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시적 수업과 비지시적 수업이 학습부진아의 수학과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봉세(Kim Bong Sae),정동영(Chung Dong Yu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지시적 수업과 비지시적 수업이 학습부진아의 기초 수학 능력 및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지시적․비지시적 수업 중 어느 방법이 학습부진아의 기초 수학 능력에 효과 적인가? 둘째, 지시적․비지시적 수업 중 어느 방법이 학습부진아의 학습태도에 효 과적인가? 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C도에 소재한 초등학교 2개교 4 학년 전체학생에서 국가 수준 교과학습 진단평가의 수학 교과 평가결과 교과학습부 진으로 판별된 36명의 학생을 18명씩 지시적 수업 그룹과 비지시적 수업 그룹으로 배정하였고, 실험 처치를 위한 학습과제는 3학년 수학 과정으로 한국 교육 과정 평 가원의 기초 수학 문제와 교사용 지도서 및 교과서의 기초 수학 지도 요소를 추출하 여 본 연구자가 지도 교수 및 교과 전문가의 조언을 받아 24차시분의 기초 수학 지 도 요소를 제작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 처치 전 후 기초 수학 능력 및 학습태도에 대한 공변량 분석(ANCOVA)을 통해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 과는 <연구문제 1>에서 지시적 수업과 비지시적 수업은 학습부진아의 기초 수학 능 력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연구문제 2>에서 지시적 수업과 비지시적 수업은 학습부진아의 학습태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비추어 지 시적 수업과 비지시적 수업은 학습부진아에게 있어 기초 수학 능력과 학습태도에 그 효과가 차이가 있으며, 지시적 수업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direct and indirect instructions on slow learner s basic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attitude.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ive, the following research tasks were posed : First, which is more effective on slow learner s basic learning ability between direct and indirect instructions? Second, which is more effective on slow learner s learning attitude between direct and indirect instruction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th grade students of two elementary schools in C province. To identify the slow leaners in basic mathematics, they were tested by National Basic Learning Diagnosis Test of basic mathematics. Among them, 36 students were selected and they were assigned into two groups, 18 students respectively : direct instruction group and indirect instruction group. Learning tasks for the experimental treatment were Mathematics Curriculum from 3rd grade , which was made the basic mathematics teaching elements of 24 periods by the researcher with the help of a thesis director and the subject expert on the basis of the basic mathematics teaching elements of Korea Institute Curriculum & Evaluation and teacher s guidebooks and the basic mathematics teaching elements of the textbook. The verification of the above research tasks was done by the differences of the basic mathematics ability and attitude using ANCOVA before and after experimental treat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In the first research task,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asic mathematics ability of slow leaners between direct and indirect instructions and in the second research task,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learning attitude of slow learners between direct and indirect instruction. Based on the above findings,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asic mathematics ability and learning attitude of slow learners between direct and indirect instructions, and direct instruction was more effective than indirect instruction.

      • KCI등재

        진로교육활동 활용 수학 교과학습이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미치는 영향

        이은숙(Lee, Eun-Suk),김봉세(Kim, Bong-S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2

        본 연구는 진로교육활동 활용 수학 교과학습이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진로교육활동 활용 수학 교과학습이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C도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5, 6학년 지적장애학생 30명으로 선정하였다. 그 중 15명의 지적장애학생은 연구자가 구안한 진로교육활동 활용 수학 교과학습을 주 2회 씩 총 16회기에 걸쳐 적용하였다. 다른 지적장애학생 15명은 동일한 기간에 독립적인 진로교육활동을 적용하고, 자기결정검사를 실시하여 사전과 사후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며, 공변량 분석(ANCOVA)을 통하여 효과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진로교육활동 활용 수학 교과학습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독립적인 진로교육활동을 실시한 통제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임으로써 진로교육활동 활용 수학 교과학습이 지적장애학생의 자기옹호, 목표설정, 문제해결 영역에서 자기결정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진로교육활동 활용 수학 교과학습은 수학적 문제 상황에서 학생들이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을 높이는데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thematical Subject Learning Using Career Education Activity on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research problem to achieve the objective was set up as follows : what are the effects of Mathematical Subject Learning Using Career Education Activity on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Researcher selected the fifth and sixth graders of 30 students with intellectually disabilities who attend special classes of the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Chungcheongbuk-do as subjects of the research. Among the students, first researcher chose 15 students with intellectually disabilities and applied Mathematical Subject Learning Using Career Education Activity made by the researcher twice a week, over 16 sets in total, and conducted independent career education program to the other 15 students with intellectually disabilities during the same period. Also, the researcher calculated a pre and post average scores and standard deviation of each test through self-determination test, and verified the difference of effects through analysis of ANCOVA. The result of the study was that by indicating the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conducted Mathematical Subject Learning Using Career Education Activity and the control group which was conducted independent career education activity, Mathematical Subject Learning Using Career Education Activity was effective in benefitting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erms of self-efficacy, goal sett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y. Since Mathematical Subject Learning Using Career Education Activity helps students in the mathematical problem situation to critically understand themselves and explore various careers deeply, it has proved to be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improving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수학 교과학습에 삽입한 진로교육활동이 지적장애학생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은숙(Lee, Eun-Suk),김봉세(Kim, Bong-S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0

        본 연구는 수학 교과학습에 삽입한 진로교육활동이 지적장애학생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수학 교과학습에 삽입한 진로교육활동이 지적장애학생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라는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C도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5, 6학년 지적장애학생 30명으로 선정하였다. 그 중 15명의 지적장애학생은 연구자가 구안한 수학 교과에 삽입한 진로교육활동을 주 2회 씩 총 16회기에 걸쳐 적용 하였다. 다른 지적장애학생 15명은 동일한 기간에 독립적인 진로교육활동을 적용하고, 진로인식을 실시하여 사전과 사후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며, 공변량 분석(ANCOVA)을 통하여 효과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수학 교과학습에 삽입한 진로교육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독립적인 진로교육활동을 실시한 통제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임으로써 수학교과학습에 삽입한 진로교육활동이 지적장애학생의 자기이해와 진로태도 영역에서 진로인식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수학 교과학습에 삽입한 진로교육활동은 수학적 문제 상황에서 학생들이 자신을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여러 가지 직업세계를 깊이 있게 탐구 할 수 있도록 하여 지적장애학생의 진로인식을 높이는데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activity imbedded to mathematical subject learning on career awareness of students with ntellectual disabilities. The research problem to achieve the objective was set up as follows : what are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activity embedded to mathematical subject learning on career awarenes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Researcher selected the fifth and sixth graders of 30 students with intellectually disabilities who attend special classes of the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Chungcheongbuk-do as subjects of the research. Among the students, first rsearcher chose 15 students with intellectually disabilities and applied career education activity imbedded to mathematical subject learning made by the researcher twice a week, over 16 sets in total, and conducted independent career education program to the other 15 students with intellectually disabilities during the same period. Also, the researcher calculated a pre and post average scores and standard deviation of each test through career awareness test, and verified the difference of effects through analysis of ANCOVA. The result of the study was that by indicating the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conducted career education activity imbedded to mathematical subject learning and the control group which was conducted independent career education activity, career education activity imbedded to mathematical subject learning was effective in benefitting career awarenes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erms of self understanding and career attitude. Since the career education activity imbedded in mathematical subject learning helps students in the mathematical problem situation to critically understand themselves and explore various careers deeply, the career education activity has proved to be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improving career awarenes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역사적 사건 기반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고등학교 지적장애학생의 역사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이동화(Lee Dong-hwa),정동영(Chung Dong-young),김봉세(Kim Bong-sae)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0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역사적 사건 기반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고등학교 지적장애학생의 역사관련 교과교육에서 역사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역사적 사건 기반 디지털 스토리텔링 역사교육이 고등학교 지적장애 학생의 전제 역사적 사고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둘째, 역사적 사고력 하위영역별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무엇인가?’ 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 중 의도적으로 총 30명의 학생을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각각 15명으로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총 20차시에 걸쳐 연구자가 구안한 역사적 사건 기반 디지털 스토리텔링 수업방법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전통적인 강의식교수방법을 실시하였다. 역사적 사고력 검사는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여 평균점수를 산출하고 공변량분석(ANCOVA)을 이용하여 효과 차이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역사적 사건 기반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전통적 강의식 수업을 실시한 통제집단에 비해 역사적 사고력 사후점사 점수가 사전검사 점수보다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를 통해 역사적 사건 기반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지적장애 학생의 역사적 사고력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역사적 사건 기반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고등학교 지적장애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력을 향상시키는데 보다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s of historical event-based digital storytelling on historical thinking ability of the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 research question selected to achieve this goal is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ffect of history education based on historical event-based digital storytelling on improvement of general historical thinking ability of the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history education based on historical event-based digital storytelling on improvement of historical thinking ability for subareas of the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30 students in special classes of high schools were deliberately selected as study subjects, who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of 15 students and control group of 15 students, respectively. The teaching method of historical event-based digital storytelling devised by the researcher was implemented on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based on lectures was implemented on the control group a total of 20 times. Historical thinking ability test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s to calculate the average score, and the difference in effects was verified through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on whom historical event-based digital storytelling was implemented showed a higher post-test score than pre-test score in historical thinking abilit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on whom traditional lectures class was implemented. The study showed that the method of historical event-based digital storytelling has a meaningful effect on improvement of historical thinking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historical event-based digital storytelling is more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improve historical thinking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