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대화 요약 생성을 위한 한국어 방송 대본 데이터셋의 구축 및 검증

        김봉수,김지윤,최승호,전현규,전혜진,정혜인,장정훈 한국정보과학회 2024 정보과학회논문지 Vol.51 No.4

        대화 요약은 다중 발화자와 발화문으로 이루어진 멀티턴 형식의 문서에 대해 핵심 내용을 추출하거나 생성하는 태스크이다. 대화 요약 모델은 추천, 대화 시스템 등에 콘텐츠, 서비스 기록에 대한 분석을 제공하는데 유용하다. 본 논문에서는 생성 기반 대화 요약을 위한 데이터셋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국내 방송사의 대용량 콘텐츠로부터 원천 데이터를 수집하고, 주석자가 수작업으로 주석 하였다. 구축된 데이터셋 규모는 6개 카테고리에 대해 약 100,000건이며, 요약문은 단문장, 세문장, 2할문장으로 구분되어 주석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의 특성을 내재화하고 통제할 수 있도록 대화 요약 주석 가이드를 제안한다. 또한 모델 적합성 검증에 사용될 모델 구조의 선정 방식을 제시함으로써, 데이터 특성을 고려한 모델 개선 방향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실험을 통해 구축된 데이터의 여러 특성을 조명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기준 성능을 제시한다. 데이터와 베이스라인 모델은 aihub.or.kr에 배포 되었다. Dialogue summarization involves extracting or generating key contents from multi-turn documents consisting of utterances by multiple speakers. Dialogue summarization models are beneficial in analyzing content and service records for recommendations in conversation systems. However, there are no Korean dialogue summarization datasets necessary for model construction. This paper proposes a dataset for generative-based dialogue summarization. Sourc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large-capacity contents of domestic broadcasters, and annotators manually labeled them. The dataset comprises approximately 100,000 entries across 6 categories, with summary sentences annotated as single sentences, three sentences, or two-and-a-half sentences. Additionally, this paper introduces a dialogue summary labeling guide to internalize and control data characteristics. It also presents a method for selecting a decoding model structure for model suitability verification. Through experiments, we highlight som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ed data and present benchmark performances for future research.

      • KCI우수등재

        공인중개사의 중개행위로 인한 책임판단 - 대법원 2014.7.10. 선고 2012다42154 판결 -

        김봉수 한국민사법학회 2017 民事法學 Vol.80 No.-

        부동산은 경제적 가치와 활용도 측면에서 개인에게 있어서 매우 중요한 재산이며, 일상생활에서 부동산거래는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부동산을 거래하기 위해서는 관련한 법률지식과 다양한 전문지식이 필요하므로, 부동산거래시에 일반인은 단독으로 거래를 하기 보다는 관련 전문가인 공인중개사를 통해서 거래를 하게 된다. 이때 부동산중개의뢰인과 공인중개사 간에 체결되는 부동산중개계약은 공인중개사가 의뢰인으로부터 일정한 대가를 받고 부동산 등의 권리의 취득⋅상실⋅변경을 중개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며, 그 법적 성격은 수정된 형태의 위임계약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부동산중개계약에 대해서는 특별법인 공인중개사법이 우선적으로 적용되고, 다음으로 민법이 적용된다. 다음으로 공인중개사의 책임의 요건이 되는 중개행위는 중개의뢰인의 보호와 중개사고시 손해의 적정한 분담을 위해 공인중개사법에서 규정된 행위보다 넓게 해석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판례가 제시하는 중개행위에 대한 확장적 해석의 기준, 즉 “계약성립 후 거래당사자의 의무실현에 관여”는 그 범위가 지나치게 넓고, 추상적이라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사견으로는 공인중개사의 책임의 전제가 되는 중개행위는 원칙적으로 부동산중개계약의 본지와 공인중개사법상 중개업의 범위에 따라 정해지지만, 그러한 본래적 중개행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고 공인중개사가 주로 자신의 이익을 위해 관여함으로써 그러한 의무를 인수하였다고 볼 수 있는 경우라면 그러한 행위도 중개행위에 포함할 수 있다고 본다. 이러한 기준은 중개행위를 한 공인중개사에게는 엄격한 책임을 물을 수 있는 반면, 중개의뢰인의 이익을 위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호의로 행위한 공인중개사의 책임은 확장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그 타당성을 찾을 수 있다. 그리고 공인중개사는 중개계약에 따라 확인⋅설명의무를 비롯한 여러 의무를 부담하는데, 이때 그의 주의의무위반은 통상 공인중개사가 갖추어야 하는 전문지식과 능력을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 아울러 공인중개사의 주의의무위반의 판단은 중개행위와 관련한 제반사정을 고려하여 판단할 수밖에 없지만, 이러한 판단에 있어서는 공인중개사의 전문성과 중개수수료의 수준, 거래정보의 취득가능성, 거래의 위험성 등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특히 공인중개사의 책임판단에 있어서는 중개의뢰인의 보호라는 관점과 더불어 실제 부동산중개의 현실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Real estate transactions are frequently occurred in our daily lives because real estate is an important asset class that has economic value and high utilization. To buy and sell real estates, we need our expertise and knowledge specialized in real estate law and real estate transactions. Thus, people usually buy or sell their real estate through a real estate agent or realtor. In the process of real estate transaction, a real estate listing contract is signed by realtor and client. The client will compensate for the realter's real estate mediation services (i.e. the acquisition, loss, and change of a property right) rendered in as set forth in the real estate listing contract (Article 2 (1)⋅(3) Licensed Real Estate Agents Act). The real estate listing contract is a legally mandate contract in civil law. The Licensed Real Estate Agents Act takes priority over the Korean Civil Law for a real estate listing contract. Real estate listing activities include various mediation acts of real estate transaction accepted by social norms as well as mediation activities mandated in the rendered in the Licensed Real Estate Agents Act. As a personal opinion only in this study, the real estate listing activities are not only closely related to the key terms of the agreement defined and signed by realtor and client, but they also include various mediation acts of realtors for their interests. Real estate agents or realtors can be liable to the opposing party in a real estate transaction depending on their mediation of real estate transaction. The detailed explanation on real estate specified in the real estate listing contract is the most important duty of realtors. The breach of duty of explanation on real estate specified in the real estate listing contract must be judged by the standards expected of a reasonable party, taking account of the expertise and knowledge specialized in real estate law and real estate transactions, that real estate agents or realtors must have. The specialty of real estate agent, agent charge, accessability of information on real estate transaction, and risks of the real estate transaction also need to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judgement of breach of duty of explanation on real estate specified in the real estate listing contract. Compared with realtors in other countries, Korean realtors lack expertise of mediation of real estate transaction and get a lower agent charge. Real estate transaction management system of Korea has also a lot of flaw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present condition of the mediation of real estate transaction in Korea as well as to protect clients, when we discuss real estate agent liability for breach of duty.

      • 압류되거나 양도된 차임채권도 임대차보증금에서 공제되는지에 관한 연구

        김봉수 한국재산법학회 2009 한국재산법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09 No.3

        Deposit is the money to make lessor's claim secure. In almost all lease cases, lessee gives deposit to lessor. But Civil Law has no article on deposit of lease. So many theories are developed on How to secure the performance of lessee's duty by deposit money. The main stream of the theories explains that lessee's right on epayment of deposit is subject to condition precedent that there is no delay of lessee's performance. So if there is any delay of paying rent, lessee's right on repayment doesn't take effect within same amount of money. And the theory also explains like next three sentences. "Though lessor's claim for rent is seized by creditor of lessor or it is transferred too ther people, the nature of the claim is not changed. And if lessee delays paying money to the creditor who seized the claim or took claim by transfer, the condition precedent doesn't be fulfilled. So lessee's right to repay the deposit doesn't take effect." But I don't agree that theory. Because the main purpose to give and take deposit money is making it easier to settle up between lessor and lessee. On deposit money there is no intention that they settle up with any other people. I think only the claim that lessor has can be deducted from deposit money. So if the creditor of lessor got only issuance of a collection order on claim for rent, and lessee doesn't pay it to the creditor, lessor can deduct the same amount of money with the rent from deposit. But if the creditor of lessor got issuance of an assignment of order or if lessor transfer the claim for rent to others, lessor can't deduct it from deposit.

      • KCI등재

        화합하는사회를 위한 학교 연계 뮤지엄교육 프로그램 연구

        김봉수 한국박물관학회 2010 博物館學報 Vol.- No.18·19

        다문화교육은 사회 구성원 주체에 따라 서로 다름을 인정하고 서로 다른 문화를 존중해주고, 서로를 받아들일 수 있는, ‘문화 간 소통’ 으로 나아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 대상이 이주 민과 사회 성원 모두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 . 더불어 다문화 사회에 맞는 평등과 조화, 다양성과 관용이 존중되는 사회 의식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교육을 위한 학교교육의 노력, 그 중에서도 박물관연계교육을 통해 어떻 게 나아가야 하는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초등교육은 통합교육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교육활동에서도 교과통합을 지향하고 있다. 이에 학교에서의 박물관 미술관 연계 교육에서 교육활동 모형을 창의적 교육활동으로 구안하였다 .7 차 교육과정에서의 창의적 교육 활동을 적용하여 교과 통합적 주제 중심 통합 수업 모형으로 접근하였다. 2장에서는 창의적 교육활동 박물관교육 프로그램 구성 내용을 살펴보았다. 프로그램은 6단계 로 편성하였다. 전시관련 교육과정 분석, 주제관련 학습 내용 교과별 분석 및 운영지도 계획, 창 의적 교육활동지도안편성, 활동지, 교수학습 카드, 체험활동 및 평가로 구성하였다. 3장에서는 대호초등학교에서의 박물관 체험학습 내용을 분석하였다 . 학년별 창의적 교육활동 주제 분석을 통해 사전학습, 박물관학습, 사후학습의 단계에서 주제와 관련 교과 및 영역에 대 해 살펴보았다. 창의적 교육활동 적용 교과 분석 결과로 1.2학년의 경우 사전학습은 바른생활 교과, 박물관학 습은 바른생활과 즐거운생활 교과 사후학습은 즐거운생활 교과의 빈도수가 높게 나왔다. 3 .4학년의 경우 사전학습은 도덕, 사회, 재량활동, 박물관학습은 사회, 미술교과, 사후학습은 미술교과의 빈도수가 높게 나왔다. 5, 6학년의 경우 사전학습은 도덕, 사회교과, 박물관학습은 사회, 미술교과, 사후학습은 미술 교과의 빈도수가 높게 나왔다 본 연구를 통해 통합교육을 지향하는 박물관 미술관연계 교육의 지평을 넓힐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앞으로 학교 현장과 박물관 미술관에서 보다 많은 연구와 실천을 통해 박물관 미술 관교육에 다양한 방법이 제시될 수 있기를 바란다. 교육 방법론 뿐만 아니라 교육 철학으로의 고민들도 함께 이루어지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 SCOPUSSCIEKCI등재
      • KCI등재

        소년범에 대한 교정보호정책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김봉수,강동욱 한국교정학회 2012 矯正硏究 Vol.- No.57

        Juvenile delinquent can be defined as not only a punishable crime but also a deviant social behavior out of the principle which the adolescents are expected to do, even though it is not applicable to essential conditions for a crime. Unfortunately, Juvenile delinquent are showing volcanizing and age-lowing more and more, we dare say it as seriously problems in its degree. Moreover, Juvenile delinquent for legislative improvements that are still weak and there are many problems despite of several rounds of revision improvement. Juvenile delinquent within the meaning of the sociology are acts that encompasses both minor delinquency and status offenses. Criminal penalties as well as an act that is expected to include deviant behavior outside the norm. In general, juvenile delinquent compared to adult offender appears to be a big effect in the treatment within the society. This study examined how a partnership between juvenile delinquent prison, correction and probation can reduce recidivism, improving way of thinking of dividing institutional prison, corrections and probation Many people take interests in new juvenile delinquent prison, correction and probation system. because for the future, when these prison, correction and probation system of young offender operates successfully, we can forest that they will reduce crimes of Juvenile delinquency. 청소년의 비행과 일탈은 세대를 거듭하며 변화하고 다양해지고 있기에 소년범에 대한 입법적 개선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최근에는 소년범의 범죄가 학교폭력 뿐만 아니라 성인범 못지않게 잔인화, 흉포화, 집단화, 지능화됨에 따라 보호관찰, 수강명령, 사회봉사, 선도조건부 기소유예의 문제점, 교정 보호와 지역사회 교정에 대한 관심 부족, 소년범들에 대한 관리 취약, 재범율 증가에 대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소년범은 범죄소년 뿐만 아니라 소년들이 일탈된 행동을 포함한다. 불행하게 소년범은 점점 더 증가하고 있고, 범죄율은 심각한 정도로 높아졌다. 2007년 소년법의 개정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소년법은 많은 개정을 준비중이다.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소년범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중이며, 교도소, 교정기관과 보호제도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앞으로 소년범들의 범죄율을 줄이기 위해서는 소년교도소, 교정기관, 보호제도가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상호 보완, 정보를 공유할 때 이상적인 교정보호기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년범들의 재범율을 낮추고, 원활한 사회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소년범의 교정보호정책의 현황과 문제점을 알아보고, 교정보호정책이 연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