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별자유여행객의 소비가치가 체험관광의 만족과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보경(Kim, Bo-Kyeong),양재호(Yang, Jaeho) 한국경영교육학회 2021 경영교육연구 Vol.36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인바운드 관광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국내 체험관광상품개발과 마케팅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국내 체험관광에 대한 개별자유여행객이 지각하는 소비가치가 체험관광상품의 만족과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해 국내체험관광 경험이 있는 관광객 294명을 대상으로 소비가치, 만족, 방문의도를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2020년 8월 1일부터 2020년 10월 30일 까지 진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모형에서 제시한 개별자유여행객의 소비가치 중 상황적 가치를 제외한 나머지 4개의 가치가 관광객의 체험관광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체험관광에 대한 만족은 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체험관광활동에 있어서 개별자유여행객의 관광상품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지각된 소비가치의 중요성을 이해하는데 이론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지역관광을 바탕으로 하는 관광상품 개발을 위한 마케팅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e goal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r marketing strategies for domestic experienced tourism products to stimulate the inbound tourism industry.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d how free independent travelers’ perceived consumption values toward domestic experienced tourism products affected the satisfaction with the products and intention to visit. [Methodology] The sample of 294 tourists who had used a domestic experienced tourism product responded to the survey designed to assess consumption values, satisfaction, and visit inten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st to October 30th 2020, and were analys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Findings] Results showed the significant influences of four type of consumption values(functional, social, emotional, and exploratory consumption values) among free independent travelers on their satisfaction with the experienced tourism product. In addition, this study revealed that satisfaction with the experienced tourism product increased intention to visit. [Implications] This study contributed to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t role of perceived consumption values among free independent travelers in evaluating a tourism product incorporating activities designed to experience local culture and indigenous manufacturing. Implications for marketing strategies to develop a tourism product based on regional tourism activities.

      • KCI등재

        NAND 플래시 메모리를 위한 로그 기반의 B-트리

        김보경,주영도,이동호,Kim, Bo-Kyeong,Joo, Young-Do,Lee, Dong-Ho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5 No.6

        최근 NAND 플래시 메모리는 하드 디스크에 비해 작고, 속도가 빠르며, 저 전력 소모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차세대 저장 매체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쓰기-전-소거 구조, 비대칭 연산 속도 및 단위와 같은 독특한 특징으로 인하여, 디스크 기반의 시스템이나 응용을 NAND 플래시 메모리 상에 직접 구현시 심각한 성능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특히 NAND 플래시 메모리 상에 B-트리를 구현할 경우, 레코드의 잦은 삽입, 삭제 및 재구성에 의한 많은 양의 중첩 쓰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급격한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성능 저하를 피하기 위해 ${\mu}$-트리가 제안되었으나, 잦은 노드 분할 및 트리 높이의 빠른 신장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갱신 연산을 위해 특정 단말 노드에 해당하는 로그 노드를 할당하고, 해당 로그 노드에 있는 변경된 데이터를 한 번의 쓰기 연산으로 저장하는 로그 기반의 B-트리(LSB-트리)를 제안한다. LSB-트리는 부모 노드의 변경을 늦추어 추가적인 쓰기 연산의 횟수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키 값에 따라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삽입할 때, 로그 노드를 새로운 단말 노드로 교환함으로써 추가적인 쓰기 연산의 횟수를 줄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비교 실험을 통하여 ${\mu}$-트리와 비교함으로써 LSB-트리의 우수성을 보인다. Recently, NAND flash memory is becoming into the spotlight as a next-generation storage device because of its small size, fast speed, low power consumption, and etc. compared to the hard disk. However, due to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such as erase-before-write architecture, asymmetric operation speed and unit, disk-based systems and applications may result in severe performance degradation when directly implementing them on NAND flash memory. Especially when a B-tree is implemented on NAND flash memory, intensive overwrite operations may be caused by record inserting, deleting, and reorganizing. These may result in severe performance degradation. Although ${\mu}$-tree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it suffers from frequent node split and rapid increment of its height. In this paper, we propose Log-Structured B-Tree(LSB-Tree) where the corresponding log node to a leaf node is allocated for update operation and then the modified data in the log node is stored at only one write operation. LSB-tree reduces additional write operations by deferring the change of parent nodes. Also, it reduces the write operation by switching a log node to a new leaf node when inserting the data sequentially by the key order. Finally, we show that LSB-tree yields a better performance on NAND flash memory by comparing it to ${\mu}$-tree through various experiments.

      • KCI등재

        재래종(在來種) 율무(의이인(薏苡仁))의 형태적(形態的) 특성(特性)에 의한 분류(分類)

        김보경,최봉호,Kim, Bo Kyeong,Choe, Bong Ho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1986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ol.13 No.1

        우리나라에서 재배(栽培)하고 있는 율무의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하고, 우량계통선발(優良系統選拔)에 대(對)한 기초자료(基礎資料) 얻기 위(爲)하여 강원도(江原道)와 제주도(濟州道)를 제외(除外)한 전국(全國) 각지(各地)에서 수집(蒐集)한 재래종(在來種) 율무 148 계통(系統)에 대(對)하여 주성분(主成分) 분석(分析)을 하여 재래종(在來種) 율무를 해석(解析)하고 계통분류(系統分類)를 행(行)하였던 바, 이에 대(對)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특성(特性)의 변이(變異)에서 엽폭(葉幅)과 정곡(精穀) 100립종(粒重)을 제외(除外)하고는 계통(系統)들간의 변이(變異)가 상당(相當)히 심(甚)했다. 2. 모든 형질간(形質間)의 상관(相關)은 비교적 낮았으며 상관계수(相關係數)의 분절(分折)에서 다소(多少) 정(正)의 방향(方向)으로 치우친 정규분포(正規分布)의 양상(樣相)을 보였다. 3. 형질간(形質間)의 상관(相關)에 의해서 율무 계통(系統)을 분류(分類)한 결과(結果) 4 계통군(系統群)으로 분류(分類)할 수 있었는데 제일군(第一群)은 립(粒)과 초형(草型)에 관(關)한 특성군(特性群), 제이군(第二群)은 조만성(早晩性), 제삼군(第三群)은 분엽수(分葉數), 제사군(第四群)은 발아(發芽)에 대(對)한 특성군(特性群)으로 분류(分類)할 수 있었다. 4. 13개(個) 형질(形質)에 대(對)한 주성분(主成分) 분석(分析)의 결과(結果) 제사주성분(第四主成分)까지를 가지고 전체변동율(全體變動率)의 약(約) 60%를 설명(說明)할 수 있었고, 제십주성분(第十主成分)까지를 취(取)하면 전체변동율(全體變動率) 89%를 설명(說明)할 수 있었다. 5. 주성분(主成分)에 대(對)한 형질(形質)의 기여도(寄與度)는 차이(差異)가 심(甚)했고, 상위주성분(上位主成分)에서 높았으며 하위주성분(下位主成分)에서 낮았다. 6. 상관계수(相關係數)가 높은 형질간(形質間)에는 그 형질(形質)에 대응(對應)하는 고유(固有) vector의 값이 크기가 비슷하다. 7. 주성분(主成分) 분석(分析)을 이용(利用)한 계통분류(系統分類)의 결과(結果) 4계통군(系統群)으로 분류(分類)할 수 있었는데 4계통군(系統群)의 특성(特性)은 상관계수(相關係數)에 의한 분류(分類)의 특성군(特性群)과 같은 형질(形質)에 의해 결정(決定)되었다. 8. 계통간(系統間) 거리(距離)에 의해 148 계통(系統)을 4 계통군(系統群)으로 분류(分類)할 수 있었는데 계통군(系統群) I에는 79계통(系統)이 속(屬)하였고, 계통군(系統群)II에는 40계통(系統), 계통군(系統群) III에는 22계통(系統), 계통군(系統群)IV에는 7계통(系統)이 각각(各各) 속(屬)하였다. 9. 계통군(系統群)I은 중간(中稈), 소립(小粒), 중생(中生), 단엽계통(短葉系統)들이었고, 계통군(系統群)II는 단간(短稈), 소립(小粒), 조생(早生), 단엽계통(短葉系統)들이었고, 계통군(系統群)III은 장간(長稈), 대립(大粒), 만생(晩生), 장엽계통(長葉系統)들이었고, 계통군(系統群)IV는 단간(短稈), 대립(大粒), 중생(中生), 단엽계통(短葉系統)들이었다. To obtain basic information needed for developing better pearl barley varieties, a total of 148 lines of pearl barley were collected from nationwide survey except for Kangwon and Chejoo provinces and classifi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Variabilities of characters for all lines except for leaf width and 100 K. Wt.(Unpolished) were high enough to indicate variation of lines. 2.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18 characters were high enough and they showed the shape of normal distribution, more or less, inclined toward positive values. 3. The lines could b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y correlation coefficient for 18 characters : Group I was characterized as the lines composed of grain and plant type, Group II maturity, Group III the number of tillers, and Group IV the nature of germination, respectively. 4. About 60% of the total variation could be appreciated by the first four principal components and about 89% of the total variation by the first ten principal components. 5. Contribution of characters to principal components was variable and was high at upper principal components and low at lower principal components. 6. The value of eigen vector corresponding to those which had high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characters was almost of the same value. 7. The line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8. The lines were also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y taxonomic distance. Group I included 79 lines, Group II 40 lines, Group III 22 lines, and Group IV 7 lines, respectively. 9. Four groups classified by taxonomic distance could be characterized as follow : Group I : medium height plant, small kernels, medium maturity, and narrow and short leaf, Group II : short height plant, small kernels, early maturity, and narrow and short leaf. Group III : tall height plant, large kernels, late maturity, and broad and long leaf. Group IV : short height plant, large kernels, medium maturity, and narrow and short leaf.

      • KCI등재

        일반논문 : 초기사림파 문인의 이미지 형성 과정- 한 인간의 복원과 조선전기 지성사에 대한 반성적 이해를 위하여 mage Creation

        김보경 ( Bo Kyeong Kim ) 한국고전연구학회 2014 한국고전연구 Vol.0 No.29

        迂拙齋(우졸재) 朴漢柱(박한주)(1459-1504)는 金宗直(금종직)의 門人(문인)으로, 조선전기 지성의 한 면목을 엿보게 해 줄 뿐만 아니라 初期士林派(초기사림파) 문인의 이미지 형성 과정을 흥미롭게 보여 준다. 박한주 생애자료 중에서 가장 이른 시기의 것은 그의 외손 周博(주박)이 찬한 行狀(행장)이다. 이 글에서는 아직 특정 이데올로그로 규격화하지 않은 느슨한 박한주를 볼 수 있다. 현양사업의 추이와 관련해서 살펴보면, 먼저 임란 직전 鄭逑(정구)가 함안의 묘소를 정비하고 제사를 지내면서 그는 충신의 표상으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이후 충신의 표상 위에 도학자의 표상이 더해지는데 후자가 강화되는 방향으로 전개된다. 난후에는 밀양의 향촌질서를 재정비하는 작업과 연동되어 현양사업이 진행되었다. 그 과정에서 박한주는 김종직과 연결되어 도학적 관점에서 재평가되었다. 17세기 중반을 전후해서는 박한주 현양이 禮林書院(례림서원)·閭表碑(여표비)등 사회적 표식의 형태로 추진되는 가운데 김종직 도학의 嫡傳化(적전화)가 시도되었다. 18세기 현양사업의 특징은 박한주의 족손 朴壽春(박수춘)과 결합되어 전개된 것이다. 그중 南岡書院(남강서원) 請額疏(청액소)는 국가적 공인을 받기 위한 노력으로, 道統(도통)의 관점에서 박한주의 위상을 재정의하였다. 도학자 박한주를 만드는 데는 현양사업의 주체들 즉 密陽(밀양) 士林의 의지, 밀양 박씨 문중의 노력, 그리고 退溪-寒岡 연원 학파의 협조가 공동으로 작용했다. 유의할 것은 도학자를 만드는 과정에서 김종직이나 金宏弼(금굉필)·鄭汝昌(정여창)과 과도하게 결합, 명명되면서 오히려 박한주의 실체가 왜소하게 제약되었다는 점이다. 박한주가 남긴 작품을 돌아보면 ‘유교국가의 비전과 도덕의 사회적 실현을 위한 분투’라는 주제의식을 문학적 역량을 다해 형상화하고 있는 ‘글 잘 쓰는 사람’ 박한주를 만나게 된다. 經術(경술)과 文才 어느 한쪽으로는 그의 온전한 얼굴을 복원할 수 없다. 性理(성리) 학문을 익히는 박한주, 道(도)·佛書(불서)도 버리지 않은 박한주, 『楚辭(초사)』 읽기를 좋아하고 글을 잘 썼던 박한주. 이것을 아우른 모습이야말로 당대 생생하게 살아있던 실존으로서의 박한주였으리라. 우리가 기록/기억하고 있는 그들은 도학, 도통, 문묘, 서원의 이름으로 기획된 얼굴이 아닌지, 또 지금 우리는 다시 그들을 ‘초기사림파’라는 이름으로 분칠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반성할 일이다. 특히 박한주의 경우 김종직과 김굉필·정여창에게 강하게 결박된 채 기록/기억되어 왔으므로 이중으로 왜소화(또는 왜곡)되었을 가능성이 많다. 박한주 연구에서 이 점이 각별히 유의되어야 할 것이다. Ohjojjae Park Han-joo(迂拙齋 朴漢柱, 1459-1504) was Kim Jong-jik(金宗直)``s clan member, and he amusingly shows the image creation process of the initial stage Salimpa, a Confucian School. Among the lifetime materials of Park Han-joo, the earliest period material was Haengjang(行狀) compiled by his daughter``s son, Ju Bak(周博). In Haengjang, loose Park Han-joo, who was yet to be standardized with specific ideology, can be viewed. Examining in relation with the trend of his exaltation, Park Han-joo emerged as the symbol of loyal subject, as Jung Goo(鄭逑) reorganized the grave of Park Han-joo in Haman(咸安) and performed ancestral rites, just befor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2. Since then, the symbol as a moralist was added on top of the symbol as a loyal subject, and the symbol as a moralist was more fortified. After the Japanese invasion, the exaltation of Park Han-joo was conducted in linkage with the reorganization of country order in Milyang(密陽). In such a process, Park Han-joo was re-evaluated from an ethical perspective in connection with Kim Jong-jik. The exaltation of Park Ha-joo in about the middle of the 17th century was promoted as the type of social marking including Yerim Seowon(禮林書院) and Yeopyobi(閭表碑). In those days, an attempt to make Park Han-joo as Kim Jong-jik ethics`` orthodox disciple was carried out. The exaltation of Park Han-joo in the 18th century was undertaken in combination with Park Su-choon(朴壽春), a sort of his grandchild. Especially, Sa-Aek-So, a pubic appeal of Namgang Seowon(南岡書院請額疏) was an effort to receive national official approval, which re-enhanced the status of Park Han-joo from the moral perspective. Concerning the main players of exaltation of Park Han-joo, a moralist, expecially, the intention of Milyang Salim(密陽士林), efforts of Milyang Park Family and the cooperation of Yeonwon School of Toegye(退溪)-Hangang(寒岡) were jointly operated. Bottom line is that the true nature of Park Han-joo was restricted and underestimated, as he was named in excessive combination with Kim Jong-jik, Kim Goeng-pil(金宏弼) and Jeong Yeo-chang(鄭汝昌) in the process of making him a moralist. Looking at the works Park Han-joo left, readers can meet him as a good writer that embodies the thematic consciousness of "Struggle for the Realization of Confucian Nation``s Vision and Social Morality" through his full literary competency. His true nature cannot be fully restored with only one side between studies researching Confucian Classics and literary talent. Park Han-joo learned Neo-Confucianism(性理), did not throw away Taoism and Buddhism books, loved to read the Chu Ci(楚辭) and was a good writer. All these images could be the vividly living existence of Park Han-joo. We need to reflect on ourselves about whether what we remember or record are the faces planned in the names of ethics, Confucian shrine and Seowon (lecture hall) or whether we decorate the images of Park Han-joo in the name of initial stage Salimpa again. Since Park Han-joo was recorded and has been remembered being bound by Kim Jong-jik, Kim Goeng-pil and Jeong Yeo-chang more than anyone else, there is a huge possibility that he was underestimated or distorted in duplicate way. Attention should be especially paid to this in studying Park Han-joo.

      • KCI등재
      • KCI등재

        우암(寓菴) 홍언충(洪彦忠)의 시에 나타난 거제도(巨濟島)의 표상과 유배체험의 형상화 양상

        김보경 ( Bo Kyeong Kim ) 한국고전연구학회 2012 한국고전연구 Vol.0 No.26

        寓菴洪彦忠(1473∼1508)은 甲子士禍에 연루되어 巨濟島에서 약 2년 동안 유배생활을 했다. 이때 그가 지은 시는 60제 안팎(총 110여 수)으로 전체 작품의 1/4에 해당한다. 본고는 이들 시에 나타난 거제도의 표상과 유배체험의 형상화 양상을 다음 세 가지로 나누어 고찰했다. 첫째는 감옥으로서의 섬―囚人의 형상과 단절의 심상들이다. 갑자사화는 부친 洪貴達 이 도화선이 된 사건이다. 이 사건으로 부친은 처형되고 홍언 충 형제들은 모두 유배되었다. 그의 시에 감옥으로서의 유배지, 囚人형상이 상대적인 강조점을 가지고 나타나는 것은, 絶島에 억류되어 있는 객관적 현실, 심리적 폐소감과 함께 가문의 몰락이라는 절박한 상황을 반영한다. 한편 감옥으로서의 표상, 수인 형상은 단절의 심상들을 동반하는데, 분노나 원망보다는 울울감과 자탄의 정조를 띠는 경우가 많다. 둘째는 문화공간으로서의 섬―詩·友를 통한 위무와 자기 계발이다. 그의 시는 대부분 次韻詩·寄贈詩 같은 관계 지향성의 시가 많다. 이것은 주변에 비슷한 처지의 동료 유배 객들이 있었던 덕분이다. 특히 李荇 등이 거제도로 옮겨온 뒤에 거제도는 문화공간으로서의 표상을 본격화한다. 거제도는 유배 객은 물론이고 외부 지식인의 방문, 거제도 지식인의 참여 등 文化交涉의 공간으로서도 구실했다. 이 속에서 그는 유배의 괴로움을 위로 받고 문학적으로 교감하면서 자기 계발의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셋째는 길로서의 섬―성찰과 順命 그리고 진실의 발견이다. 거제도에서의 생활은 자신과 세상을 진지하게 성찰하면서 진실을 찾아가는 과정이기도 했다. 그는 유배의 일상에서 나는 누구인가, 나는 어떻게 살 것인가 하는 성찰의 주제를 찾아내곤 했다. 그리고 자신이 맞닥뜨린 상황에 대해 거부·외면이 아닌 順容을 통 해안으로 누그러뜨리는 방향으로 갔다. 부친의 호 ‘虛白’처럼 주어진 상황을 하늘의 뜻으로 받아들이고, 바깥을 경영하기보다 내 ‘빈 방[虛室]’의 진실을 발견하는 일이 그의 궁극적 선택이었다. 홍언 충은 해 배 후 세상에 나가지 않았다. 병약함만이 이유가 아니었다. 거제도에서의 유배체험을 어떻게 수용하고 생의 어떠한 자료로 삼았는가, 이것이 이후 삶의 행로를 내었다. 그에게 거제도/유배생활/시 짓기는 곧 ‘빈 방의 진실을 찾아 가는 길’이었으며, 이것은 해 배 후의 삶으로 분명한 결론이 지어졌다고 생각된다. Involved in the Gabja Annihilation, WooAhm Hong Eun Chung(1473-1508) was exiled to Geojedo for two years during which he created around 60je(題)(approximately 110pieces) that composed one quarter of his entire oeuvre. This study analyzes the representation of Geojedo and Hong Eun Chung`s experience of exile in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 is land as a prison-the figure of prisoner and sense of separation. During the Gabja Annihilation, his father Hong Gui Dal was executed and his brothers were exiled to Geojedo. What the distinctive in Hong`s poems are the reality of detainment in an isolated island, claustrophobic sense and the demise of family. The representation of prison and the figure of prisoner are accompanied with the sense of separation, in which depression and lamentation is more dominant than anger or frustration. Second, is land as a space of culture-the consolation and self-development through poetry and friends. Most of Hong`s works were involved with relationship as he was surrounded by many colleagues who had the same fate in Geojedo. Geojedo, particularly after a group of literati including Lee Haeng, became a locus of cultureand cultural exchange as the exiled, intellectual in and outside of Geojedo frequently visited and participated in the intellectual activities in the island. Consoled under this circumstance, Hong could communicate and developed himself in literature. Third, i s land as a passage-contemplation, acceptance of his fate and discovery of truth. During the time he spent in Geojedo, Hong contemplate on the world and himself to find the truth. He found the topics as to who he was and how he should live the rest of life in the everyday life of exile and as a result he accepted the given situation and turned more introspective. As his father`s pseudonym, Huh Baek(虛 白), describes, he accepted what was given to him and chose to find the truth of "huh shil(虛 室)" rather than manage public affairs. Hong secluded himself after returning from the exile not just because of the illness. The way he accepted his exiled life in Geojedo determined the rest of his life. His exiled life, Geojedo and poetry led to "find the way to the truth of huhshil," and determined the life after the exile.

      • KCI등재

        심재 조긍섭의 시 인식 고찰

        김보경(Kim Bo kyeong) 대동한문학회 2015 大東漢文學 Vol.42 No.-

        본고는 근대 전환기 深齋 曺兢燮(1873~1933)의 시 인식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이 시기 한시사를 새로운 각도에서 조망함을 목적으로 한다. 심재는 『詩經』과 杜甫를 시의 전범으로 재천명했다. 그는 『시경』을 인륜을 담은 노래로 받아들였고, 두보 시에 대해서는 도덕 교육적 가치를 부각하여 『시경』시와 같은 지위를 부여했다. 또 이런 관점에 입각해 중국과 우리나라 역대 시를 평가하기도 했다. 그의 도덕주의적 발언은 상당히 완고하고 강화된 형태를 띠고 있다. 그러나 이는 전통의 무비판적 답습이 아니라, 위기의 현실에 대한 절박한 인식에 기초한 자각적 노력이었다. 예술 정신의 발휘에 대한 관심은 도덕주의적 관점과 대조되어 흥미를 일으킨다. 그는 文은 반드시 質을 따라서 나온다는 文必隨質論을 펼쳤다. 또 理ㆍ文의 분리에 문제를 제기하고, 문은 추구해야 할 마땅한 가치가 있는 것이라는 인식을 명확히 했다. 『시경』과 두보 시를 언어 예술의 관점에서 감상하고, 시의 음악성, 시적 재능과 意境, 문학의 매력 등 시의 언어 예술로서의 측면에 관한 논의를 여럿 남긴 것은 이런 인식 위에서 가능했다. 도덕주의적 발언과 예술 정신의 발휘가 교통되는 현장이 바로 당대 시 비평이다. 그는 滄江 金澤榮의 神韻에 대해서는 호의적이었으나 다른 시인들의 性靈論에 대해서는 비판적 입장을 취했다. 그렇다고 신운 자체를 전적으로 긍정한 것은 아니었다. 그는 志가 확립된 뒤에 신운을 붙여야 하고, 平淡 속에서 신운을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창강의 風神變化를 찬상하면서도 기이함이나 기교에 빠질까 걱정하며 '華를 거두고 實로 돌아갈 것'을 권했다. 심재는 전통의 자각적 계승자이면서 새롭고 기이한 경향에 대한 조정자로서 자신의 시대에 필요한 자신의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한쪽으로 치우치기 일쑤인 시단에 道ㆍ文의 조화로운 통합을 과제로 제시하고, 특히 당대 대표적인 시인들과의 관계 속에서 동의ㆍ용인ㆍ견제ㆍ비판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근대 전환기 한시사를 풍부하고 균형 있게 구성하는 데 기여한 인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aimed to view the history of Sino-Korean Poetry from a new angle by reviewing the perception of the poetry by Simjae(深齋) Cho Geung-seop(曺兢燮, 1873~1933) in the transition period to modern era. Simjae reaffirmed the Sigyeong(詩經) and Dubo(杜甫) as a model for this poetry. He took the Sigyeong as a song for humanity and granted the same status as the Sigyeong to the poetry by Dubo by adding the ethical and educational value on the poetry. He also evaluated the poetry of all times in China and Korea from such aspects. His ethical remarks are in a considerably stubborn and consolidated form. However, this is not an uncritical following of the tradition but a conscious effort based on a desperate awareness of the reality faced with him. His concern for showing the artistic spirit draws interests in contrast to the moral perspective. He claimed the Munpilsujillon(文必隨質論) that mun(文) sh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its jil(質). He also raised questions about the separation between ri(理) and mun(文) and made clear the perception that literature deserves its value. It was possible to appreciate the Sigyeong and poetry by Dubo from a linguistic and artistic perspective, and have some discussions over the linguistic and artistic aspects of the poetry including musicality of the poetry, poetical talent, uigyeong(意境) and charms of literature based on such perceptions. It is reviewing the poetry of the time when ethical remarks and artistic spirits are communicated. He was favorable to the sinun(神韻) of Changgang(滄江) Kim Taek-yeong(金澤榮) but took a critical attitude on seongnyeongnon(性靈論) of other poets. That didn't necessarily mean that he was completely positive on the sinun itself. He argued to put the sinun after establishing the ji(志) and pursue the sinun in pyeongdam(平淡). This shows that he regarded the integrated pursuing of do(道) and mun(文) as ideal in the poetry and prose. Simjae suggested a harmonious integration between do(道) and mun(文) in the poetical circle that is likely to be biased, and particularly made contributions to make the history of Sino-Korean Poetry more abundant and tense in the transition period to modern era by playing the role of agreement, approval, check and criticism within the relationship with the representative poets of the times. In this regard, it is possible to say that he played his role very diligently appropriate for his times as a subjective successor of the tradition and an arbitrator of the new and bizarre tendency.

      • KCI등재

        「遊金剛錄」에 나타난 再思堂 李黿의 산수 인식과 그 정신사적 의미

        김보경(Kim, Bo-kyeong)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0 동양한문학연구 Vol.31 No.-

        본고는 再思堂李黿(?∼1504)의 遊金剛錄에 나타난 산수 인식을 고찰하여 조선초기의 정신사적 풍토를 섬세하게 읽어 보려는 의도에서 출발한다. 이원은 佔畢齋金宗直에게 직접 수업한 제자는 아니었다. 그러나 점필재 또 그 제자들과 관련을 맺으면서 조선초기의 정신사적 풍토를 일구는 데 기여한 인물이었다. 그는 성종 24년(1493) 점필재의 시호를 ‘文忠’으로 의정한 일로 파직되었고, 이 일이 빌미가 되어 뒤에 사화의 희생자가 되었다. 유금강록 은 그가 파직되었을 때 금강산을 유람하고 쓴 기행문이다. 서두에서 이원은 금강산을 仙·佛의 공간, 遊賞의 공간으로 파악했다. 그는 실제로 금강산을 유람하면서 산수의 흥취에 젖고 신선의 풍류를 만끽했다. 삽입시의 상당수도 이런 경향성을 드러낸다. 그러나 그는 금강산의 신비에 함몰되지 않고, 계속 현실세계와의 긴장을 유지했다. 이 긴장의 힘은 투철한 儒者의식에 근거한다. 그는 특히 불교에 대해 완강한 입장을 견지했다. 불교의 유적과 설화에 대해서는 선택 집중적으로 비판하거나 의도적으로 관심을 배제하는 방법을 이용했다. 그의 시선은 늘 현실, 인간의 문제로 겨누어져 있었다. 이것은 자연 묘사에도 관여되어 자연에서 사회미를 발굴해 내는 특이점을 보여주었다. 더 나아가 그는 강화된 성리학적 산수․사물 인식을 드러내었다. 사물을 관찰하여 그에 내재된 이치를 찾고, 산수를 도덕적 구현물로 보아 인식론과 도덕론을 통합시켰다. 그리하여 금강산은 인간과 유교의 영토가 되고, 최종적으로는 이치 탐구와 진리 체득의 공간이 되었다. 산수·사물 인식은 동시대 문인들과 겹치는 부분도 있고, 더 나아간 부분도 있다. 겹치는 부분에서는 이 시대를 함께 호흡했던 ‘공동의 지성’을 확인할 수 있다. 점필재의 제자라는 자의식을 갖지는 않았지만, 점필재의 젊은제자들이 형성하고 있던 정신적 자장에 그도 걸쳐 있었다. 크게 보면 그를 점필재의 정신적 제자라고 해도 틀리지는 않겠다. 더 나아간 부분에 주목하면 ‘산수와 사물에 대한 재인식’이라는 평가를 내릴 수 있다. 이치와 진리에 대한 심화된 생각을 보여준 점이 그렇다. 그러나 도학자적 태도로 경화되어 있지는 않다. 시대가 그런 이유도 있고, 삽입시들이 경화를 누그러뜨린 면도 있다. 성리학적 산수·사물 인식의 측면에서 보면 적어도 16세기를 열어준 공을 그에게 돌릴 수 있다. This thesis intends to comprehend the natural characteristics of the intellectual history in the early period of Chosun(朝鮮) Dynasty through study of the perspective taken for mountains and water(山水) in YooGumGangRok(遊金剛錄) written by JaeSaDang(再思堂) LeeWon(李黿)(?∼1504). LeeWon(李黿) was not directly taught by Jeompiljae(佔畢齋) KimJongJik(金宗直). Nevertheless, as he got related to Jeompiljae(佔畢齋) and his students, he became one of the important figures who contributed to establishing the foundation of the natural characteristic of intellectual history through relationship with him and his followers in the early Chosun Dynasty. He was dismissed from his official position in the 24th year of King Seongjong's reign (1493) for assigning a posthumous name for Jeompiljae(佔畢齋) as MunChoong(文忠), which later gave a reason for him to be victimized in Sahwa. His work, YooGumGangRok(遊金剛錄), is a journal he wrote as he traveled Mt. Kumgang after his dismissal. In the introduction of the text, LeeWon(李黿) understood Mt. Kumgang as a place for both Sun·Bul(仙·佛) and YooSang(遊賞). He was in fact absorbed into the pleasure of the nature and enjoyed the feeling of Toaist hermit as he traveled Mt. Kumgang. This perspective was consistently shown in most of poems included. However, he did not sink into the mysteriousness of Mt. Kumgang but continuously maintained the tension with the real world. The power of this tension rooted in thorough commitment as a Confucian scholar. Especially he had a very strong standpoint for Buddhism. In dealing with Buddhist remains and tales, he either focused on criticizing certain specific pieces or intentionally ignored them. His main views were always focused on the real world and the problems of human beings. This view was also reflected in his description of nature and created the uniqueness of bringing the social beauty from nature. Furthermore, he revealed a more enhanced Neo-Confucianist perspective towards the nature and objects. He integrated epistemology and ethics by observing objects and finding their inherent logic and by regarding nature as ethical realization. As a result, Mt. Kumgang became the land of human and Confucianism, and ultimately the place of exploring the reason and experiencing the truth. His perspectives for natrue and objects to some extent overlap with that of the contemporary literary writers but to a certain extent he went further beyond it. To the extent his perspectives overlap, the “common intellect” that had its breath during that time, can be verified. Although LeeWon(李黿) did not identify himself as a student of Jeompiljae(佔畢齋), he was partly affiliated to the psychological magnetic field formed by the young students of Jeompiljae(佔畢齋). In light of this, it would not be wrong to consider him as a psychological student of Jeompiljae(佔畢齋), from a large perspective. To focus on his advanced perspectives on nature and objects, it can be evaluated as a “New understanding of nature and objects”, in that it showed a more deepened thoughts of reason and truth. At the same time, his perspectives are not stiffened by his moralist attitude, partly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at period and also because the poems included in the text softened the stiffening. On this basis, at least from the view of Neo-Confucianist understanding of nature and objects, he can be credited for opening the 16th century.

      • KCI등재

        조선전기 초기사림파 문인의 굴원·초사 수용 연구 -세계와의 대결과 고독의 형상화를 중심으로-

        김보경 ( Kim Bo-kyeong ) 한국한문학회 2018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9

        본고는 조선전기 初期士林派 문인들의 屈原·楚辭 수용 양상과 그 의미를 탐색하기 위한 시도이다. 金宗直(1431~1492)은 굴·초의 일반적인 수용 방식을 보인다. 다만 세계에 대해 유화적인 태도를 취하고 자신의 출처나 처세를 해명해야 하는 상황에서 굴·초를 활용하고 있음이 유의된다. 그의 제자들은 더욱 강퍅해진 정치현실에서 세계와 치열하게 대결하면서 굴·초 수용에서도 여러 가지 대응 방식과 양상을 드러냈다. 金馹孫(1464~1498)은 응제시 「四十八詠」에서 굴원, 난초의 ‘淸’에 주목했다. 「秋懷賦」, 「疾風知勁草賦」에서는 「離騷」의 戀主之情, 美政의 이상, 우국충정을 계승하면서, 한편으로는 비애와 고독의 정조, 遊子의식을 특화해냈다. 조락의 시간, 폐쇄된 공간, 불통의 언어, 단절된 이상은 자아의 고독을 증폭시켰다. 그는 유배를 경험하지는 않았으나 일종의 심리적 유배자로서 내향적 고독에 침잠했다. 鄭希良(1469~1502?)은 혹독한 유배생활을 하면서 수많은 시를 써냈고 누구보다 자주 굴·초를 소환했다. 특히 「이소」 읽기가 생활 속에 스며들고 굴원과 틈 없는 동일화를 이루어낸 것은 그의 특장점이다. 그는 세계의 주변을 서성이면서 감정을 폭렬하거나 狂으로 이를 해소하려고 시도했다. 이 광은 도피나 초월이 아닌, 주체적, 독립적 자아의 정신, 현실비판의 정신으로 儒家세계에 걸쳐 있다. 두 사람은 세계와 대결의식을 가지고 굴·초 수용을 통해 中正을 벗어난 대응을 보여준 점에서 공통된다. 李?(?~1504)은 다른 길을 제시했다. 그는 원망이나 분노 없이 樂天知命을 노래하면서 節中을 자신의 궁극적 귀결점으로 삼았다. 온건한 심성수양의 방향을 택한 것이다. 초기사림파 문인들은 전복된 세계와 대결하면서 소외, 좌절, 몰락 같은 고난을 경험했다. 이것은 정치적 고립뿐만 아니라 심중한 정신적 고독을 형성했다. 이 고독은 국가의 善, 정치이상을 추구하다 초래된 것이라는 점에서 개인의 감정 차원을 넘어선다. 대체로 말하면 이 시기에는 온건한 내면화 방향보다는, 굴·초 수용을 통해 세계와의 대결의식과 고독을 中正을 넘어서는 수준까지 표출 또는 형상화하는 경향이 우세했다. 이 점에서 이를 15세기 후반 정신사의 한 특질로 파악해도 좋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the early Sarimpa literati in the early Joseon period accepted Qu Yuan and the Chuci and what its acceptance means. Kim Jong-jik(金宗直, 1431-1492) seems to have shown an attitude of generally accepting Qu Yuan and the Chuci. However, he seems to have taken an appeasing attitude toward the world and to have utilized Qu Yuan and the Chuci in situations where he had to clarify his provenance and way of living. In a tough confrontation with the world in a hardened political reality, his disciples showed various responses and aspects in accepting Qu Yuan and the Chuci. Kim Il-son(金馹孫, 1464-1498) paid attention to ‘Purity’ of Qu Yuan and orchids in the poem < Sasibpalyeong(四十八詠) >. In < Chuhoebu(秋懷賦) > and < Jilpungjigyeongchobu(疾風知勁草賦) >, he inherited the love of King, the ideal of good politics, and patriotism connoted in the poem < Li Sao(離 騷) >, and highlighted the emotions of sorrow and loneliness and vagabondism. The time of leaf-falling, the closed space, the uncommunicative language and the disconnected ideal amplified the loneliness of his own self. Although he did not experience exile, he immersed himself in deep inner loneliness as a kind of psychological exile. Jeong Hee-ryang(鄭希良, 1469-1502?) wrote a lot of poems while suffering a harsh exile, and cited Qu Yuan and the Chuci more frequently than anyone else. In particular, it is his merit that reading < Li Sao > penetrated into his life, which led to his achieving almost complete identification with Qu Yuan. While standing around the world. he tried to express his feeling or dissolve it through craziness. This craziness is not escape or transcendence but the spirit of subjective and independent self and the spirit of reality criticism, and it spreads to a Confucian world. These two are common in that they showed a response out of fairness through the acceptance of Qu Yuan and the Chuci with a sense of confrontation with the world. Lee Won(李?, ?-1504) presented a different way than that. He sung a song for the realization of and conformity to God's will, without sorrow or anger, and took the direction of cultivating a well-balanced mind. The early Sarimpa literati experienced sufferings such as alienation, frustration and downfall in confrontation with the overthrown world. This formed not only political isolation but also deep loneliness. This loneliness goes beyond individual emotions in that it was generated during the search of the good of the nation and the ideal of politics. Generally speaking, at that time, there was a tendency to expose or shape a sense of confrontation with the world and loneliness through acceptance of Qu Yuan and the Chuci to a level beyond fairness rather than the direction of moderate internalization. In this sense, it can be viewed as a characteristic of the history of spirits in the late 15th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