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운영 현황 분석 연구

        김병찬(Byeong-chanKim) 한국교육행정학회 2015 敎育行政學硏究 Vol.33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의 운영 현황을 분석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 해 우리나라에서 규모가 큰 20개 교육대학원의 선정하여 해당 대학들의 교육행정전공 운영 현황을 체제분석모형을 바탕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투입 측면에서 우리나라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은 학생 입학 자원이 다양하지 못하 며, 교수 자원이 영세하고, 입학생 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특징이 나타났다. 둘째, 과정 측 면에서는 우리나라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들이 교육목표가 불명확하고, 교육과정이 이론중 심적이며, 석사학위 과정에 충실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산출 측면에서는 우리나라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들이 지식과 안목을 길러주는 데에는 기여하고 있으나, 실무능력 향 상에는 기여하지 못하며, 배출되는 학위논문 수가 급격하게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환류 측면에서는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에서 배출되는 학위논문의 질 평가 기제가 없으며, 환류기제가 거의 작동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환경 측면에서는 부정적인 환경이 더 많으며, 대체로 거시적인 환경의 영향을 받고, 특히 제도적 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의 발전을 위해서는 학교 및 교육 현장에서의 교육행정 수요 발굴, 교육행정 교육체제 간의 연계, 국가 차원의 교원현직교육 방 향 정립, 실행연구중심의 교육행정전공 운영 등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characteristics on the condition of operation on major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or that purpose, I analysed system on 20 institutions of major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1) In the regard of input, there are not diverse students, there is lacking in the number of teachers, and the students are decreased on major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2) In the regard of process, educational objectives are uncertain, curruculm is theoretical directivity, the master's course is weak on major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3) In the regard of output, the knowledge and insight of students are developed, but the executive ability are not developed, the number of dissertation is decreased on major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4) In the regard of feedback, there are not the quality control system, the feedback system is not operated on major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5) In the regard of environment, negative environments are more than positive environments, there are influenced by macro environments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s on major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 suggest that we need to find the site demand for educational administration, we need to make the connection system among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educational administration, we need national direction establishment for in-service teacher education, finally we have to focus on the action research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 KCI등재

        한국 교육행정에서 ‘양가성(ambivalence)’ 현상의 탐색과 의미

        김병찬(Byeong-chanKim) 한국교육행정학회 2017 敎育行政學硏究 Vol.35 No.1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교육개혁 정책 수행 과정에서 나타난 하나의 현상으로서 양가성 현상을 드러내고, 양가성 현상의 의미와 교육행정학적 의의에 대해 논한다. 양가성은 교육 정 책 수행 과정에서 가치의 대립, 혹은 상반되는 상황에서 구성원들이 가치의 충돌을 일으키지 않고 선택을 강요당하지 않으며 대립되는 가치를 병행하여 함께 추구하는 현상이다. 한국 교육행정에서 양가성 현상을 탐색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혁신학교 운영 과정 및 자유학기제 운영 과정에서 나타나는 양가성 현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혁신학교 및 자유 학기제 운영 과정에서 공통적으로 교사, 학생, 학부모 및 학교 차원에서 양가성 현상이 나타 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본 연구 결과, 양가성 개념 및 이론은 한국 교육행정에서 교육 정책 수용 양상, 교육정책 수행 과정에서의 반작용, 교육정책 수행 과정에서 완충장치, 교육 정책 구현의 지체 요인 등을 설명해 주는 이론으로서 의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the meaning of ambivalence phenomenon in educational policies in Korea and to discuss significance of this phenomenon. The ambivalence phenomenon is for stakeholder to pursuit together conflicting values when they are in the situation of conflicting values carrying out the educational policies. I analyzed the ambivalence phenomenon of 'Innovation school' and 'Free semester program' in Kore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 reveled the ambivalence phenomenon of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in 'Innovation school' and the ambivalence phenomenon of teachers, students, parents and school in 'Free semester program' in Korea. I discussed the significance of this ambivalence phenomenon as followings: Based on the theory of this ambivalence phenomenon, I can explain the aspect of acceptance for stakeholder in educational policies, reaction in educational policies, buffer in educational policies, and factors of delay in educational policies.

      • KCI등재

        ‘교육행정학연구’ 게재 논문의 연구 동향 특징 분석: 연구주제 및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김병찬(Byeong-chanKim),유경훈(Ryu Kyung-Hoo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7 敎育行政學硏究 Vol.35 No.4

        본 연구는 한국교육행정학회 창립 50주년을 맞이하여, 한국교육행정학회의 대표적인 학술 지이면서 한국 교육행정학 연구의 보고인 ‘교육행정학연구’에 게재된 논문들의 경향과 특징을 분석하여 한국 교육행정연구의 흐름을 되돌아봄과 동시에, 향후의 학문적 발전과제 및 실제 적 의의를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에 따라 ‘교육행정학연구’에 게재된 논문 1433편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연구주제,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시기별로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연구주제 측면에서의 분석결과로는, 첫째, ‘교육행정학연구’에 게재된 논문들의 연구 주제가 점차 다양화되어가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발표된 연구주제의 비중은 시대적 흐 름이나 현장에서의 관심에 상당히 민감하게 대응하며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 째, 시대가 지나면서 교육행정 이론을 다룬 연구들의 비중이 오히려 상당히 감소했다는 특징 이 나타났다. 다음으로 연구방법 측면에서의 분석결과로 첫째, 시대에 따라 특정 연구방법으 로의 편중현상이 나타났다. 둘째, 연구방법의 편중현상이 나타나기는 하지만, 꾸준히 연구방 법의 다원화 경향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교육행정학연구’는 지난 30여 년간 이러한 교육행정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와 관련 논의를 지속적으로 이끌어오면서 한국 교육행정학의 이론적 기틀과 실천적 기반을 마련 해 주었다는데 적지 않은 의의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와 함께 ‘교육행정학 연구’의 보다 큰 발전과 약진을 위한 과제들도 남아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look back the flow of researches on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also to research the academic tasks for the future development and the actual significance, by analyzing the trend of thes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refore, it analyzed 1433 thes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for about 33 years focusing on research theme & method by categorizing them. In the results of analysis in the aspect of research theme, first, the research theme of thes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has been gradually diversified. Second, the percentage of the published research themes has been changing by quite sensitively responding to time flow or field interest. Third, the percentage of researches on theorie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has been considerably decreased as time passed. In the results of analysis in the aspect of research method, first, there was the unequal distribution of specific research methods depending on time. Second, in spite of the unequal distribution of research methods, there was a continuous tendency to diversify research methods. In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s to establish the theoretical/practical basis of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However, there are certainly tasks for greater development and rapid progress of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 KCI등재
      • KCI등재

        학교혁신'에 참여하게 된 교사들의 갈등 경험에 관한 연구

        윤정(Yun, Jong),김병찬(Byeong-chanKim) 한국교육행정학회 2016 敎育行政學硏究 Vol.34 No.2

        이 연구는 ‘학교혁신’에 참여하게 된 교사들이 겪는 갈등이 어떤 갈등을 경험하며, 원인은 무엇이고, 교사들은 그 갈등을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 그리고 갈등의 특징과 의미는 무엇인 지를 밝히기 위한 질적 사례 연구이다. 이를 위해서 연구자는 2014년 3월부터 11월까지 9개 월간, 경기도의 한 지역 세 개의 교사모임에 참여하면서 기록한 필드노트, 참여관찰일지, 교 사 연수 자료와 관련 문서, 면담 전사록 등을 분석하였다. 교사들은 ‘학교혁신’에 참여하게 되 면서 ‘혁신이 도대체 뭐야?’, ‘학교혁신은 누가 하는 거지?’, ‘무엇을 위한 학교혁신?’, ‘피곤한 회의, 소통은 부족’, ‘서류상으로만 하면 되나?’, ‘학교만큼 내 가정도 중요한데’, ‘새로운 수업 보다 안전이 우선’이라는 갈등을 경험했다. 이러한 갈등의 특징은 첫째, 교사들은 생각의 차 이에 의해 갈등을 경험한다. 둘째, 갈등을 순응과 회피로 대처하는 교사들이 많다. 셋째, 갈등 해결의 리더십을 발휘하는 교사가 있고 갈등이 해소되면 학교는 혁신된다. 연구결과로부터 얻은 시사점을 통해 교사, 교육청 차원의 갈등관리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research conducted a qualitative case study for analyzing the causes, teachers’s reac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s' experience of conflicts participating in the ‘School Innovation’. For this, the researcher analyzed the following: teachers' informal conversations; paper materials used in teachers’workshops; official documents; the record of the participant observations collected in three different teachers’meetings; the transcripts of interviews with teachers. The data had been collected for 9 months from March to November, 2014. Teachers experienced 7 kinds of conflicts: ‘What is the innovation?’, ‘Who can be an innovator?’, ‘What do we innovate school for?’, ‘Boring meeting, but communication-deficient’, ‘Are just paper works enough for innovation?’,‘My family being as important as my school’, ‘Concerning safety taking priority over creative teaching.’ There discovered three characteristics of teachers’conflicts participating in the ‘school Innovation’. First, the teachers experience conflicts emerging from differences of opinions on ‘School Innovation’. Second, teachers managed the conflicts by ‘adaptation’ and ‘evasion’. Third, when a teacher showed conflict management leadership, an innovation in the school organization was achieved; He/she makes the conflicts come to the surface and leads effective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researcher suggests that communication facilitation skills help teachers provide leadership for resolving conflicts and complicated regulations should not preclude teachers’various attempts to overcome conflicts. For thi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s required.

      • KCI등재

        자유학기제를 경험한 학생들의 일반학기 학교생활 모습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안희진(An, Hee-Jin),김병찬(Byeong-chanKim) 한국교육행정학회 2016 敎育行政學硏究 Vol.34 No.4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를 경험한 학생들의 일반학기 학교생활 모습을 탐색하기 위한 질적 사례 연구이다. 이를 위해 중학교 1학년 2학기에 자유학기제를 경험하고, 2학년 1학기가 된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 관련문서를 수집해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유학기제 경험 학생들의 학교생활 모습은 ‘교과시간’과 ‘비교과시간’으로 구분하 여 분석했다. 교과시간에는 ‘이전과 같은 수업 방식’, ‘나눠지는 친구들’, ‘점수에 집착하기’ 모 습을 보이며, 비교과시간에는 ‘자유학기와 차이나는 동아리 수업’, ‘찾아보지 않는 진로탐색’, ‘줄어든 선생님과의 친밀감’이 드러났다. 이에 따라 자유학기와 일반학기 교사 간의 교류, 자유학기와 연계된 새로운 평가방안 모색 및 교과서 재구성, 동아리 수업의 운영방식에 변화, 평준화과 지역과 비평준화 지역의 특수성 고려가 필요하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school life of students in general semester who experienced free semester program. For analyzed their contents, we collected the relevant documents and deep interviews from students who become second grade, experienced the free semester program in the second semester of a first-year of middle school. As a result, the school life of students who experienced free semester program is divided into ‘curriculum time' and ‘extra curriculum time’. They appeared as ‘As same teaching method as before’, ‘friends being divided’, ‘to cling to score’ in curriculum time and ‘club class different than free semester program’, ‘don’t find to career exploration’, ‘reduced intimacy with their teacher’ in extra curriculum time. Accordingly, we need to exchange between free semester teacher and general semester teacher, to research new evaluation linked with free semester and reconstruct the textbook, to change operation of club class, to consider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standardization and non-standardization area.

      • KCI등재

        교사가 경험하는 갈등 양상과 원인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1급 정교사 자격연수에 참여한 중등 과학교사들을 중심으로

        유경훈(Ryu Kyung-Hoon),김병찬(Byeong-chanKim) 한국교육행정학회 2015 敎育行政學硏究 Vol.33 No.3

        본 연구는 교사가 학교에서 경험하는 갈등양상과 의미를 심층적으로 파악해보고자, 26명의 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질적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과학교사들의 갈등요인에 따라 갈등양상은 크게 다섯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어졌는데, 먼저 학생으로 인한 갈등양상은 ‘방치와 포용’, ‘무시와 설득’으로 특징지어졌으며, 교육과정 및 교과서로 인한 갈 등양상은 ‘정답과 진실’, ‘유지와 조정’, ‘얕은 지식과 깊은 이해’로, 수업운영방식으로 인한 갈 등양상은 ‘하향과 상향’, ‘지식전달과 원리이해’, ‘순응과 고수’로, 교사로서의 지식 및 업무과 중으로 인한 갈등양상은 ‘겉핥기와 제대로’, ‘이론과 실제’, ‘과업과 본업’으로 특징지어졌다. 끝으로 제도 및 여건에 따른 갈등양상은 ‘대입과 정규교육과정’, ‘현실과 이상’, ‘강의와 실습’ 으로 특징지어져 나타났다. 과학교사의 갈등양상은 개인적 측면에서 발생하는 갈등이라 하기 보다는 국내의 교육체제와 문화, 학교교육현실 속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는 갈등 으로 밝혀졌으며, 이러한 갈등은 교사의 역할과 존재 자체에 대한 본질적 측면의 고민과 혼 란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conducted a qualitative case study by selecting 26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as research participants, in order to comprehend in depth the conflict aspect and the cause that teachers experience.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science teachers' conflict aspect was largely divided into five. First, conflict aspect due to students appeared 'neglecting and tolerance', 'negligence and persuasion', 'prerequisite leaner and non-prerequisite learner', conflict aspect due to curriculum and textbook appeared 'correct answer and truth', 'maintenance and control', 'shallow knowledge and deep understanding', and conflict aspect due to lack of teacher's knowledge and preparation appeared 'downward and upward', 'knowledge transmission and motivation', 'adaptation and adherence'. conflict aspect along with institution and condition appeared 'college entrance and regular curriculum', 'reality and ideality', and 'lecture and practice'. Science Teachers' conflict aspect was determined to be the conflict that occurs inevitably in Korean educational system, culture, and school reality, rather than that occurs in the personal aspect, and this conflict appeared to imply worry and confusion in the essential aspect of teacher's role and the existence itsel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