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이버 공간의 글로벌 지식질서: 네트워크 이론으로 보는 구조와 동학의 이해

        김상배 세종연구소 2013 국가전략 Vol.19 No.3

        As cyberspace has rapidly emerged as an indispensable variable in world politics, a lot of global players at the various levels are striving to establish rules, norms and orders in the related fields. It is certainly one of the major strategic concerns for South Korea, the so-called “Internet Strong Nation,”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emerging orders and further to participate to the process of building the architecture of cyberspace. The organizing principles of cyberspace as on-line global space in world politics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off-line international space, in which nation-states had been playing the game of “Rich Nation, Strong Army.” Most of all, cyberspace is the space prevailed by the notion of knowledge power, which could be conceptualized as “knowledge order.” Cyberspace is also the space occupied by various actors, in which state and non-state actors are playing a complex game of new power politics. The competition to build global knowledge order in cyberspace could be described as the multi-layered competition between global and international forces at the three levels: knowledge hegemony vs. knowledge sovereignty, global governance vs. international regimes, and transnational public sphere vs. cyber-nationalism. The existing theories in International Relations have failed in providing sophisticated frameworks for the studies of cyberspace in IR. In this context, this paper adopts the Network Theory of World Politics, and explores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global knowledge order in cyberspace. A theoretical quest in this paper is expected to build a platform for future national strategies in this field. 최근 사이버 공간의 글로벌 질서를 모색하려는 시도가 벌어지고 있다. 그야말로 사이버 공간이 본격적인 세계정치의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기 시작했다. ‘인터넷 강국’으로 자부하는 한국의 입장에서도 이러한 글로벌 질서의 성격을 정확히 이해하고 그 형성의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일은 매우 중요한 국가전략적 과제가 되었다. 새로운 세계정치의 공간으로서 사이버 공간은 기존에 국민국가들을 중심으로 부국강병의 게임이 벌어지던 오프라인의 국제정치 공간과는 그 성격이 사뭇 다르다. 무엇보다도 사이버 공간은 지식력을 잣대로 파악되는 지식질서의 공간이다. 또한 사이버 공간은 국가이외에도 다양한 비국가 행위자들이 활동하는 공간이다. 현재 사이버 공간의 글로벌 지식질서 형성과정에서는 지식패권과 지식주권, 글로벌 거버넌스와 국제레짐, 초국적 공론장과 사이버 민족주의 등으로 개념화되는 세력들이 경합하는 복합적인 양상을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노드(node) 기반의 발상에 머물고 있는 기존의 국제정치이론은 사이버 공간의 세계정치적 의미를 파악하는 데 매우 둔감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글은 네트워크 세계정치이론의 시각을 원용하여 사이버 공간에서 창발하고 있는 글로벌 지식질서의 구조와 동학을 탐구함으로써 이에 대응하는 미래 국가전략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논의로 삼고자 하였다.

      • KCI등재

        거시경제적 위험과 개별 주식형펀드의 현금흐름

        김상배 한국재무관리학회 2015 財務管理硏究 Vol.3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acroeconomic risk and fund flow in Korean equity funds. We use 1,003 funds including live and defunct funds, which exist during sample period (January 2001 to May 2013). After dividing our sample funds into three groups (positive, negative and zero relations between macroeconomic risk and individual fund flow) using the false discovery rate approach, we examine and compare the performance between three groups by utilizing the Carhart (1997) four-factor model. Our analysis showed that the percentages of zero, positive and negative relation funds are 57.8%, 37.9% and 4.3%, respectively and that the mean TNA of funds with the positive relation is higher than funds with other relation. This implies that a large portion of Korean equity funds encounter increased fund flow when macroeconomic risk increases. In addition, the out-of-sample tests showed that funds, which have the negative relation between macroeconomic risk and fund flow, perform better than those with the positive relation. This result is driven by that when macroeconomic risk increases, increased fund flow influence the fund performance negatively, as discussed in Chan et al. (2009).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주식형펀드를 대상으로 거시경제적 위험과 개별 펀드의 현금흐름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고, 거시경제적 위험과 펀드 현금흐름과의 관계에 따라 세 가지(양(+), 음(-) 그리고 제로(0)의 관계) 그룹으로 구분하고, 이 세 가지 그룹의 성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표본 기간은 2001년 1월부터 2013년 5월까지이고, 표본기간 동안 24개월 이상 존재한 1,003개의 펀드를 분석대상으로 한다. 분석결과, 거시경제적 위험과 개별 펀드의 현금흐름이 양(+)의 관계를 가지는 펀드의 비율은 37.9%, 음(-)의 관계를 가지는 펀드의 비율은 4.3%로 추정되었으며, 양(+)의 관계를 가지는 펀드들의 평균 순자산총액(TNA)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많은 국내 주식형펀드에서 거시경제적 위험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될 때, 주식형펀드의 펀드 현금흐름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외표본분석을 통해 거시경제적 위험과 펀드 현금흐름이 양(+)의 관계를 가지는 펀드와 음(-)의 관계를 가지는 펀드의 위험조정수익률을 추정해 보았을 때, 음(-)의 관계를 가진 펀드의 위험조정수익률이 양(+)의 관계를 가지는 펀드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규모가 큰 펀드일수록 거시경제적 위험이 증가할 때 펀드 현금흐름이 증가하고, 펀드 현금흐름의 증가는 펀드의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