious index manager of the Tachyon. The main issues touched are (1) consideration of the cache behavior, (2) compact representation of the index entry and the index node, (3) support of variable-length keys, (4) support of multiple-attribute keys, (5) support of duplicated keys, (6) definition of the system catalog for indexes, (7) definition of external APIs, (8) concurrency control, and (9) backup and recovery. We also show the effectiveness of our approach through extensive experi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